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408Y1 -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408Y1
KR930000408Y1 KR2019910013499U KR910013499U KR930000408Y1 KR 930000408 Y1 KR930000408 Y1 KR 930000408Y1 KR 2019910013499 U KR2019910013499 U KR 2019910013499U KR 910013499 U KR910013499 U KR 910013499U KR 930000408 Y1 KR930000408 Y1 KR 930000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water net
width
water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오 쇼오무라
아키라 미야케
시게오 이시도비
데루오 미미노
요시타다 나카무라
마사루 안도오
도요카즈 가와바다
고오지 하마다니
히사시 도이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043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19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3351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6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11645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02686A/ko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13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8Devices for adjusting the conc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4One-part threshing conc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곡장치
제1도는 수망의 일부절결평면도.
제2도는 수망의 일수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수망, 궁금(弓金), 지지프레임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강제진동기구를 표시하는 탈곡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강제진동기구와 수망과의 연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바퀴체, 레일판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탈곡장치의 전체측면도.
제10도는 수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1도는 수망의 단면도.
제12도는 수망의 일부절결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급동 24, 25 : 격자부재
31 : 보강부재 32 : 프레임체
A : 강제진동기구 D24 : 세로격자부재의 폭
D25 : 가로격자부재의 폭 N : 수망
Nb : 프레임부 Ne : 광폭의 격자부재
P : 회전축심 T : 돌곡면
U : 평탄면 W24 : 광폭의 격자부재의 폭
W31 : 보강부재의 폭
본 고안은 콤바인, 수확기(harvester)등에 탑재한 탈곡장치에 사용되는 합성수제의 수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수망으로서는, 예를들어 일본국실개소 62-86854호에 그 금속재의 심선을 격자형상으로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근래 수지기술의 발달에 의해서, 여러 종류의 금속제품이 수지제품으로 치환되고 있다.
예를들어서, 수지성형한 수망을, 금속의 선재를 엮어서 구성한 수망, 소위 권축망(捲縮網)과 같이, 종횡의 선재의 교차부분에 있어서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푸라기의 침투퇴적에 의한 체눈의 막힘이 생기기 곤란하고, 또 부식이 발생하기 어려운 이점을 보유함과 아울러, 수지자체의 발수성이나 표면의 미끄럼성에 의해 젖은 지푸라기 등이 부착하기 어려운 특성을 보유하여서, 젖은 작물의 탈곡작업에도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 반면, 강성이 금속재보다 낮으므로, 탈곡작업중의 부하에 의해 체눈이 변형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 수지제 수망의 부착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수지제의 수망을 단순히 볼트로 연결하면, 볼트머리부가 수망위로 돌출하여 버려서, 여기에 처리물이 걸려 체류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 볼트를 체결할 때에, 수망을 과대하게 조여 붙이면 볼트삽입구멍을 손상파괴시켜 버리므로 체결토오크의 설정에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여서,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수망을 큰 토오크로 직접 체결한 경우, 사용하고 있는 사이에 볼트삽입구멍이 소성변형하여 버리거나, 파손되어 헐거움이 발생하는 일도 있다.
