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687B1 -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 Google Patents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687B1
KR930000687B1 KR1019890016900A KR890016900A KR930000687B1 KR 930000687 B1 KR930000687 B1 KR 930000687B1 KR 1019890016900 A KR1019890016900 A KR 1019890016900A KR 890016900 A KR890016900 A KR 890016900A KR 930000687 B1 KR930000687 B1 KR 93000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rod
plate
vertebral body
surgically impla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225A (ko
Inventor
에프. 헤이닉 찰즈
에이. 아써 마크
이 .스트리프겐 윌터
엔. 웨이스테인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아크로메드 코오포레이숀
죄프레이 제이. 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로메드 코오포레이숀, 죄프레이 제이. 포터 filed Critical 아크로메드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89001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687B1/ko
Publication of KR91000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제1도는 척추의 척추체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의 첫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취한 제1도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3도의 장치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제3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척추체와 연결된 제1도의 장치를 일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6도와 제7도는 상기 장치의 로드부를 척추체에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두번째 실시예의 확대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취한 제8도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준비된 척추체의 개략도.
제11도는 척추의 척추체와 연결되는 제8도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12도는 제13도는 척추의 척추체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와 제2도에 유사한 도면.
제14도는 제12도와 제13도의 장치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제14도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척추의 척추체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의 네번째 실시예의 도면.
제17도는 제16도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제16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제 16도의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선 19-19를 따라 취한 제18도의 장치에 대한 단면도.
제20도는 척추체와 연결된 제16도의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21도와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섯번째 실시예에 따라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를 도시하는 제16도와 제17도에 유사한 도면.
제23도는 제21도의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평면도.
제24도는 제23의 선 24-24를 따라 취한 제23도의 장치에 대한 정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여섯째 실시예에 따른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6도는 제25도의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평면도, 및
제27도는 제26도의 선 27-27을 따라 취한 제26도의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 22 : 판부
24 : 로드부 32,34 : 주측면
36,38,40,42 : 종측면 44 : 슬롯
48 : 패스너 47 : 홈
본 발명은 척추의 외과적 고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척추체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키 위해 척추의 척추체와 연결가능한 외과적 이식 가능 장치이다.
인간의 척추는 변형과 변질되기 쉽다. 변형은 척추 전만증, 척추 후반증 또는 척추 측만층과 같은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을 포함한다. 변질은 척추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에 위치된 디스크와 인대가 부상을 입거나 또는 고장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는 종종 교정을 위한 외과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상기 외과 수술중에 이식 가능한 장치는 상기 상태를 교정하거나 또는 소정의 관계로 척추체를 유지하기 위해서 척추의 척추체와 연결된다.
척추체의 교정을 위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11,581호는 비교적 강인하고 가늘고 긴 판이 소정의 관계를 척추체로 유지하도록 척추의 척추체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한개의 그러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문제로서 상기의 상대적으로 강인한 판은 척추의 소정의 굴곡에 적합하도록 굽혀지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판의 부피는 척추체의 어떤 구역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8,388호는 다른 형태의 이식 가능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거기에서 로드는 척추의 바람직한 굴곡이 이루어지도록 의사에 의해서 변형된다. 상기 로드는 소정의 관계로 척추체가 유지되고 또 바람직한 굴곡을 가지도록 척추의 척추체와 연결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242,922호를 사이에 척추체의 척추 공정을 클램프하는 한쌍의 판을 포함하는 다른 이식 가능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한쌍의 조절가능한 길이의 로드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로드는 상기 판의 각각에 한 단부에서 피복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각 로드의 다른 단부는 환자의 천골에 연결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척추의 척추체들의 관계를 고정하고 또 유지하기 위한 외과 이식 가능 장치들이다. 본 발명의 외과 이식 가능 장치는 판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한개의 변형 가능한 로드를 가지고 있고 또 거기에서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견고한 판을 제공해준다. 