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84Y1 - 신속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신속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84Y1
KR930000984Y1 KR2019870013364U KR870013364U KR930000984Y1 KR 930000984 Y1 KR930000984 Y1 KR 930000984Y1 KR 2019870013364 U KR2019870013364 U KR 2019870013364U KR 870013364 U KR870013364 U KR 870013364U KR 930000984 Y1 KR930000984 Y1 KR 930000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ylinder
pipe
lock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123U (ko
Inventor
마꼬도 나구모
도시오 미끼야
Original Assignee
닛또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오 미끼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오 미끼야 filed Critical 닛또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13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84Y1/ko
Publication of KR890005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속 관이음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신속 관이음구의 일실시예의 일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A-A)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관 이음구에 피 접속관체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돌기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제1도의 관 이용구의 일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피 접속관체를 연결한 후의 제1도의 관 이음구의 일부분 종단면도로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1도 및 제10도의 관 이음구의 걸거나 벗길 수 있는 슬리브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관 이음구의 주 통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주 통의 종 단면도.
제8도는 제1도 및 제10도의 관 이음구에 사용되는 걸림 돌기부재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걸림 돌기부재의 종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신속 관 이음구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종단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관 이음구의 피접속 관체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돌기 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제10도의 관이음구의 일부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측면도.
제13도는 피접속관체를 연결한 후의 제10도의 관 이음구의 일부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피접속관체를 연결한 후의 제10도의 관 이음구의 주 통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어댑터
3 : 주통 4 : 6각 조임부
5 : 통공 6 : 수나사부
12 : 암나사 13 : 내통
본 고안은 피접속관체의 선단의 접속 수나사부를 단순히 밀어 끼우는 것만으로, 피접속관체가 접속되는 신속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속 수나사부를 갖는 피접속관체와, 관연결구등을 결합 및 해체하는 경우, 관 연결구가 피 접속관체의 어느 일방을 회동시켜서 피접속관체의 접속 수나사부를 관 이음구의 암 나사부에 나사를 조이거나, 이 암나사에서 풀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스패너 등 공구를 사용하여 시간을 두고 이 결합 및해체를 하게 되있었다.
그러나, 이 작업은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비능률적일뿐 아니라, 작업자는 극히 피로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 연결구와 피접속관체와의 맞물리는 면 사이에 상대적인 회동 운동이 발생하는 결과, 관 연결구의 맞물리는 면의 밀착이 오손되어 이들 맞물리는 면의 기밀성이 손상될 염려를 안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나사부의 나선을 파손하지 않도록하면, 이 파손 방지의 기구가 복잡해질뿐 아니라, 관 이음구의 외경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중량이 증가하여 조작성의 결핍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반경방향에 개폐 가능한 걸림돌기부재를 사용하으로서 그들 개폐 조작에 따라 피접속관체의 접속 수나사부를 관 이음구에 접속하고 또 이들의 분리할 수 있는 신속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체 통로를 갖는 연결구 본체와, 이 연결구 본체에 접속할 피접속관체의 접속 수나사부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상 맞물림부룰 구비하며, 상기 접속 수나사의 원주방향에 배치되어 이 암나사상 걸림부를 상기 접속 수나사부에 결합 및 해체시키도록 구동가능하게 배열하고 상기 접속 수나사부와의 걸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전체로 1개의 가상 암나사를 형성하는 걸림돌기 기구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동 가능하며, 상기 피접속 관체의 접속측 방향으로의 한 위치에서 상기 암 나사상 물림부를 상기 접속 수나사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걸림돌기 기구를 구동하고, 상기 연결구 본체의 기부의 방향의 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부를 상기 접속 수나사부에서 이탈시키도록 이 걸림돌기 기구를 구동하는 슬라이딩 슬리브기구와, 상기 연결본체의 상기 유체 통로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 수나사부의 접속단면을 향하여 스프링력으로 눌러서 탄성지지된 내통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를 연결구 본체의 기부측에 움직이면,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의 제2누름면은 걸림돌기기구를 밀어서 걸림돌기 기구를 열고, 피접속 관체의 접속 수나사부가 걸림돌기 기구 사이를 통과, 슬라이딩통으로 안내되어 연결구 본체내에 유도하게 된다. 접속 수나사부는 충분히 연결구 본체내에 삽입된 다음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를 놓으면, 이에 걸리는 탄성력으로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는 피 접속관체측에 움직여, 걸림돌기 기구를 밀어서 이것을 닫고, 맞물림부를 접속 수나사부에 걸림시켜서 피접속관체를 연결구 본체에 접속한다.