역으로 체결토오크가 불충분하면 사용개시부터 약간의 기간경과후 볼트에 헐거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횡의 격자부재로 이루어지는 체눈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체눈의 개구율을 낮추지 않고, 탈곡부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수망, 및 상기한 문제를 수반하지 않는 수망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의한 탈곡장치, 특히 수망과 그 부착구조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특징1]
급동의 회전궤적에 따라 배치되는 수망(N)을 고내마모성, 고발수성의 수지에 의해 일체성형해서, 전기한 수망(N)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대략 급동(2)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다수의 세로격자부재(24)와, 급동의 회전축심(P)을 따르는 가로격자부재(25)를 설치하고, 전기한 세로격자부재(24)의 폭(D24) 보다도 전기한 세로격자부재(25)의 폭(D25)을 크게 설정함과 아울러, 전기한 수망(N)의 개구가, 곡간의 반송방향 아래쪽의 것보다 위쪽의 것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특징2]
전기한 수망(N)을 프레임체(32)에 부착고정할때, 머리부(30d)를 큰지름으로 중간축부(30a)를 중간지름으로 나사부(30b)를 작은 지름으로 한 단붙이볼트(30)를, 전기한 단붙이볼트(30)의 형상에 대응시킨 수망(N)의 프레임부(Nb)와 프레임체(32)의 볼트삽입구멍(Nd)에 삽입하고, 전기한 단붙이볼트(30)의 머리부(30d)를 수망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몰입시켜서 전기한 중간축부(30a)의 계단부(30c)와 너트에 의해 전기한 프레임체(32)를 체결하여 수망(N)을 프레임체(32)에 고정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특징1에 의한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같은 재료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젖은 작물을 탈곡하여도, 젖은 지푸라기나 잎사귀의 부착이 생기기 곤란하여서, 체눈막힘이 감소에도 공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격자의 형태에 의해, 급동의 회전에 따라 급실내의 처리물은 수망의 세로격자부재의 길이방항을 따라 이동하므로, 이 세로격자부재는 급동에 대향하는 표면이 처리물과의 연속한 미끄럼접촉에 의해 비교적 완만하게 마모하여 가는 것에 대해서, 가로격자부재에는 처리물이 교차하는 상태로 충돌 및 미끄럼접촉하며 가므로 이 가로격자부재는 세로격자부재보다도 시간당의 마모가 빠르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고안에서는, 마모진행이 빠른 가로격자부재의 폭을, 마모진행의 느린 세로격자부재의 폭보다도 넓은 폭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양 격자부재의 각각 넓은 폭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수망의 누하개구율(漏下開口率)을 작게하지 않고, 수망전체로서의 수명을 길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수망의 개구가 곡간의 반송방향 아래쪽의 것보다 위쪽의 작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서, 반송방향 위쪽영역에서 발생한 지푸라기 등은, 수망을 즉시에 여과하지 않고, 미처리물에 혼합되어 아래쪽영역으로 반송되어 갈 기회가 증가하므로 수망의 체눈막힘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특징2에 의하면, 탈곡처리중에 지푸라기 등이 부착볼트의 머리부에 걸려 체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부착볼트는 단붙이볼트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체에 강력하게 조여 붙여도 수망에 대한 체결은 중간 축부의 길이로 제한되어서, 일정한 체결력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과대한 체결코토오크에 의한 손상,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중 조기헐거움의 발생, 이것에 따른 손상을 없게 하여서, 지나치게 체결하는 것을 조심할 필요도 없이 볼트체결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는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탈곡장치는 공급체인(1)에 의하여 곡간이 공급되는 급실(R)에 회전축심(P) 주위를 회전하는 급동(2)이 수용됨과 아울러, 급실(R)의 하부에 급동(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만곡시킨 수망(N)이 배치되고, 수망(N)의 아래쪽에는 수망(N)으로부터의 처리물이 선별 을 실시하는 요동선별기구(3)와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4)가 배치되며, 요동선별기구(3)의 아래쪽에는 요동선별기구(3)의 그레인시이브(grain sieve)(3)를 통해 흘러내리는 곡립을 회수하는 1번스크류(5)와, 곡립이 혼입된 처리물을 회수하는 2번스크류(6)가 배치되며, 이 2번스크류(6)와 동일축심에 2번스크류(6)로 부터의 처리물의 단립화를 진하는 처리기구(7)가 설치되고, 이 처리기구(7)로 부터의 재처리물을 요동선별기구(3)로 보내는 반송스크류(8)가 설치되며, 또 요동선별기구(3)에 요동력을 작용시키는 구동기구(9)와, 장치내의 티끌을 흡인배출하는 배진팬(10)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한 수망(N)은 내마모성, 발수성이 우수한 분자량 150만 내지 450만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재를 일체형성하여 제작됨과 아울러, 강제진동기구(A)에 의하여, 급동(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강제왕복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도 내지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강제진동기구(A)는, 전기한 급동(2)의 구동축(2a)에 설치된 출력풀리(11)로 부터의 동력이 무단벨트(12), 입력풀리(13)를 거쳐서 전달되는 입력축(14)과, 이 입력축(14)를 끼워지는 편심부재(15), (15)와, 편심부재(15)에 연결되는 플레이트(16)를 통해 왕복구동력이 전달되는 요동아암(17)으로 이루어지며, 이 요동아암(17)은 기단(基端)쪽이 지축(支軸)(18)을 통해 탈곡장치의 벽부에 요동자재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요동단쪽이 걸어 맞춤편(19)을 개재하여 수망(N)의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된 로울러(21)에 계입(係入)되어 있다.