상기 판은 척추체의 측관계를 고정하고 또 유지하고, 상기 로드는 바람직한 측 및 척추관계에 다른 척추체를 유지하도록 바람직한 굴곡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천골 및 추골과 같은 척추의 척추체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외과 이식 가능한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첫번째 척추체와 연결하기 위한 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부는 첫번째 척추체를 바라보기 위한 첫번째 주측면과 두번째 주측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판부는 상기 첫번째 척추체와 연결하도록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해서 첫번째와 두번째 주측면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개의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첫번째 로드부는 상기 판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또 거기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첫번째 로드부는 척추체의 일부분에 대한 바람직한 굴곡에 적합하게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첫번째 로드부는 두번째 척추체와 연결하기 위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판부는 가늘고 길게 되어 있고 또 종방향의 중심축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판부에 있는 기공은 가늘고 긴 슬롯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판부의 횡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 중심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첫번째 로드부는 상기 판부의 종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판부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로드부는 상기 판부의 종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셀되어 있다. 상기 판의 두번째 주측면이 척추체를 마주보고 또 상기 로드가 측방향에서 옮겨지도록 상기 외과 이식 가능 장치가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의사는 척추체내에 패스너를 위치시키는 점에 자유로움이 있다. 상기 두번째 로드부는 상기 판부의 종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그리고 첫번째 로드부에 반대로 연장된다. 상기 두번째 로드부는 세번째 척추와 연결하기 위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두번째 로드부는 상기 척추의 일부분의 소정 굴곡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로드부는 각각의 연결부에서 판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는 각각의 로드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큰 혼합 직경과 연결부의 응력부하는 최소화하기 위한 판부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 도면과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가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한쌍의 외과 이식 가능한 장치(20,제1도와 제2도)는 척추(C)를 이루는 천골(S)와 추골(V)와 같은 척추체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외과 이식 가능한 장치(20)은 척추(C)의 변형 및 /또는 변질을 교정하고 또 바람직한 소정의 위치에 척추체(V,S)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외과 이식 가능 장치(20)은 척추(C)의 추골과 천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외과 이식 가능한 장치(20)은 흉부 추골 및/또는 경부 추골위와 같은 척추의 다른 구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단일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은 척추체(V,S)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제3도와 제4도)는 판부(22)와 로드부 (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부(2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개의 척추체(V)와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판부가 척추체와 연결될때 상기 척추체(V)를 마주보기 위해 첫번째 주측면(32,제4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판부(22)는 첫번째 주측면 (32)에 평행한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두번째 주측면(34)를 구비하고 있다.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의 평부는 가늘고 길다. 즉, 상기 주측면(32,34)는 그 나비 (W)보다 더 큰 길이(L)을 가지고 있다. 상기 주측면(32,34)는 복수의 종측면 (36,38, 40,4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판부(22)는 첫번째와 두번째 주측면(32,34)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개구 또는 가늘고 긴 슬롯(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롯(44)는 상기 판부(22)를 척추체(V)와 연결하기 위해서 패스너(48,제5도)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슬롯(44)는 외과 수술중에 척추체(V)에 상대적으로 상기 패스너(48)을 따라 상기 판부(22)의 조절 또는 대배치를 위한 것이다. 각각의 슬롯(44,제3도)은 평판(22)의 종중심축(B)에 평행하고 또 그것과 동축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홈(46)은 각 슬롯(44)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있다.두번째 주측면(34)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척추체를 마주보도록 상기 판부(22)가 연전되거나 엎어지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홈(47)은 첫번째와 두번째 주측면(32,34)내에 위치한다.
상기 패스너(38)은 스크류(49)와 너트(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49)는 그것을 상기 척추체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척추체(V)내에 개구 (51)을 형성하는 면과 나사적으로 체결하기 위해 첫번째의 외부로 나사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49)는 상기 너트(50)과 나사적으로 체결하기위한 두번째의 나사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너트(50)이 상기 스크류(49)의 두번째 나사형성부(49b)에 나사적으로 체결될때, 그것은 상기 판부를 척추체(V)와 연결하기 위하여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에 대해 당겨진다. 상기 홈(46)의 하나는 상기 스크류(49)와 이렇게 상기 척추체(V)에 상대적으로 상기 판부(22)의 미끄럼 운동을 봉쇄하기 위해서 상기 너트(50)의 일부분(50a)를 수용한다.
각각의 홈(50)은 너트 (50,제5도)의 원추형부(50a)와 어울리도록 원추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50)의 부분(50a)이 홈(46)내에 위치될때는 상기 판부는 상기 스크류(49)가 척추체(V)와 연결되고 또 상기 너트(50)이 상기 판부에 대해 고정될때 상기 판부(22)가 상기 스크류(49)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다른 너트와 같은 이격기 수단은 상기 판부(22)를 척추체(V)로부터 떨어져 이격되도록 상기스크류(49)위에서 사용된다. 한 형태의 패스너(48)가 제5도에 도시되었지만, 다른 형태의 패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의 로드부(24)는 상기 판부(2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부(24)는 상기 판부(22)의 종측부(4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24)는 척추(C)의 척추체 또는 천골(S,제1도)와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로드부(24)는 천골(S)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로드부는 추골 (V)와 결합토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24)는 가늘고 긴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로드부(24)는 척추(C)의 바람직한 굴곡에 적합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거나 영구히 변형될 수 있다. 수술실내에 위치된 유압프레스는 상기 로드부(24)를 바람직한 굴곡에 따라 변형하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24)는 복합체 대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이 상기 척추(C)와 결합될때, 상기 로드부(24)는 등판과 측판내에서 구부러진다. 상기 로드부(24)가 그것들과 연결되기전에 상기 판부(22)는 척추(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로드부(24)는 설치를 돕기위해서 판부(22)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24)가 변형된 후에, 그 로드부는 바람직한 굴곡을 가진 관계에도 척추체(V,S)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인하다.