피접속관체를 연결구에서 벗길때는,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를 연결구 본체의 기부측에 이동시켜, 걸림돌기 기구를 열어, 걸림부를 접속 수나사부에서 벗긴다.
이하 도면에 따라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아직 피접속관체를 접속하지 않은 유닛트의 상태를, 축심 X-X의 상측은 종단면도이고, 그 하측은 측면도로 표시한 것이다. 1로 표시되는 연결구 본체는 어댑터(2)와 주통(3)으로 된다.
어댑터(2)는, 중앙부의 6각 조임부(4)와, 이들 일단에서 돌출하고 원통형의 통공(5)을 갖는 연결구 수나사부(6)과, 6각 조임부(4)의 타단에서 돌출하고 수나사(7)가 형성된 본체 통부(8)로 된다. 본체 통부(8)는 통공(5)에는 내경이 큰 원통공(9)을 형성하며, 6각 조임부(4)는 통공(5)과 원통공(9)등을 연통하는 소경의 원통구멍(10)을 갖는다.
6각 조임부(4)의, 원통구멍(10)각 원통구멍(11)과의 경계영역에 스프링 방이용 단부(11)를 형성하고 있다. 주통(3)은 본체 통부(8)보다도 길고, 그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72)는 본체 통부(8)에 나합하고, 내단면(3a)은 6각 조임부(4)의 대향면에 맞닿춤하고 있따.
본체 통부(8)의 원통구멍(9)에 내통(13)을 축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설한다. 내통(13)의 내단부 외주에 형성한 환상홈(14)에 형성한 O링(15)에 의하여 본체통부(8)와 내통(13)과의 사이는 밀봉되어 있다. 내통(13)의 외주 중앙부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다.
또 통공(5), 원통구멍(10), 원통구멍(9) 및 내통(13)의 원통형 구멍은 유체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17은 내통(13)의 전단부 외주를 둘러싼 스프링 강제 지지통이며, 외주에 주통 3의 암나사(12)의 전단부와 나합할 암나사(18)와 내통(13)의 외주면에 끼워 맞추는 내주면을 갖는 내단측 통로(19)와 내단측 통부 19의 내주면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외단측 통부(20)로 된다.
21은 안내통체이고, 통체의 안내부(22)와 그들 내단측에 형성된 외향의 플랜지부(23)로 된다. 이 플랜지부(23)는 내통(13)의 내주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내통(13)의 전단부에 피 접속관체의 접속 수나사용 밀봉체(43)가 고정되어 있다.
제1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주통(3)은, 전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의 예를들면 4개의 절결 凹부(24)와 암나사(1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예를들면 4개의 돌출부(25)를 갖고 있으며, 돌출부(25)의 선단에 내향으로 걸림돌기(26)를 형성하고 있다. 또 주통(3)의 후단부의 외주면 및 돌출부(25)의 외주에 환상 홈(27,28)을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통(3)의 걸림돌기(26)는, 지지통(17)의 선단에 맞닿춤하여 지지통(17)을 안고 잇다.
29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원통공의 (9)내에서 (2)내의 단부(11)와 안내통체(21)의 내단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항상 안내통체(21) 밑 내통(13)을 제1도중 우방향 즉 연결본체(1)와 반대측의 방향으로 탄압하고 있으며 연결구는 미사용시에는 개지턱(16)이 지지통(17)의 후단에 맞닿춤하여, 내통(13)은 연결구 내에서 빠지지않도록 되어있다.
