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60Y1 -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 Google Patents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60Y1
KR930000960Y1 KR9218302U KR920018302U KR930000960Y1 KR 930000960 Y1 KR930000960 Y1 KR 930000960Y1 KR 9218302 U KR9218302 U KR 9218302U KR 920018302 U KR920018302 U KR 920018302U KR 930000960 Y1 KR930000960 Y1 KR 930000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electron detector
electron
detector
secondary electr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8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은섭
Original Assignee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00012439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5235A/ko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18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44Detectors; Associated components or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6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4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detecting means
    • H01J2237/2448Secondary particle det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제1도는 일반적인 전자현미경의 기본 구조도.
제2도는 종래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의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총 2,2' : 렌즈
3 : 주사코일 4 : 주사선 발생기
5 : 화면 6 : 시료
7 : 2차 전자 검출기 8 : 증폭기
71 : 금속그리드 72 : 신틸레이터
73 : 광 파이프 74 : 수집전극
본 고안은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검출기에서 기인되는 패턴의 좌, 우신호의 차이에 의한 상(像)의 상이함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현미경의 기본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총(1)으로 부터 전자가 방출되면 렌즈(2,2')를 거쳐 시료(6)에 인가되고 이를 2차 전자 검출기(7)를 거쳐 검출한 전류를 증폭기(8)을 통하여 증폭시켜 화면(5)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주사코일(3)을 통한 주사선 발생기(4)에 의하여 화면(5)에 비쳐지게 된다.
제2도는 종래 2차 전자 검출기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원통형 튜브로 되어 있고 시료의 한쪽방향에서만 검출하게 되어 있다.
그 구조를 보면 금속그리드(71) 내부에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플라스틱신틸레이터(Scintillator)(72)가 달린 광파이프(73)에 접착되어 그 구조를 보면 금속그리드(71)내부에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플라스틱신틸레이터(Scintillator)(72)가 달린 광파이프(73)에 접착되어 있다.
이 광파이프(73)는 증폭기(8)에 접속되어 있다.
시료(6)에 주사된 전자빔에 의하여 생성죈 2차 전자를 원통형 2차 전자 검출기(7)를 통해 검출하게 되는데 2차 전자는 금속그리드(71)에 의하여 가속되고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플라스틱 신틸레이터(72)를 때리게 되면 형광이 발생하여 광파이프(73)를 통해 증폭기(8)로 보내지고, 이 증폭기(8)에 의하여 증폭되는 것이다.
시료(6)에 주사된 전자빔에 의하여 생성된 2차 전자는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나 2차 전자 검출기(7)가 한쪽방향에서만 2차 전자를 검출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패턴의 좌측에서 나오는 2차 전자의 양과 우측에서 나오는 2차 전자 검출기(7)가 한쪽 방향에서만 2차 전자를 검출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패턴의 좌측에서 나오는 2차전자의 양과 우측에서 나오는 2차 전자의 검출양이 상이하여 검출된 패턴의 상(像)이 서로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국 공제특허공보 특개소 61-131352호와 같이, 수집전극을 시료를 둘러쌀 수 있는 최소의 형상으로 하여 이 전극을 전기적으로 적어도 2분할하는 것에 의하여 2차전자의 검출 효율을 높인 것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시료의 크기에 대응한 반경을 가지는 원통으로서, 그 전상부에 시료에 대한 전극빔의 입사공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료를 둘러싸고, 이를 절연체로서 좌우로 2분할하여 수집전극으로 한 것으로서, 시료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원통형으로 된 수집전극 내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측정할 수 있는 시료의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되며, 비파괴측정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예컨대 반도체 웨이퍼를 측정하는 경우, 웨이퍼를 원형 그대로 측정하기가 곤란하여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수집전극이 시료를 둘러쌀 수 있는 최소의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시료의 크기에 따라 수집전극을 각각 별도로 준비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상승되며, 시료가 바뀔 따마다 수집전극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료를 원통형으로 된 수집전극은 내부에 삽입함에 있어서 그 시료의 위치가 정상부의 전자빔 입사공의 직하방에 위치시켜야 하는바, 시료가 원통형의 수집전극 내에 있으므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없어 정확한위치로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주사코일(3)과 시료(6)사이에 2차전자 검출기(7)를 설치한 것이다.