상기 로드부(24)의 부분(62)는 척추체(S)와 연결하기위한 것이다. 제6도와 제7도는 상기 로드부(24)의 로드부의 일부분(24)를 척추체(S)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64,66)을 구비하고 있다. 제6도는 로드부(24)의 부분(62)를 둘러싸고 또 체결하게 되어 있는 개구(76)를 구비한 클램프부(74)를 가진 한조각 클램프(6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드부(24)의 일부분(62)는 울퉁불퉁하거나 거친 외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패스더(82)의 스크류부(84)는 상기 클램프부(74)로부터 돌출되는 각부 (88)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다른 개구(86)을 통하여 삽입되고 또 거기에서 오프셋된다. 상기 스크류(84)는 척추체(S)내의 개구로 나사작용에 의해 끼워진다. 상기 개구 (86)은 상기 개구(76)에 수직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패스너(82)의 너트(9)은 상기 클램프(64)에 대해 견고하게 되고, 상기 로드부를 척추(S)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각부(88)은 모아지고 또 상기 클램프부(74)는 상기 로드부(24)의 일부분(62)의 외주부를 체결한다. 두번째 너트(90a)는 상기 클램프(64)를 척추체(V 또는 S)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두조각의 클램프(66)은 제7도에 도시된다. 상기 클램프(66)은 한쌍의 클램프 절반부(92,94)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클램프 절반부(92,94)는 클램프부(96)과 거기에서 연장되어 있는 각부(98)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클램프부(96)은 상기 로드부(24)의 부분(62)를 둘러싸는 개구(100)을 형성한다. 상기 로드부(24)의 일부분(62)는 상기 클램프(66)과 상대적으로 상기 로드부의 회전과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클램프 절반부(94)위에서 닙(104)를 수용하기 위해서 횡 슬롯(1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패스너(82)의 스크류(84)는 상기 클램프(66)을 상기 척추체(S)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각부의 개구(106)내에 수용된다. 제1도에있어서, 상기 패스너(82)는 상기 로드부 (24)의 외부로 위치된다. 이것은 단순히 도시가 목적이고, 또 의사는 상기 천골(S)에 더 잘 고정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로드부(24)의 내부위에 상기 패스너를 위치시키도록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부(24)는 상기 판부(22)의 종중심축 (B)로부터 오프셋된다. 이렇게 외과의사는 척추체(V,S)내에 상기 패스너(48,82)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을 역전시키거나 뒤집을 수 있다. 상기 판부(22)는 양 주측면(32,34)내에 홈(4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판부는 상기 패스너(48)에 상대적인 미끄럼 운동을 방지한다. 상기 판부(22)로부터 떨어져 연장되어 있는 로드부(24)의 단부는 각 너트(50,90)위로 연장되어 스크류 (49,84)의 단부와 마찬가지로 필요하다면 다듬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부(24)와 판부(22)는 연결부(52)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2)는 상기 연결부(52)와 상기 판부(22)사이와 상기 연결부(52)와 상기 로드부 (24)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큰 혼합 직경(5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 (52)내의 인장 부하가 최소화되도록 상기한 비교적 큰 혼합 직경(54)는 보장해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제8도와 제9도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의 두번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과 유사하다.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 (120)은 가늘고 긴 단부(122)와 로드부(1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부(122)는 척추체(V 또는 S)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판부(122)는 각각 첫번째와 두번째 주측면 (132,134)을 가지고 있고, 또 그것은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주측면 (132,134)는 복수의 주측면(136,138,140,142)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다.
상기 판부(122)는 한쌍의 종방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슬롯(1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치(120)이 상기 척추와 연결될때 상기 척추(C)의 척추체(V,S)로부터 떨어져 바라보는 판부(122)의 두번째 주면(134)내에 상기 슬롯(144)를 따라 홈 (146)은 이격된다. 상기 로드부(124)는 상기 판부의 종측면(14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거기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124)는 종측면(142)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또 판부(122)의 종중심축(D)와 동축을 이루고 있다. 두번째 실시예의 판부(122)는 척추(C)의 척추체(V 또는 S)와 연결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천골(S) 또는 상기 로드부를 향해 배치된 로드부(124)는 상기 판부에 상대적으로 상기 천골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상기 판부(122)는 상기 척추체(V 또는 S)와 상호 연결가능한 부분(162)를 가지고 있다.
