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029Y1 - 증기 다리미 - Google Patents

증기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029Y1
KR930001029Y1 KR2019900014709U KR900014709U KR930001029Y1 KR 930001029 Y1 KR930001029 Y1 KR 930001029Y1 KR 2019900014709 U KR2019900014709 U KR 2019900014709U KR 900014709 U KR900014709 U KR 900014709U KR 930001029 Y1 KR930001029 Y1 KR 930001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resistor
solenoid
transistor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410U (ko
Inventor
마준호
Original Assignee
마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준호 filed Critical 마준호
Priority to KR201990001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029Y1/ko
Publication of KR920006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6Temperature control or 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기 다리미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다리미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증기다리미의 히터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탱크 2 : 메인밸브
3 : 체크밸브 4 : 솔레노이드
5 : 피스톤 6 : 오픈밸브
7 : 노즐 8 : 기화실
9 : 배출구 101 : 마이크로프로세서
102 : 100V/220V검출회로부 103 : 솔레노이드제어회로부
104 : 제로크로스 트리거회로부 105 : 온도검출회로부
106 : 리셋회로부 107 : 히터제어회로부
108 : 클럭발생회로부 109 : 정전압발생회로부
110 : 표시부 111 : 선택스위치부
본 고안은 증기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온도센서에 의하여 증기다리미의 온도를 감지하여 증기 발생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토록 함으로서 물방울의 발생을 방지하고 부식을 방지토록함과 동시에 조작이 간편하도록한 증기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증기다리미로서 바이메탈에 의한 기계적 제어방식에 의해 증기발생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와같은 종래의 증기 다리미는 증기발생에 적정한 온도에 도달하기전에 작동되므로 증기에 물방울의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 물방울에 의해 다리미의 부식이 쉽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다리미의 온도를 전자식 온도센서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센서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제어회로를 구동케하고, 이때 발생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증기다리미의 수로를 제어함으로서 간단한 조각으로 적정온도에서 물방울이 포함되지 않는 증기를 발생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다리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1은 삽탈식의 물탱크, 2는 수로의 메인밸브, 3은 체크밸브, 4는 전자 제어회로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5는 상기 솔레도이드(4)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스톤 6은 피스톤(5)에 의하여 개폐되는 오픈밸브, 7은 노즐, 8은 증기를 발상시키는 기화실, 9는 증기배출구, 10은 다리미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식 온도센서, 11은 수로이다.
한편, 상기 전자식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로 구동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1), 100V/220V검출회로부(102), 솔레노이드제어회로부(103), 제로크로스 트리거회로부(104), 온도검출회로부(105), 리셋회로부(106), 히터제어회로부(107), 클럭발생회로부(108), 정전압 발생회로부(109), 표시부(110) 및 선택스위치부(1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은 내쇼날사제품의 1칩 마이크로프로세서(COP 420L)으로서,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온도검출회로부(102), 100V/220V검출회로부등의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대응되는 출력(제어)신호를 히터제어회로부(107), 솔레노이드 제어회로부(103)등에로 출력시킨다.
상기 100V/220V검출회로부(102)는 저항(R11, R12)으로 분배된 VDD전압과 저항(R13, R14)로 분배된 VCC전압이 비교기(IC1)의 반전단자 및 비반전단자에 각각 입력되어서,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9번 단자(IN1)로 출력되도록 연결구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제어회로부(10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15번단자(Lo)에 저항(R2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솔레노이드의 코일(L1)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로크로스 트리거 회로부(104)는 전원 전압의 제로 크로스점에서 히터 및 여타의 제어신호가 온, 오프되도록 동기시키는 회로로서, 전원(AC)의 일단에 콘덴서(C6), 저항(R1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너다이오드(D3)을 통하여 에미터와 공통접지되고, 콜렉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19번단자(IN0)에 입력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온도검출부(105)는 저항(R9) 및 온도센서인 더어미스터(S1)으로 VDD전압을 분배하여 비교기(IC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저항(R8)과 저항(R2-R7)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저항으로 VDD전압을 분배하여 비교기(IC2)의 반전입력단자에 연결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항(R2-R7)의 저항값을 각기 다른 것으로서 마이크로 프로제서(101)의 24번 내지 27번 단자(D1-D3, G0-G2)에 접속되고 설정온도에 따라 그중의 어느 하나의 저항값이 선택되도록 상기 