KR930001500Y1 -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 Google Patents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00Y1
KR930001500Y1 KR2019910008180U KR910008180U KR930001500Y1 KR 930001500 Y1 KR930001500 Y1 KR 930001500Y1 KR 2019910008180 U KR2019910008180 U KR 2019910008180U KR 910008180 U KR910008180 U KR 910008180U KR 930001500 Y1 KR930001500 Y1 KR 930001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flow
floating
wall
plate
freshwater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039U (ko
Inventor
김웅찬
Original Assignee
김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찬 filed Critical 김웅찬
Priority to KR2019910008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500Y1/ko
Publication of KR930000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2도는 외부벽체의 월류로(越流路)에 월류수차가 설치된 상태를 표시한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월류수차가 축설된 상태를 표시한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부체판이 안내구에 설치된 상태를 표시한 제3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중부 2 : 외부벽체
2a : 월류로 3 : 내부벽체
4 : 유로 5 : 경사판
6 : 부체관 7 : 부체판
8 : 양측벽체 9 : 안내지주
10 : 월류수차
본 고안은 계곡을 따라 흐르는 청수에서 담수어를 방양할 수 있도록 계곡의 적당한 목부위에 수중보를 구축하는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고안(공고번호 91-1378호)에 있어서, 유로에 설치된 경사판 내측에 담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체판을 설치하여 담수의 수면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가랑잎 등)에 의하여 경사판이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하며, 외부벽체의 월류로에는 월류담수에 의하여 가동되는 월류수차를 상, 하 이중으로 설치하여 월류담수를 따라 흐르는 부유물은 수차를 거쳐 흐르게 함과 동시에, 담수어는 수차의 회전경계력에 의하여 도망하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담수의 수위에 관계없이 담수의 수면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에 의한 수중보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안출한 선등록 고안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즉, 선등록 고안의 수중보에는 유로에 경사판이 설치되어 있어 이 경사판에 의하여 담수를 따라 흐르는 부유물이 걸리게 되므로 담수의 수위가 점차 낮아 지면서 경사판에 걸린 부유물은 경사판을 통한 유로를 막은 상태로 있다가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는 경사판에 달라 붙은 부유물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게 되므로서 경사판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고, 또 담수의 수위가 높아져서 월류하게 되는 경우는 월류담수와 함께 방양중인 담수어가 도망하게 되므로 수중보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고안은 이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중보(1)의 외부벽체(2)와 내부벽체(3)상이의 유로(4)에 경사판(5)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경사판(5)의 내측에는 부체관(6) 하면에 일체로 하향 형성되었으며 경사판 높이의 절반정도의 높이를 갖는 부체판(7)을 양측벽체(8)에 형성된 안내지주(9)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승강하도록 하고, 외부벽체(2)의 월류로(2a)에는 8개의 날개(10a)를 가진 월류수차(10)를 상,하 이중으로 축설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부유물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부체판(7)이 부체판(6)과 함께 담수의 수위에 따라 안내지주(9)에 안내되면서 승강하므로 제3도에서와 같이 수위가 낮아지면 부체판(7)이 경사판(5)의 하위에 위치하면서 수면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11)이 부체판(7)에 걸리고, 수이가 높아지면 부체판(7)도 높아지면서 높아진 수면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이 부체판(7)에 걸리므로 경사판(5)에는 부유물(11)이 걸리지 않는 것이고, 수위가 월류로(2a)까지 높아지면 월류로(2a)로 넘쳐흐르는 담수는 월류수차(10)를 회전시키므로 월류수면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11)은 월류수차(10)의 날개(10a) 사이를 통하여 흘러내림과 동시에 방양중인 담수어는 월류수차(10)의 회전경계력에 의하여 월류수차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므로 담수어가 도망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경사판에는 부유물이 걸리지 않고 담수의 월류시에도 담수어가 도망하지 못하므로 수중보의 기능을 가일측 항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중보(1)의 외부벽체(2)와 내부벽체(3) 사이의 유로(4)에 경사판(5)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경사판(5)의 내측에는 부체관(6) 하면에 일체로 하향 형성된 부체판(7)을 양측벽체(8)에 형성된 안내지구(9)에 안내되면서 승강하도록 하고, 외부벽체(2)의 월류로(2a)에는 월류수차(10)를 상, 하 이중으로 축설하여서 된 담수어 방양요 수중보.
KR2019910008180U 1991-06-04 1991-06-04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KR930001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80U KR930001500Y1 (ko) 1991-06-04 1991-06-04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80U KR930001500Y1 (ko) 1991-06-04 1991-06-04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039U KR930000039U (ko) 1993-01-20
KR930001500Y1 true KR930001500Y1 (ko) 1993-03-30

Family

ID=1931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180U KR930001500Y1 (ko) 1991-06-04 1991-06-04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5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039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794A (en) High current diversionary oil-boom
JPH0781257B2 (ja)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JP2013508591A (ja) 安全魚道
KR930001500Y1 (ko) 담수어 방양용 수중보
US4494257A (en) Flow control device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JP2009299308A (ja) 逆流防止構造及び排水施設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766279B1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US3293862A (en) Overflow fishway
US4797028A (en) Beaver control siphon apparatus
JP2004316383A (ja) 魚道を備えた水門堰の扉体。
US1376889A (en) Lake or pond
KR200312764Y1 (ko) 피트식(pit) 나선형 어도(漁道)
JPS5816202B2 (ja) 自動選択排水除塩装置
US4649579A (en) Swimming pool skimming weir
CN220565379U (zh) 一种污水排口的防倒灌装置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100543435B1 (ko) 하수역류방지장치
KR100424282B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SU883231A1 (ru) Плавучий затвор
JP7478428B2 (ja) フロート式逆流防止弁
JP2000144697A (ja) 階段式魚道設備
JP3075109B2 (ja) 貯水構造物から魚道への取水構造
KR20060000366A (ko)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