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05Y1 - 변환 어댑터 - Google Patents

변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05Y1
KR930000505Y1 KR9221885U KR920021885U KR930000505Y1 KR 930000505 Y1 KR930000505 Y1 KR 930000505Y1 KR 9221885 U KR9221885 U KR 9221885U KR 920021885 U KR920021885 U KR 920021885U KR 930000505 Y1 KR930000505 Y1 KR 930000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adapter
connector
connectors
noise filte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21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찌 우에따
유끼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무라까미 류우이찌
니뽄 덴끼 홈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15600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8655A/ko
Application filed by 무라까미 류우이찌, 니뽄 덴끼 홈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까미 류우이찌
Priority to KR9221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환 어댑터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변환 어댑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변환 어댑터를 절반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변환 어댑터의 좌측면도.
제4도는 제1도와 변환 어댑터의 우측면도.
제5도는 보드인 연결자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종래 노이즈 필터의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환 어댑터가 종래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8도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납땜-브리지가 부적절하게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 2 : 신호 케이블
3 : 컴퓨터 4 : 변환 어댑터
12, 13, 17 : 연결자 14 : 인쇄 회로판
15 : 노이즈 필터 16 : 와이어
17b : 플락스틱
본 고안은 형상이 서로다른 신호 입력/출력 연결자(connector)를 각각 갖는 두 장치간의 접속을 위한 변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멀티싱크(multisync)형 디스플레이(1)가 연결자(1a)에 의하여 신호 케이블(2)의 연결자(2a)를 지나서 출력 연결자(3b)를 갖는 컴퓨터(3)에 접속된다. 컴퓨터의 출력 연결자(3b)는 연결자(2a)와 형상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신호 케이블의 연결자(2a)와 컴퓨터(3)의 연결자(3b)사이에 변환 어댑터(4)를 삽입하므로써 접속된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1)의 연결자(1a)와, 신호 케이블(2)의 연결자(2a)는 9개의 핀으로 각각 설계되며, 반면에 컴퓨터(3) 연결자(3b)는 15개의 핀으로 설계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므로 어댑터(4)의 연결자(4a)는 9개의 핀으로 설계되지만, 다른 연결자(4b)는 15개의 핀이 적합하다.
공지된 바와 같이 컴퓨터와 디스플레이간의 접속구가 증가함으로써, 불필요한 다량의 방사가 야기되어 매우 엄격히 제한되어야 하는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런 불필요한 방사는 신호 케이블이 안테나의 일종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공지되어 있는 이런 불필요한 방사 제거 방법은 컴퓨터 출력부의 인접지역에 있는 비디오 신호 라인에서 불필요한 방사가 발생되게 하는 고주파수 성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상술된 노이즈 필터를 변환 어댑터(4)에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한 방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이즈 필터는 예리한 차단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 노이즈 필터는 제6도에 나타낸 형태의 3-단자 노이즈 필터이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변환 어댑터(4)에 알맞은 입력/출력 와이어 배열이 복잡하게 된다.
컬러 디스플레이의 경우, 특히 5개의 신호 라인(즉, R, G, B, 수평동기 및 수직동기)이 제공되면, 노이즈 필터의 수는 증가되어야 한다. 이것은 와이어 배열을 더욱 복잡하게 하며 노이즈 필터를 변환 어댑터에 설치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즉, 많은 부분이 접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변환 어댑터(4)의 입력/출력 연결자로부터 인입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예정된 노이즈 필터의 단자에 연결하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이 배열은 대량 생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며 비실용적이다.