단자(D1-D3, G0-G2)중의 하나의 단자에서 출력이 0로 되고 나머지 단자는 1로 출력하게 하여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셋회로부(106)는 전원전압이 투입되는 초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를 리셋트시키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를 셋트시키기 위한 것으로 정전압회로부(106)의 VDD전압을 저항(R23)과 저항(R21)에 의해 분압한 전압과, 저항(R23)과 저항(R21)로 Vcc를 분압한 전압을 각각 비교기(IC3)의 반전입력단자 및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 비교기(IC3)의 출력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4번 단자(RESET)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제어회로부(103)는 다리미에 히터의 구동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28번 단자(D0)에서 저항(R1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2의 콜렉터는 저항(R18)을 통하여 직류전원(VDD)에 공급되며, 그의 에미터는 트라이액(Q1)의 게이트단자에 접속되어 히터(H1)의 전구동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럭발생회로부(108)는 저항(R15, R16), 콘덴서(C3, C4) 및 수정발진소자(XTAL)로 구성되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에 일정의 출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압 발생회로부는 통상의 것으로서 VCC전압은 입력전원(AC)의 변동에 따라 변동이나 정전압발생장치(RG)를 통하여 VDD전압은 입력전원(AC)에 관계없이 일정의 직류전압을 공급한다.
기타 표시부(110)는 각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의한 것이고 선택스위치부(111)는 설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탱크(1)을 본체에 장착하면 메인밸브(21)가 오픈되며 자체수압에 의해 물은 수로를 따라 체크밸브(3)을 통과하고, 솔레노이드(4)의 하부실린더까지 공급된 상태로 된다. 이때 스팀발생 버턴(SW1)을 누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28번단자(D0)에서 출력신호가 발생되어 트랜지스트(TR3)및 트라이액(Q1)을 구동시켜서 히터(H1)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스팀발생의 적정온도(예를들어 180-200℃)에 이르면 온도 검출회로부(105)에 의하여 설정 온도에서 비교기(IC2)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24번단자에 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15번단자(L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솔레노이드제어회로부(103)의 트랜지스터(TR3)을 구동시키므로 솔레노이드(4)(제1도참조)의 코일(L2)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4)가 작동되므로 피스톤(5)이 눌러지게 되어 오픈밸브(6)을 밀면서 수로를 열개하고 물을 수로를 따라 노즐(7)을 통과한 후 기화실(8)에 공급된다. 기화실(8)에 공급된 물은 기화되어 배출구(9)를 통하여 배출분사된다.
한편, 강력분사기능은 강력분사버턴(SW2)을 누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내장 프로그램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제어회로부(103)의 구동전원을 온오프반복되게 공급하므로서 온시 피스톤(5)이 왕복운동을 하게 한다.
이때 온시, 피스톤의 푸쉬 압력에 의해 다량의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다량의 증기발생으로 강력분사가 되어진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3)는 솔레노이드(4)가 동작중에는 실린더내부 압력에 의하여 체크밸브가 차단되어 물의 억류를 방지하게 하여주며, 솔레노이드(4)의 푸쉬가 완료되면 아력이 낮아지게 되어 체크밸브는 다시 물탱크수압에 의하여 열어지게 되어 수로를 연결한다.
또한 강력분사시에는 온시, 피스톤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가 차단되고 오프시, 스프링 장력으로 후퇴되어 흡인상태가 되어져 체크밸브가 열어져서 수로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로크로스 트리거회로부(104)는 전원전압(AC)의 제로크로스점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19번단자(INO)에 입력시켜서, 각 단자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온, 오프를 제로크로스점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100V/220V전압 검출회로부(102)는 VDD전압은 전원전압(AC)에 관계없이 일정하나, Vcc전압은 변동되기 때문에 100V시에는 비교기(IC1)의 출력이 1로되어 히터제어회로부(107)가 접속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28번단자(Q1)에서 100V일때는 입력전원의 전사이클에 걸처서 출력되게 하고, 220V일때에는 매5개의 사이클중 1개의 사이클 동안에만 출력되게 하여서 100V 및 220V에 겸용할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온도검출회로부(105)는 설정된 검출온도에 따라 저항(R2-R7)중 어느 하나에 0로 신호가 공급되고 나머지는 1의 신호가 공급되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출력단자(D1-D3, G0-G2)에서 출력하게 되므로 적어도 7가지로 검출 온도를 설정할수 있게 한다.
그리고 리셋회로부(106)은 전원이 투입되는 시기에 VDD전압과 VCC전압의 차이가 적게되므로 비교기(IC3)에서 출력신호가 0으로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는 작동되지 않으나 일정시간의 경과후에는 VDD전압과 VCC전압의 차가 일정범위로 되어서 비교기(IC2)에 출력신호가 1로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를 셋트시킴으로서, 구동전압(VDD)정상치에 도달되지 않는 초기시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110)는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온도센서에 의하여 증기다리미의 적정의 설정은도가 검출되면 제어회로에 의하여 솔레노이드(4)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적은 도에서 증기가 발생되므로 증기내에 물방울이 포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방울에 의한 증기다리미의 부식도 방지하여 준다. 증기를 다량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강력분사 작동모우드를 작동시킴므로서 달성되기 때문에 피 다리미질물에 관계없이 양호하게 다리미가 된다는 효과도 있으며, 푸시버튼만 누르면되기 때문에 조작도 간편한 등의 뛰어난 효과가 았다.