상기 판부(122)와 상기 로드부(124)는 연결부(152)에서 상호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에 (152)는 상기 판부(122)를 상기 연결부(152)와 연결하고 또 상기 연결부 (152)를 상기 로드부(124)와 연결하는 비교적 큰 혼합직경(154)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연결부(152)내의 응력부하는 최소화된다.
상기 척추체(V)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을 수용하기 위해서 준비되어온 블록으로서 제10도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장치(120)을 수용하게 되어 있는 척추(V)은 상기 척추 융기부(P)를 제거해준다. 그러나, 만일 상기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의 설치가 척추 융기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상기 척추 융기부(P)는 제거될 필요가 있다. 상기 척추체(V1)중 하나가 척추(C)의 보통 또는 바람직한 위치로부터 측방향과 등부분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도시된다.본 발명이 고정하려고 하는 것은 이러한 이동이다.
제11도는 척추(C)의 척추(V)와 결합되어 있고 또 본 발명에 따른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을 도시한다.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120)의 로드부 (124)는 상기 평판(122)로부터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추(C)를 따라 위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124)는 수술중에 외과의사에 의해서 배면에서 상기 척추(C)의 바람직한 굴곡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로드부(124)가 또한 측면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는 제12도와 제13도에 도시된다. 한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20)은 척추(C)의 척추체(V,S)와 연결된다.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20, 제14도와 15도)는 상기 판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판부(22)와 한쌍의 로드부(224와22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드부(224,226)은 상기 판부(222)의 종중심축(E)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판부(222)는 종측면 (236, 238, 240,24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주측면(232,2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드부(224)는 상기 판부(222)의 종측면(24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226)은 상기 종측면(238)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로드부(224,226)은 척추체(V 또는 S)와 결합된 부분(26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판부(222)는 상기 주측면(232,234)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가늘과 긴 슬롯(24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롯(244)는 양 주측면(232,234)내에 이격된 홈(246)을 구비하고 있다.이렇게 외과의사가 상기 척추(C)위에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20)을 역전시키고 그결과 클램프를 상기 로드부(224,226)과 연결시키는 패스너는 각각의 척추체(V,S)내에 적정하게 위치된다.
상기 로드부(224)는 판부(222)의 종중심축(E)로부터 오프셋된다. 상기 로드부 (226)은 상기 판부(222)의 종중심축(E)를 따라 위치된다. 두 로드부 (224,226)는 오프셋될 수 있거나 두 로드부는 판부(22)의 종중심축(E)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로드부 (224,226)의 정확한 모양과 위치는 환자의 필요요건에 의해 지시될 것이고 또 외과처리 준비중에 의사에 의해 선정될 것이다.상기 로드부(224,226)은 척추의 일부분의 바람직한 굴곡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다.상기 로드부(224,226)은 복합체 대부를 가진 것으로서 제12도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20)은 상기 척추(C)와 연결될때 상기 로드부는 측방향과 배방향에서 구부러진다.
상기 판부(222)와 상기 로드부(224,226)은 연결부 (252)에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판부(222)를 연결부(252)의 어느 하나와 연결하고 또 연결부(252)를 각각의 로드부(224,226)과 연결하는 비교적 큰 혼합 직경(254)를 구비하고 있다.이렇게, 연결부(252)내의 응력 부하는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 제16도와 제17도)는 척추(C)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천골(S)와 추골(V)와 같은 척추체와 연결된다. 각각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20)은 척추(C)의 변형 및/또는 회손을 교정하고 또 바람직한 상대 위치에서 척추체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일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은 필요한 교정량에 따라 척추(C)의 척추체(V,S)의 상대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은 복수의 동일한 판(322, 324, 326,328)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판(322,324,326,328)은 척체(V,S)의 각각과 연결된다. 상기 판이 상기 척추체와 연결될때 상기 척추(V 또는 S)를 마주보기 위한 첫번째 주측면(332)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판(322,324,326,328, 단지, 그것중 3개가 제18도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판을 대표한다)은 상기 척추체(V 또는 S)를 마주보기 위한 첫번째 주측면(332)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판 (322, 324,326,328)은 첫번째 주측면(332)에 평행한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두번째 주측면(334)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판(322,324,326,328)은 가늘고 긴 또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판(322,324,326,328) 각각의 주측면(332,334)는 그 나비(W1)보다 더 큰 길이(L1)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판(322,324,326,328)은 나비(W1)보다 작은 두께(T1)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판(322,324,326,328)의 주측면(332,334)는 복수의 종측면(336,338,340,342)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판(322,324,326,328)을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주측면(332,334)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개구 또는 슬롯(34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슬롯(344)는 각각의 판(322,324,326,328)을 분리된 각각의 척추체(V,S)와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346,제20도)를 수용할 것이다. 상기 슬롯(344)는 상기 패스너(346)에 상대적인 척추(C)를 따라 상기 장치(320)의 조작 또는 재정위를 허용하고 또 상기 외과처치중에 상기 패스너를 위치시키는데 더 큰 유열성을 허용한다. 각각의 슬롯(344)는 각 판(322,324,326,328)의 종중심축(A1)에 평행하고 또 그것과 공축을 이루는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종중심축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홈(348)은 각 슬롯(344)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다.