제1도, 제8도 및 제9도에 있어서, 30은 걸림돌기 부재로 지지통(17)위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예를들면 3개 배열되어 있다.
걸림돌기부재(30)는, 뼈대(31)와 그 선단에 형성된 돌기부(32)로 되어 있다. 뼈대(31)의 압축 부분은, 축심X-X측의 면이 지지통(17)의 외주면에 일치하며 연결구를 미사용시 이것과 접속하고 있는 개합면(33)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면(33)에 관하여 축심 X-X축과 반대측의 면이 우로 갈수도록 축심 X-X에서 떨어지도록 경사한 피 누름면(34)으로 되어있다. 뼈대(31)의 후측의 부분은 주통 3의 절결 凹부(24)에 끼워져, 축심 X-X에 가까운면 및 이들로 부터 먼 면은 서로 평행으로 연결구 본체 1측에 치우칠 수도록 축심 X-X에서 먼 걸어맞춤편(35, 36)으로 되어있다.
돌기부(32)는 축심 X-X을 향하며, 이들이 치합할 피접속관체(37)의 접속 수나사부(38)(제3도 및 제4도)의 수나사에 상보적(相補的)인 형상의 암 나사상 걸림부(39)를 갖는다.
피 누름부(34)와 걸어맞춤면(36)의 사이에 횡홈(40)을 형성한다.
이 횡홈(40)은, 주통(3)의 후측 환상홈(27)과 일치한 위치에 있고,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밴드(41)를 받아, 주통(3)의 절결 凹부(24)내에 지지통(17)위에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부재(30)는 걸어맞춤면(33)과, 걸어맞춤면(35)의 경계선인 선회전선(椎動線)(42)(제1도에서는 점으로 표시하고 있다)으로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및 시계방향에 선회전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이와같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걸림돌기 부재(30)의 걸림부(39)는, 닫힌때와, 전체로서 후술의 피 접속관체의 접속 수나사부에 걸림할 가상 암나사를 형성한다. 또 괴지 돌기부재(39)와 스프링 밴드(41)과의 조합으로 걸림돌기 기구를 구성한다.
주통(3)의 둘레에 외주(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의 후단부는 내측으로 향한 플랜지부(45)로 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45)의 내주면에 주통(3)의 환상홈(27)에 대면하여 형성된 환상홈(46)과 환상홈(27)등에 스프링 밴드(47)를 끼워넣어, 외통(44)을 주통(3)에 대하여 축심 X-X의 돌테에는회전 가능하나, 축방향에는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 외통(44)은, 플랜지부(45)에서 외단측에 연장하며, 내주면은 주통(3)의 외주면과 떨어지고 이들 사에 원통상의 공간(60)을 형성하는 걸림통부(48)를 형성, 그 외단단부에 축방향의 미끄럼홈(49)이 형성되어 있다.
50은, 축선 X-X을 따른 왕복동 기능의 걸림돌기부재 개폐용 슬라이딩 슬리브이며, 주통(3)의 외주면 및 외통(44)의 걸림통부(48)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하는 면을 갖는 내단측의 결합 및 해체통부(51)와, 중앙부(52)와, 외단측 단부의 걸림돌기부재(30)용 뚜껑부(53)으로 된다.
결합 및 해체용부(51)의 외주면에 미끄럼 홈(49)에 걸어맞춤가능한 볼(54)을 고저하고 있으며, 이 볼(54)대신에 핀이나 키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이것을 걸어맞춤 요소라 한다. 또 결합 및 해체 통부(51)의 외주면에 외통(44)의 외측단부에 맞닿춤하여 슬라이딩슬리브(5)의 행정을 정하는 환상턱부(55)를 형성하고 있다.
결합 및 해체통부(51)에 중앙부(52)와의 사이에 괘지 돌기부재(31)의 뼈대(32)의 후반부분이 수용될 수용실(62)을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52)에 있어서, 연결구는 미사용상태에서, 축심 X-X에 향하는 면은, 단축이 걸림돌기부재(30)의 걸어맞춤편(36)과 대체로 평행한 도피면(56)과 중앙부의 좁은 폭을 가짐과 동시에 축심 X-X에 평행한 누름면(57)과 걸림돌기부재(30)의 피 누름면(34)에 접촉하고 있는 테이퍼상 누름면(58)등으로 한다. 여기서 누름면(58 및 57)을 각각 제1누름면 및 제2누름면이라 한다.