Claims (1)

  1. 물탱크(1), 메인밸브(2), 체크밸브(3), 노즐(7), 기화실(8) 및 배출구(9)를 구비하여서된 증기다리미에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를 구비한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게 상기 체크밸브(3)의 후단의 수고에 솔레노이드(4)를 배치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저항(RG) 및 더어미스터(S1)로 VDD전압을 분배하여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저항(R8)을 통하여 상기 직류전윈(VDD)이 기준단자에 접속되는 이교기(IC3)를 설치하고 상기 저항(R6)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개의 저항(R2-R7)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온도검출부(10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출력단자에 저항(R2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노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47)의 코일(L2)에 접속되는 솔레노이드 제어 회로부(103)와, 트랜지스터(TR1), 제너다이오드(D3), 저항(R19) 및 컨덴서(C6)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제로크로스 트리거회로부(104)와, 전압 분배용 저항(R11-R14)과 비교기(IC1)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100/200V전압 검출회로부(10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의 출력단자에 저항(R24)을 통하여 제어되는 트랜지스터(TR2)로 상기 솔레노이드(4)의 코일(L2)를 제어하도록 접속된 솔레노이드 제어회로부(103)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출력으로 저항(R17)을 통하여 제어되는 트랜지스터(TR3)로 트라이액(Q1)을 온오프 하도록하여 히터(H1)를 제어하는 히터제어회로부(107)와, 스팀발생버턴(SW1)과 강력분사버턴(SW2)를 구비한 선택스위치부(111)와, 전압분배용 저항(R22-R23)과 비교기(IC2)를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를 전압 투입후 소정시간 후에 셋트시키기 위한 리셋회로부(106)를 구비하여서 된 증기다리미.
KR2019900014709U 1990-09-22 1990-09-22 증기 다리미 KR930001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709U KR930001029Y1 (ko) 1990-09-22 1990-09-22 증기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709U KR930001029Y1 (ko) 1990-09-22 1990-09-22 증기 다리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10U KR920006410U (ko) 1992-04-21
KR930001029Y1 true KR930001029Y1 (ko) 1993-03-08

Family

ID=1930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709U KR930001029Y1 (ko) 1990-09-22 1990-09-22 증기 다리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0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11B1 (ko) * 2001-04-09 2007-07-27 한라공조주식회사 알루미늄 라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10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1685A (en) Electronic pressing iron
CA1229117A (en) Electronic pressing iron
US5380983A (en) Electrical appliance having user proximity sensor
CA2522025A1 (en) Electric pressing iron with user interface
US5349767A (en) Steam ironing press including pump and heating control circuits
KR930001029Y1 (ko) 증기 다리미
EP0752023A1 (en) Fast cooling steam iron
JPH0442960B2 (ko)
CA1331948C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pump control device for closing a valve, in particular a flap valve, for detergent economy, and control device suited for use in a washing machine
KR950009116B1 (ko) 전기세탁기의 세탁수온 제어장치
US3733725A (en) Steam-generating water-spraying flat iron
JPH0321698Y2 (ko)
JPH02136180A (ja) スチームアイロン
KR900003574B1 (ko) 자동 식기세척기의 제어회로
JP3287893B2 (ja) スチームアイロン
KR920006359B1 (ko) 플로트 스위치를 이용한 2조식 세탁기회로
KR200147215Y1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량 감지장치
JPH0246237B2 (ko)
KR950007403B1 (ko) 전기압력밥솥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3147652B2 (ja) アイロン
KR900004603Y1 (ko) 식기 세척기의 보호 장치
KR950004256B1 (ko) 세탁모터 구속시의 해제방법
JPS58112593A (ja) 電子制御式アイロン
SU383020A1 (ru) Описание изобретения
KR940000579Y1 (ko) 식기 건조기의 전원공급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