각각의 장치(320)은 복수의 패스너(346)에 의해 척추(C)의 척추체(V,S)와 연결된다. 상기 장치(320)과 패스너(346)은 인간의 티슈에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패스너(346)은 스크류(52)와 한쌍의 너트(354,35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352)는 이것을 척추체와 연결하기 위해서 척추체(V)내의 개구(364)를 형성하는 면과 나사 체결되게 되어 잇는 첫번째 외부 나사형성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스크류(352)는 너트(354, 356)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두번째 나사형성부(36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너트 (356)은 상기 척추체(V)로부터 상기 판(324)를 이격되게 한다. 상기 너트(354)는 상기 스크류(352)의 두번째 나사가 형성된 부분위로 나사적으로 끼워지고 또 상기 판을 상기 척추체(V)와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너트(356)의 반대편에 있는 판(324)에 기대어 조여진다. 상기 너트 (354)의 위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스크류의 단부는 없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354)는 상기 스크류(352)와 따라서 상기 척추체(V)에 상대적으로 상기 판(324)이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막기위해서 홈(348)의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척추체(V)를 마주보는 원추형부(368)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홈(348)과 잘 어울리는 원추형이다. 상기 패스너(346)은 제20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태의 패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의 각각은 상기 판(322,324,326,328)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패스너(326)으로부터 분리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322,324,326,328)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주로 로드(372,374,376,제16도와 제17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374)는 상기 판(324)를 상기 판(328)과 연결해 준다. 상기 로드(376)은 상기 판(326)을 상기 판 (328)을 서로 연결해준다. 각각의 로드(372,374,376,제18도와 제19도)는 각 로드의 종중심축(R1)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어있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각 로드(372,374,376)의 지름(D1)는 판 (322,324,326,328)의 나비(W1)보다 더 작다.
상기 로드(372)는 첫번째 단부에서 상기 판(322)의 종측면(336)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372)는 상기 판(324)의 종측면(340)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374)는 상기 판(324)의 종측면(336)에 첫번째 단부에서 연결된다. 상기로드(374)는 상기 판(326)의 종측면(340)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376)은 첫번째 단부에서 상기 판(326)의 종측면(336)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 (376)은 상기 판(328)의 종측면(340)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로드(372,374,376)은 척추(C)의 바람직한 굴곡에 적합되도록 상기 척추체(S,V)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서로에 상대적인 바람직인 위치에 상기 판 (322, 324,326)을 위치시키도록 구부러지거나 영구히 변형된다. 수술실내에 위치된 적당한 프레스는 상기 외과 처치중에 상기 로드(372,374,376)을 구부리기 위해서 양호하게 사용된다. 상기 로드(372,374,376)은 복수방향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로드(372,374,376)은 상기 로드의 종중심축(R1)에 평행한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수직한 평면내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평면 또는 화살촉 모양의 평면에서 또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평면에서 구부러진 로드 (372,374,376)을 상기 로드(372,374,376)이 구부러진 후에 그들은 척추(C)의 바람직한 굴곡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상대 위치에 척추체(V,S)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인성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로드(372,374,376)은 연결부 (382)에서 개별적인 판 (322, 324, 326, 328)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82)는 상기 로드 (372,374,376)과 상기 판 (322,324,326,328)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큰 혼합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비교적 큰 혼합직경은 상기 연결부(382)에 있는 응력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여한다.