반면, 노이즈 필터가 없는 종래의 변환 어댑터에 있어서, 상술된 불필요한 방사 노이즈는 제거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제7도에 도시된 예에서, 컴퓨터(3)의 측면에 배치된 연결자(2a)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9개의 핀 또는 15개의 핀이 적합한 두 종류 이상의 신호 케이블(2)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런 목적을 위해 다수의 신호 케이블 제공은 비교적 복잡한 배열을 내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도록 노이즈 필터를 설치할 수 있는 변환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변환 어댑터는, 서로에 대해 이격 배향되도록 어댑터 프레임 몸체상에 지지되고 형상이 서로 다른 두 연결자, 상기 두 연결자 사이에 설치된 소형 인쇄 회로판, 상기 인쇄 회로판의 중앙부상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3-단자 노이즈 필터, 그리고 상기 연결자로 부터 인입 되는 와이어를 인쇄 회로판상의 노이즈 필터 양 측면에 접속하기 위한 보드인(board-in)연결자를 구비한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변환 어댑터 제조과정에 있어서, 3개의 단자를 각각 갖는 다수의 노이즈 필터를 소형 인쇄 회로판상에 미리 설치하는 작업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또한, 변환 어댑터를 조립할 때, 두개의 보드인 연결자를 인쇄 회로판에 접속하는 작업을 다수의 와이어가 방해하지 않으므로, 최종 조립전에, 변환 어댑터의 두 연결자로부터 인입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보드인 연결자의 예정된 단자에 접속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그러므로, 접속 작업은 비교적 용이하고, 다수의 와이어 접속이 번잡하여도 변환 어댑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의 곤란성이 적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변환 어댑터는 제7도의 시스템에 나타낸 변환 어댑터에 상응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환 어댑터(4), (제7도에서와 같은 도면번호로 지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어댑터 프레임 몸체(11)를 지지하는 두개의 연결자(12, 13)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연결자들은 형상이 서로 다르다. 변환 어댑터(4)는 또한 인쇄 회로판(14)의 중앙부상에서 일렬로 배열(즉, 제2도에 도시된 시이트상에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3-단자 노이즈 필터(15)와 두 연결자(12, 13)사이에 배치된 소형 인쇄 회로판(14)을 갖는다. 연결자(12, 13)로부터 인입되는 와이어(16)를 인쇄 회로판(14)의 각 노이즈 필터(15)의 양측면(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노이즈 필터의 좌, 우측부)에 접속하도록 보드인 연결자(17)가 제공된다.
제7도에서 멀티싱크형 디스플레이(1)에 연결된 신호 케이블(2)의 연결자(2a)의 경우와 같이, 두 연결자(12, 13)중 한 연결자(12)는 예를들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단자(핀 호울), (12a)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컴퓨터(3)의 연결자(3b)와 같이 다른 연결자(13)는 15개의 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5개의 단자(핀 호울), (13a)를 갖는다.
상술된 노이즈 필터(15)는 제6도에 도시된 3-단자 노이즈 필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3-단자는 인쇄 회로판(14)에 형성된 핀 호울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인 연결자(17)는 단자(17a)가 인쇄 회로판(14)의 핀 호울(14a)에 삽입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플라스틱(17b)으로 성형되어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연결자(12, 13)로부터 인입된 와이어(16)는 보드인 연결자(17)의 각 단자(17a)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변환 어댑터(4)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각각의 노이즈 필터(15)의 단자는 인쇄 회로판(14)의 핀 호울(14a)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서 노이즈 필터의 단자에 와이어(16)를 직접 접속하는 것과 달리, 노이즈 필터의 설치 공정은 조립전에 용이 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연결자(12, 13)로부터 인입되는 와이어(16)는 보드인 연결자(17)의 예정된 단자(17a)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16)가 노이즈 필터의 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것과 다르며 상기 공정은 매우 실용적이다.
그후, 변환 어댑터(4)의 최종 조립이 수행되고, 보드인 연결자(17)는 인쇄 회로판에 접속되고, 와이어(16)가 상기 연결자(17)에 접속이 완료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결자(12, 13)로부터 인입된 다수의 와이어(16)는 인쇄 회로판(14)에 직접 접속되지만, 이 공정은 매우 곤란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두 보드인 연결자(17)의 단자(17a)는 인쇄 회로판(14)의 핀 호울(14a)에 간단히 삽입되어 납정되므로, 설치를 단순화시킨다.
그러므로, 와이어(16)의 수가 많은 설비는 장해가 되지 않으며, 작업은 매우 단순하게 될뿐만 아니라, 접속에 필요한 시간이 상당히 감소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6)가 인쇄 회로판(14)의 핀 호울(14a)에 직접 삽입되어 납땜되면, 납땜-브리지(A)는 와이어 부재[와이어(16)]가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보드인 연결자(17)와 관련된 납땜 공정에 있어서, 이와 같은 납땜-브리지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품질 저하를 방지한 다.