이 2차 전자 검출기(7)는 시료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중심축선상에 그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또 2차 전자 검출기(7)는 내부에 형광물질이 도포된 신틸레이터 센서로 된 수집전극(74)를 구비한다. 상기 수집전극(74)은 역 원추대형, 즉 깔데기형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2차 전자 검출기가 적용된 전자 현미경은 상술한 종래의 전자현미경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것인바,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자 검출기(7)는 시료(6)에 주사된 전자빔에 의하여 생성된 2차 전자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시료(6)에 주사된 전자빔에 의하여 생성된 2차 전자는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는 바, 2차 전자 검출기(7)는 주사되는 전자빔의 중심축선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료(6)에서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는 2차 전자를 방향에 관계없이 모두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패턴의 좌측에서 나오는 2차 전자의 양과, 우측에서 나오는 2차 전자의 양을 균등하게 검출할 수있어 균일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는 2차 전자를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의 2차 전자를 균등하게 검출할 수 있어 패턴의 모양을 관계없이 2차 전자를 균일하게 검출하게 되므로 검출한 본래의 상과같은 형태를 얻을 수 있어 패턴 폭의 크기의 측정시 보다 더 정확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시료를 수집전극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아니고 수집전극이 시료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으로서 시료의 크기에 제한을 받는 일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료의 크게에 관계없이 하나의 규격의 수집전극만을 준비하면 되므로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시료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수집전극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주사코일(3)과 시료(6)사이에서 시료(6)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중심축선상에 설치되며 깔데기형으로 형성된 수집전극(74)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
KR9218302U 1990-08-13 1992-09-25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KR930000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8302U KR930000960Y1 (ko) 1990-08-13 1992-09-25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2439A KR920005235A (ko) 1990-08-13 1990-08-13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
KR9218302U KR930000960Y1 (ko) 1990-08-13 1992-09-25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439A Division KR920005235A (ko) 1990-08-13 1990-08-13 전자현미경의 2차 전자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60Y1 true KR930000960Y1 (ko) 1993-03-02

Family

ID=2662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8302U KR930000960Y1 (ko) 1990-08-13 1992-09-25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924A (en) Transmission-type scanning charged-particle beam microscope
US3678384A (en) Electron beam apparatus
US4990776A (en) Electron microscope
EP1028452A3 (e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P0244816A2 (en) Mask pattern defect detection apparatus
US6157451A (en) Sample CD measurement system
JPH02210749A (ja) 荷電二次粒子の検出装置
JPS6334588B2 (ko)
US5097127A (en) Multiple detector system for specimen inspection using high energy backscatter electrons
US3222979A (en) Non-contacting dimensional gaging of objects with an electron-optics device
US3857034A (en) Scanning charged beam particle beam microscope
KR930000960Y1 (ko) 전자 현미경의 2 차 전자 검출기
KR20060056964A (ko) 다중 검출기들을 갖는 스캐닝 전자 현미경 및 다중 검출기기반 이미징을 위한 방법
EP0780878B1 (e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US5061851A (en)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for an aperture in a focused ion beam generating apparatus
US7767962B2 (en) Method for SEM measurement of features using magnetically filtered low loss electron microscopy
JP2000100369A (ja) 荷電粒子ビーム装置
JP3117795B2 (ja) 走査電子顕微鏡
US3614240A (en) Optical target position indicator
JPH0982261A (ja) 電子顕微鏡
JP2006172919A (ja) 三次元形状解析機能を有する走査型電子顕微鏡
CN110926333B (zh) 电子扫描方法以及电子扫描装置
USRE29500E (en) Scanning charged beam particle beam microscope
JPH01149354A (ja) 電子顕微鏡
JPS5912553A (ja) 電子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