각 장치(320)은 4개의 판(322,324,326,328)과 3개의 로드(372,374,376)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수의 판과 로드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320)은 척추체(V)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째 실시예는 제21도와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섯번째 실시예는 한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6)을 구비하고 있고, 그것은 위에서 서술한 것들과 또 제18도와 제19도에서 도시한 것들과 동일하다. 그 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은 네번째 실시예에 대하여 위에서 서술된 것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패스너(346)에 의해 척추체(V)와 연결된다. 상기 장치(320)은 제16도와 제17도에 도시된 것보다 다른 상기 척추(C)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실시예는 한쌍의 동일한 브리지(38)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브리지는 한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을 함께 연결한다. 상기 브리지(383)은 상기 조립체의 강인성을 더해주고 또 상기 한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을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매우 견고한 구조물은 바람직한 상대 위치에 상기 척추체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척추체(V)와 연결된다.
각각의 브리지(383)은 나사형성 로드(384)와 한쌍의 클램프(38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클램프(386,제23도와 제24도)의 각각은 나사형성 로드(384)의 축방향의 단부에서 배치된다. 상기 쌍의 클램프(386,제23도와 제24도)의 각각은 한쌍의동일한 클램프 절반부(392,394)와 한쌍의 너트(396,398)을 포함하고 잇다. 상기 클램프 절반부(392,394)은 각각 나사 형성 로드(384)가 수용되는 개구(402)를 가지고 있고 또한, 클램프 절반부들이 인접하게 될때 로드(372,374,376)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또다른 개구(404)를 형성하는 반원통형 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외과적 처치중에 상기 장치(320)이 이식되면, 상기 너트(396)은 상기 나사형성 로드(384)의 개재부로 나사적으로 끼워진다. 내부 클램프 절반부(392)은 그때 개구(402)내의 나사형성 로드(384)를 수용한다. 상기 내부 클램프 절반부(392)은 로드(372)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그결과 개구(404)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반원통형 면을 로드(372)의 일부분을 돌려 쌓다. 상기 로드(372)은 클램프되는 적당한 면을 제공하도록 외면위에 돌출된다. 상기 너트(396)의 단부를 향하여 나사적으로 끼워진다.
상기 클램프 절반부(394)은 개구(402)내의 나사형성 로드부(384)를 수용한다. 상기클램프 절반부(394)은 상기 클램프 절반부(392)와 체결되도록 미끄러지고 그결과 상기 개구(404)를 형성하는 다른 반원통형 면이 상기 로드(372)의 다른 부분을 에워싸게 된다. 상기 너트(398)은 그때 나사형성 로드(384)의 단부로 나사적으로 끼워진다. 상기 너트(398)은 조여지고 그 결과 상기 클램프(386)은 상기 로드(372)주위에 클램프 또는 집는 힘을 가한다. 나사형성 로드(384)의 축방향 반대편 단부에 있는 클램프(386)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을 견고하게 함께 연결시키도록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최외부 너트의 위로 연장되어 나사형성 로드(384)의 단부들은 그때 가듬어진다. 몇개의 브리지(383)은 의사에 의해 필요한 만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실시예가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420)은 상기 척추체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도록 척추(C)의 척추체(V)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420)은 복수개의 동일한 판(422)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판(422)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패스너(346)에 의해 개별적인 척추체(V)와 연결된다. 각각의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수단(420)은 패스너(346)과 개별적으로 판(44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단은 로드(4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드(424)는 판의 상대장치 즉, 척수체(V)를 유지하기 위하여 판(422)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로드(424)는 척추체(C)의 바람직한 굴곡에 적합하도록 판(422)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각각의 판(422)는 판의 주측면(434,436,제27도)를 통하여 연장된 원형개구 (4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구(432)는 판을 척추체(V)와 연결하도록 패스너 (346)의 스크류(352)를 수용한다. 상기 판(422)는 상기 개구(432)로부터 오프셋된 로드 수용부(442)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442)는 상기 개구(432)를 가로질러 상기 로드 수용부(442)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개구는(444)는 로드(424)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상기 로드(424)는 상기 개구(444)내에서 활주할 수 있고, 또, 판(422)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두번째 패스너 또는 셀 스쿠류(452)는 판(422)의 로드 수용부(442)에 있는 개구(454)로 나사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패스너(452)의 단면(456)은 개구(444)내의 로드(424)의 일부분을 체결한다. 상기 패스너(452)는 로드(424)와 판(424)사이의 상대적인 미끄러짐과 상대운동에 저항하도록 상기 패스너(452)반대편의 개구를 형성하는 면의 일부분에 대하여 로드(424)를 가압한다. 많은 형태의 패스너가 상기 로드 (424)와 판(422)사이의 상대운동에 저항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로드(424)와 상기 판(422)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한 상기한 설명에서 당업자는 진보, 변화 및 변형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 범위내의 그러한 진보, 변화 및 변형은 첨부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 모두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6)