연결자(12, 13)간의 접속이 완료된 후, 어댑터 프레임몸체(11)는 연결자(12, 13)와 인쇄 회로판(14)과 같은 부품을 그 사이에 설치하도록 배치된다. 그후 연결자(12, 13)는 어댑터 프레임 몸체(11)내에서 고정되고, 나사(19)에 의해 커버가 고착된다. 또한, 컴퓨터 몸체와 신호 케이블에 변환 어댑터(4)틀 확고히 접속하도록 나사 (18)가 제공된다.
이렇게 배열된 변환 어댑터는 노이즈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사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노이즈 필터의 설치는 다수의 와이어 접속을 변환 어댑터내에서 매우 단순화시키므로써,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된단. 이것은 접속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킨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노이즈 필터를 갖는 변환 어댑터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 어댑터는 디스플레이와 컴퓨터간을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변환 어댑터는 형상이나 핀 갯수가 서로 다른 신호 입출력 연결자를 갖는 다른 장치간의 접속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용도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고안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Claims (5)

  1. 와이어(16)가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예정된 수의 핀접속부(12a, 13a)를 갖는 제1 및 제2연결자(12, 13)와 형상이 서로 다른 상기 제1 및 제2연결자(12, 13)가 서로 대향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연결자(12, 13)를 지지하는 어댑터 프레임 몸체(11)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자(12, 13)사이에 설치된 인쇄 회로판(14)을 구비하는 변환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판에 설치된 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15)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자(12, 13)로 부터 인입된 와이어(16)를 방기 인쇄 회로판(14)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15)의 각 측면에 접속하는 보드인 연결자(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는 상기 와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필터의 각 측면에 접속되도록 인쇄 회로판의 중앙부상에 설치된 3-단자 노이즈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자는 9개의 핀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자는 15개의 핀 접속부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환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노이즈 필터의 각 측면에 접속되도록 인쇄 회로판의 중앙부상에 일렬로 다수의 노이즈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인 연결자는 플라스틱 몸체로 성형되고 상기 노이즈 필터의 각 측면에 접속되도록 일렬로 설치된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어댑터.
KR9221885U 1987-11-28 1992-11-06 변환 어댑터 KR930000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1885U KR930000505Y1 (ko) 1987-11-28 1992-11-06 변환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1773 1987-11-28
JP18177387 1987-11-28
KR1019880015600A KR890008655A (ko) 1987-11-28 1988-11-26 전환 어댑터
KR9221885U KR930000505Y1 (ko) 1987-11-28 1992-11-06 변환 어댑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600A Division KR890008655A (ko) 1987-11-28 1988-11-26 전환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05Y1 true KR930000505Y1 (ko) 1993-02-05

Family

ID=2732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21885U KR930000505Y1 (ko) 1987-11-28 1992-11-06 변환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7526A (zh) * 2020-12-17 2021-03-09 中环天仪股份有限公司 一种tc端子过渡装置及实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7526A (zh) * 2020-12-17 2021-03-09 中环天仪股份有限公司 一种tc端子过渡装置及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8863B1 (en) Conversion adapter
US4179172A (en) Modular hardware packaging apparatus
US4686607A (en) Daughter board/backplane assembly
US4039902A (en) Electronic automation system
GB1108129A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505437B2 (ja) 給電回路
US4808114A (en) I/O unit terminal base with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socket for mounting relays, and connector for cable to CPU
US6344975B1 (en) Modular backplane
KR930000505Y1 (ko) 변환 어댑터
CA2089941A1 (en) Connector with press-fit terminal pins
EP0643449A1 (en) Cable connector for a ribbon cable
US5012390A (en) Mounting and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 communications equipment
JP3309561B2 (ja) 電子・通信装置
JP2962609B2 (ja) 交換機におけるパッケージの接続構造
JPH0817277B2 (ja) 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
US5223786A (en) Burn-in device
US5882225A (en) Jack connector device
JPS5849592Y2 (ja) 端子ブロック
KR200157469Y1 (ko) 통신기기용 커넥터핀 결합구조
KR900007116Y1 (ko) 칼라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콘넥터
CN2261089Y (zh) 插卡组合装置
JPH0850976A (ja) 入出力リレー用ターミナル
KR200264062Y1 (ko) 초고속 단자함 패치판넬
KR011396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커넥터 조립구조
KR0113527Y1 (ko)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