주통(3)의 돌출부(25)와 슬라이딩 슬리브(50)의 중앙부(52)는, 제2도에서와 같이 볼(61)로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슬리브(50)를 회동하면, 볼(61)을 통하여 동기부(25)가 회동하고, 이에 의하여 걸림돌기부재(30)도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외통(44)내의 공간(60)에 6과 조임부(4)의 대응 단면과 슬라이딩 슬리브(50)의 내단면에 맞닿춤하는 압축코일스프링(59)을 형성하여. 상시 슬라이딩 슬리브(50)를 우측에 탄성지지하고 있다.
다음에 제1도의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신속 연결구에 피접속관체(37)를 접속하기 위하여,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슬리브(50)를 손으로 후퇴시켜(즉, 좌방향에 이동시켜), 환상턱부(55)를 외통(44)의 전단면에 맞닿춘다.
이 결과, 슬라이딩 슬리브(50) 의 제2누름면(57)은, 걸어맞춤면(36)을 누름하고, 걸림돌기부재 (30)는, 제1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결국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슬리부(50)의 제2누름면(57)은 걸어맞춤면(36)을 누름하여 걸림돌기부재 30가 완전히 열린다. 이 상태에서는, 제3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이 피접속관체(37)의 접속 수나사부(38)는 걸림 돌기부재(30)의 암나사상 걸리부(39)에 닿지 않고 그들안에 유도된다.
이어서, 슬라이딩 슬리브(50)를 후퇴 위치에 유지한 그대로, 피 접속관체(37)의 접속수나사부(38)를 안내통체(21)의 안내부(22)에 끼워서, 피접속관체(37)를 압축 코일 스프링(29)에 저항하여 통체(13)의 내단면이 원통공(9)의 내단면에 맞닿춤하거나, 피접속관체(37)의 연결구본체(1) 측단면이 안내통체(21)의 외단면에 맞닿춤할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슬리브(50)를 때면, 압축 코일스프링(59)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슬리브(50)는 우행하고, 그 제1누름면(58)은 괴지돌기부재(30)의 피누름면(34)을 밀어서 슬라이딩 슬리브(50)를 제3도에서 시계방햐으로 회동하고 걸림돌기부재(30)를 닫는다.
이 결과, 암 나사상 걸림부(39)는 피접속관체(37)의 접속 수나사부(38)에 걸림하고, 접속을 완료한다. 접속중에 슬라이딩 슬리브(50)는 걸림돌기 부재(30)를 여는 방향에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통(44)을 약간 회동시켜서 볼(54)와 미끄럼 홈(49)와의 위치를 벗어나게 해둔다. 또 암나사상 걸림(39)과 접속 수나사부(38)의 위치가 벗어나 있을 경우, 슬라이딩 슬리브(50)를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부재(30)를 회전시켜서 위치 맞춤을 할 수가 있다.
피접속관체(37)를 연결구에서 벗길 경우에는, 슬라이딩 슬리브(50)를 후퇴시켜서 접속한 경우와 반대의 작업으로하면 된다.
다음에, 제10도 내지 제15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정한다.
이 두번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같은 번호로 표시하는 외, 도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주요 부분만 번호를 붙히며, 타부분에 대하여 제1실시예와 같음으로 번호 표시를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통(3)은 제1실시예에 사용한 제6도 및 제7도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타방, 제1실시예와, 틀려서, 이 실시예은 원통구멍(10)이 없고, 통공(5)에 직접 원통공 9을 연통하여져 있다.
압축 코일스프링(29)은, 직접 내통(13)의 후단면을 누름하고 있다.
내통(13)의 후반부는 외형이 감경된 통부(13a)로 되어 있으며, 주통(3)의 내주로 원통형의 걸림통 수용용실(70)을 형성하고 있다.