  1. 척추(C)의 척추체(V)의 상대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20,120,220,320,420)에 있어서, 상기 장치(20,120,220,320,420)가 첫번째 척추체(V)를 마주보기 위한 첫번째 주측면 (32,132,232,332,436)과 두번째 주측면 (34,134,234,334,434)을 구비하고 있고 또 첫번째 척추체와 연결하기 위한 판(22,122,222,324,422), 상기 판(22,122,222,324,422)을 첫번째 척추체(V)와 연결하기 위하여 패스너(48,346)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첫번째 주측면 (32, 132, 232,332,436)과 두번째 주측면(34,134,234,334,434)에서 상기 판(22, 122, 222, 324,422)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4,144,244,344,432)를 형성하는 면 수단, 및 상기 판(22,122,222,324,42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또 그 판에서 연장되어 있고, 바람직한 척추굴곡에 적합하도록 구부러지고, 또 두번째 척추체(V)와 연결가능한 첫번째 로드(24,124,224,226,372,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120,220,320,4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22,122,222,324,422)이 중심축(E,D,E,A1)을 가지고 있고 또 상기 첫번째로드(24,124,224,226,372,424)가 상기 판(22, 122, 222, 324,422)의 중심축(B,D,E,A1)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판부(22, 122, 222, 324,422)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20, 120, 220,320,42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로드(124,226,372)가 상기 판(122,222,324)의 중심축 (D,E,A1)과 공축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중심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120,220,320).
  4. 제2항에 있어서, 종축(B,D,E,A1)을 가지고 있는 상기 판(22,122,222,324)은 가늘고 길고, 상기 판(22,122,222,324)내의 개구(44,144,244,344)는 가늘고 길고 또 상기 판(22,122,222,324)의 종중심축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잇고, 상기 개구(44,144,244,344)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상기 판(22,122,222,324)의 상기 두번째 주측면 (34,134,234,334)내에 복수개의 홈(46,146,246,348)을 형성하는 면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개의 홈(46,146,246,348)중 하나는 상기 패스너(48,346)에 상대적으로 상기판(22,122,222,324)이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봉쇄하도록 패스너 (48,346)의 일부분(50a,368)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120,220,32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로드(24,224)는 상기 판(22,222)의 중심축 (B,E)으로부터 이격된 종중심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220).
  6. 제5항에 있어서, 개구(44,244)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된 상기 판(22,222)의 첫번째 주측면(32,232)내에 있는 두번째 복수개의 홈(46,246)을 형성하는 면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두번째 복수개의 홈(46,246)중 어느 하나는 상기 두번째 주측면 (32,232)이 상기 첫번째 척추체(V)를 마주보게 될 때 상기 패스너(48)에 대한 상기 판(22,222)의 활주 운동을 봉쇄하도록 상기 패스너(48)의 일부분 (500)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220).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판(222,324)의 중심축(E,A1)에 평행하고, 또한 , 상기 첫번째 로드(224,372)의 반대편의 방향에서 상기판(222,32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판(222,324)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두번째 로드(226,37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두번째 로드(226,374)는 세번째 척수체(V)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20,32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2,152,252,382)내의 응력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점차적 변화하는 단면의 혼합 구역(54,154,245)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첫번째 로드(24,124,224,226,374)와 상기 판(22,122,222,324)사이의 연결부(52, 152, 252, 38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 120,220,32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로드(24,124,224,226)와 상기 두번째 척추체 (S,V)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 수단(64,66)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클램프 수단 (64, 66)은 상기 첫번째 로드(24,124,224,226)의 일부분(62,162,262)을 둘러싸는 면 (76,100)을 가진 부재(74,96)와 상기 부재(74,96)로부터 연장된 각부(88,98)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각부(88,98)는 상기 클램프 수단(64,66)을 상기 두번째 척추체 (S,V)에 연결하도록 다른 패스너(82)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부재(74,96)로부터 오프셀핀 개구(86,10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120,22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22,122,222,322)의 첫번째 주측면 (32, 132, 232, 332)과 두번째 주측면(34,134,234,334)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복수개의 보조측면 (36, 38, 40, 42, 136, 138, 140, 142, 236, 238, 240, 242, 336,338,340,342)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첫번째 로드 (24, 124, 224, 226, 372)는 상기 복수개의 보조 측면(42,142,238,242,340)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20, 120,220,320)
  11. 척추(C)의 척수체(V)의 상대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320)에 있어서, 상기 장치(320)가 상기 척추체(V)의 개별적인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될 수 있는 한쌍의 판(322,32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긱 각각의 판(322,324)이 상기 판을 상기 척추체(V)와 연결하도록 상기 패스너(346)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판 (322,324)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개구(344)를 형성하는 면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쌍의 판(322,324)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372)에 대해 독립적이고 또 상기 쌍의 판 각각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로드(372)를 포함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로드(372)는 상기 쌍의 판(322,324) 각각을 개별적인 척수체(V)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도록 여러 방향에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32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판(322,324) 각각이 상기 개구(344)가 상기 판(322,324)을 통하여 연장하는 방향에 거의 평행한 방향에서 취한 두께(T1)를 가지고 , 상기 두께(T1)는 상기 쌍의 판(322,324)중의 각각의 두께에 수직하게 취한 상기 쌍의 판(322,324)의 각각의 나비(W1)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로드(372)는 상기 쌍의 판(322,324)의 각각의 나비(W1)보다 적고 또 상기 쌍의 판(322,324)의 각각의 두께(T1)보다 더 큰 지금(D1)의 로드(372)의 종중심축(R1)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해진 원형 단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320).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판(322,324)의 적어도 하나가 가늘며 길고 또 종중심축(A1)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로드(372)의 종중심축(R1)은 상기 한개의 판(322,324)의 종중심축(A1)과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32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판(322,324)의 각각에 있는 개구(344)가 가늘고 길고, 상기 판(322,324)의 종중심축(A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 또한, 상기 개구(344)를 따라 상기 패스너(346)에 상대적으로 상기 판(322,324)이 운동하는 것을 봉쇄하도록 상기 패스너(346)의 일부분(368)을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 (344)를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홈(34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수용 장치(320).
  15. 척추(C)의 척수체(V)의 상대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장치(420)에 있어서, 상기 장치(420)가 상기 척추체(V)의 각각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판(422)을 상기 척추체(V)에 연결하도록 패스너(346)를 수용하기 위한 첫번째 개구(432)와 상기 첫번째 개구(432)를 횡적으로 연장된 두번째 개구(444)를 포함하고 있는 한쌍의 판(422), 상기 척추(C1)의 바람직한 굴곡으로 상기 척추체(V)의 상대위치를 유지하고 상기판(422)의 각각의 두번째 개구(444)내에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판(424)의 각각에 상대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회전할 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는 로드(424) 및 상기 판(422)의 각각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로드(424)의 활주 및 회전 운동을 저지시키기 위한 상기 패스너(346)와 별개의 수단(45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42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424)가 상기 쌍의 (422)의 각각에 대한 나비보다 적은 지름을 가진 상기 로드(424)의 종중심축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면내에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420).
KR1019890016900A 1989-11-18 1989-11-18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KR93000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6900A KR930000687B1 (ko) 1989-11-18 1989-11-18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6900A KR930000687B1 (ko) 1989-11-18 1989-11-18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225A KR910009225A (ko) 1991-06-28
KR930000687B1 true KR930000687B1 (ko) 1993-01-29

Family

ID=1929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900A KR930000687B1 (ko) 1989-11-18 1989-11-18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6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225A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1489B1 (en) Surgically implantable device for spinal columns
US4887595A (en) Surgically implantable device for spinal columns
KR940010075B1 (ko) 척추고정방법 및 그 장치
AU680209B2 (en) Spinal rod transverse connector for supporting vertebral fixation elements
AU2004280259B2 (en) Linking transconnector for coupling spinal rods
EP1954206B1 (en) Dorsal adjusting multi-rod connector
JP2672082B2 (ja) 骨部分を所望の空間的な関係に保持するための装置
US5486176A (en) Angled bone fixation apparatus
US5129899A (en) Bone fixation apparatus
US5324290A (en) Anterior thoracolumbar plate
US6113600A (en) Device for linking adjacent rods in spinal instrumentation
US5645544A (en) Variable angle extension rod
CA1176529A (en) Colles fracture fixature device
US5569247A (en) Enhanced variable angle bone bolt
US5591166A (en) Multi angle bone bolt
KR960004979B1 (ko) 척추골 유지 장치
US20060079892A1 (en) Adjustable tandem connectors for corrective devices for the spinal column and other bones and joints
JPH07501467A (ja) 脊髄移植装置のための横オフセットコネクタ
JPH08229052A (ja) 脊柱固定システム
WO1994006361A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bone segments
JPH1170125A (ja) ロッド横方向連結クリップ
KR930000687B1 (ko)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척추용 장치
RU21087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рескост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позвоночника
MXPA97007167A (en) Anchorage device for vertebral osteosynthesis po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