어댑터(2)의 본체 통부(8)는, 선단측의 외경이 감경된 통부(8a)로 되어있으며, 실(70)의 안에서 걸림통(71)을 받고 있다. 이 걸림통(71)은, 외주면에 선단방햐에 지름이 줄은 원추대형의 압면(72)와 이에 이어질 원통부(71a)를 갖고 있으며, 본체 통부(8)의 단부(8b)와 걸림통(71)의 후단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73)에 의하여 괴지돌기부재(30)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제2걸림수단을 설명한다.
걸림돌기 부재(30)를 열기 위해 슬라이딩 슬리브(50)를 후퇴시킨 대에 수용실(62)이 위치한 주통(3)의 영역에 관통공(74)을 형성하고 이에 주통3의 두께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볼(75)를 삽입한다.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통(3)의 돌출부(25)와 걸어맞춤 슬리브(50)의 작동부(52)와는 개합면(7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1의 실시예와 같이, 걸림돌기부재(30)를 걸어맞춤 슬리브(50)와 같이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의 실시예의 지지통(17) 및 안내통체(21)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나, 이들을 사용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제2의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딩 슬리브(50)을 후퇴 시킴으로서 수요실(62)는 주통(3)의 관통공(74)의 위치에 오면, 제2의 걸림수단의 일부인 볼(75)가 걸림통(71)의 누름면(72)에 스프링(73)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밀어져 수용실(62)안에 일부가 들어감과 동시에 걸림통(71)의 원통부(71a)에 올라탄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슬리브(50)에서 손을 떼어도 볼(75)에 수용실(62)의 후측벽면(62)은 맞닿춤하여 슬라이딩 슬리브(50)는 되돌가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슬리브(50)에서 손을 떼어 피접속관체(37)의 접속작업을 할수가 있다. 피접속관체(37)의 접속 수나사(38)를 접속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걸림돌기부재(30)를 여는 작업은 상기 걸림기구에 의한 걸림 작업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대체로 같으며, 그 상태는 제12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12도 상태에서 피접속 관체 37의 접속 수나사부(38)를 밀어 넣으면 내통(13)이 스프링(29)에 저항하여 밀어 끼워지고, 내통(13)의 어깨부(13b)에 의하여 걸림통(71)도 밀어 끼워진다. 그러므로 누름면(72)은 볼(75)의 위치에 오고, 볼(75)는 수용실(62)의 후측벽면(62)에 의하여 수용실(62)에서 누름면(72)위에 밀어 빠진다. 이에 따라서 슬라이딩 슬리브(50)는 전진하고, 제1실시예와 같이 걸림돌기부재(30)를 닫고 피접속관체(37)의 접속은 끝난다.
피접속관체(38)를 빼내는데는 제1실시예와 같이 조작한다.
또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도, 연결구 본체(1), 슬라이딩 슬리브(50) 및 안내 통체(21)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밸브 장치룰 형성하여 밀봉해도된다.
본 고안에 의거한 신속관 연결구는, 비틀이 돌릴 필요없이 걸림돌기 부재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접속 수나사부를 갖는 피접속관체률 신속하게 또는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접속 작업중에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를 손으로 눌러 놓을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유체 통로를 가진 연결구 본체(1)와, 이 연결구 본체에 접속된 피 접속관체(37)의 접속 수나사부(38)에 걸림 가능한 암나사상 맞물림부(39)를 가지며, 상기 접속 수나사(38)의 원주방향에 배치되어 이 암나사상 맞물림부(39)를 상기 접속 수나사부에 결합 및 해체 시키도록 선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접속 수나사부(38)와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 전체로 1개의 가상 암나사를 형성한 걸림돌기 기구(30)와,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동 가능하며, 상기 피접속관체(37)의 접속측 방향에의 일 위치에서 상기 암나사상 맞물립부(39)를 상기 접속 수나사부(38)에 걸림시키도록 상기 걸림돌기기구(30)를 선회전하고 상기 연결구 본체(1)의 기부 방향에의 일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부(39)를 상기 접속 수나사부(38)에서 이탈 시키도록 이 걸림돌기기구(30)를 선회전하는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50)와, 상기 연결구본체(1)의 상기 유체 통로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 수나사부(38)의 접속단면을 향하여 스프링력에 의해 탄성지지된 내통(13)등을 구비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관 이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 기구(50)는, 상기 피접속관체(37)를 결합하는 과정서, 또, 결합중에, 상기 접속 수나사부(38)에 상기 암 나사상 걸림부(39)를 맞물리게 하는 방향에 상기 걸림돌기기구(30)를 상기 피접속관체의 축심을 향하여 누른 선회전하는 테이퍼 면으로 제1누름면(58)과, 이 제1누름면(58)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속 수나사부(38)에서 상기 맞물림부(39)를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또, 상기 피접속관체(37)를 분리하고 있는 사이 상기 걸림돌기 기구(30)를 상기 맞물림 방향과 반대방향에 누름하는 제2누름면(57)등을 갖는 슬리브(50)와, 상기 피접속관체(37)의 결합시에,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에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수단(48,71)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관 이음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연결구 본체(1)에 상기 슬리브에 공축으로 형성되고, 또 이 슬리브(50)와의 사이에 상대적 회동을 할 수 있으과 동시에 축방향의 미끄럼 홈(49)을 갖는 외통(44)과, 이 미끄럼홈(48)과 꼭맞춤 되었을때에 이 미끄럼 홈에 걸어맞춤하고, 이 미끄럼 홈(48)과 꼭맞춤하고 있지 않을때에 이 외통(44)의 대향단면에 맞닿는 걸어맞춤 요소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관 이음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44)은 상기 연결구 본체에 대하여 스스로 축둘레에 회동가능함을 특징으로하는 신속 관 이음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리브 기구(50)는, 상기 피접속관체(37)를 분리하고 있는 동안, 상기 반대 방향의 일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에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걸림수단등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관 이음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걸어맞춤 수단은, 상기 슬리브가 상기 반대방향에 압축되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와 상기 슬리브를 걸어맞춤하는 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관 이용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피접속관체의 단면측의 단면에 맞닿추고 상기 내통과 이 단면과의 사이의 밀봉을 하는 썰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관 이음구.
KR2019870013364U 1987-08-10 1987-08-10 신속 관이음구 KR930000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364U KR930000984Y1 (ko) 1987-08-10 1987-08-10 신속 관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364U KR930000984Y1 (ko) 1987-08-10 1987-08-10 신속 관이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23U KR890005123U (ko) 1989-04-18
KR930000984Y1 true KR930000984Y1 (ko) 1993-03-02

Family

ID=1926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364U KR930000984Y1 (ko) 1987-08-10 1987-08-10 신속 관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23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303A (en) High pressure fluidline connector
KR850001256B1 (ko) 관 연결구
US5209528A (en) Pressure-tight plug coupling
KR100934916B1 (ko) 파이프용 접속 장치
US5676174A (en) Outer diameter pipe plug
US5788290A (en) Quick connect coupler
KR950002531Y1 (ko) 시료 채취 배관용 관이음구
US2935338A (en) Quick coupling
US4148459A (en) Quick disconnect valved coupling
US20140210203A1 (en) Fluid Couplling Assembly with Integral Plug Retainer
CA2025655A1 (en) Quick connect fitting
JP2592358B2 (ja) 管継手
US4296954A (en) Pipe coupling and pipe joint connection
GB2387420A (en)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ducts
US11333274B2 (en) Hose connector assembly
KR930000984Y1 (ko) 신속 관이음구
US3857414A (en) Internal threaded fitting connector
US6173742B1 (en) Undersea hydraulic coupling with axial preloading
KR20220113297A (ko) 커넥터 요소
KR930003270Y1 (ko) 관 이음구
JP2003090477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JP6257738B1 (ja) バルジ加工装置
GB2353575A (en) Releasable tube coupling device
JPH0239111Y2 (ko)
JPH02429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