또한 수망(N)의 지지프레임(20)에는 다수의 바퀴체(22)‥‥‥가 설치되고 이 바퀴체(22)‥‥‥는 탈곡장치의 내벽에 설치된 레일판(23)에 안내되는 것으로서, 강제진동기구(A)로 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수망(N)은 급동(2)의 둘레방향을 따라 강제왕복진동되며, 또 이 강제진동기구(A)에서는 입력축(14)의 회전수가 매분 500회전으로 설정되고, 또 진동스트로우크(S)가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수망(N)의 후술하는 제2개구폭(W2)의 2, 3배로 설정되어서, 수망(N)의 체눈막힘의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수망(N)의 여과부(Na)는 프레임부(Nb)를 일체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여과부(Na)는 급동(2)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세로격자부재(24)‥‥‥와, 급동(2)의 회전축심(P)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로격자부재(25)‥‥‥를 보유하고, 또 이 수망(N)에서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여과부(Na)의 개구폭을 9㎜의 사각형으로 설정한 제1개구폭(W1)의 것과, 개구폭을 11㎜의 사각형으로 설정한 제2개구폭(W2)의 것인 2종류의 개구군을 보유하고, 제1개구폭(W1)의 여과부(Na)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공급체인(1)에 의한 곡간의 반송방향의 위쪽으로부터 수망(N) 전체폭의 1/4 정도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수망까지의 처리물의 비비는 작용을 증대시켜서, 처리물의 단립화의 촉진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로격자부재(25)의 폭(D25)을 세로격자부재(24)의 폭(D24)보다 크게 하여 각각의 격자부재의 마모의 균일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가로세로 각각의 격자부재(24)‥‥‥(25)‥‥‥의 급동쪽을 돌곡면(T)으로, 반급동쪽면을 평탄면(U)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곡간으로부터의 수분이 돌곡면(T)에도 이동하여도, 이 수분은 격자부재(24)‥‥‥(25)‥‥‥의 측면(V)을 따라서 반급동쪽으로 흐르며, 측면(V)과 평탄면(U)으로 성형되는 에지부에서 물방울로 변하여 분리낙하하도록 되어있다.
또, 수망(N)은 지지프레임(20)에 다수의 볼트(26)로 체결 고정됨과 아울러, 제5도에 표시하듯이 급동쪽면에 궁금(弓金)(27)을 끼워맞추어 안정된 상태로 볼트(26)에 체결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탈곡장치에서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지지프레임(20)에 수망(N)을 팽팽하게 설치한 것을 2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수망(N)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수망(N)의 탄성변형량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다.
즉,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수망(N)은 급동(2)의 회전방향을 따른 자세의 다수의 세로격자부재(24)와 급동(2)의 회전축심(P)을 따른 자세의 다수의 가로격자부재(25) 등으로 4각형의 개구(Ng)을 다수형상하여 이루어지는 여과부(Na)를 보유하고, 이 여과부(Na)의 바깥가장자리부에 프레임부(Nb)를 보유한 주조로 구성되어 있다.
수망(N)의 프레임부(Nb)에는 보트삽입구멍(Nd)이 다수 형성되며, 이 삽입구멍(Nd)에 볼트(30)를 삽입관 통해서, 원호형상인 프레임체(32)에 체결고정해서 수망(N)을 급등(2)의 둘레방항을 따라서, 원호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륵 되어 있다.
볼트(30)는 머리부(30d)가 접시형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중간축부(30)와 나사부(30b) 사이에 계단부(30c)를 형성하고 있어서, 강격하게 체결하여도 계단부(30c)와 프레임체(32)와의 맞닿음에 의해 수망(N) 그 자체를 압축하지 않으므로 삽입구멍(Nd)를 확대시키지 않도륵 되어있다.
또한, 이 수망(N)에서는 세로격자부재(24)‥‥‥ 중에서 소정의 것을 광폭으로 형성하고 있고, 프레임체(32) 쪽에는, 이 광폭의 세로격자부재(Ne)의 폭(W24)보다 좁은 폭(W31)의 보강부재(31)가, 광폭의 세로격자부재(Ne)를 반급동쪽으로 부터 맞닿아지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 예를 들어, 수망을 지지프레임에 부착하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 이와같이 사용하는 겅우에는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수지제로 이루어진 수망(N)을 레일판(30), (30)에 직접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바퀴체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청구범위 제1항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망의 개구를 곡간의 반송방향의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크게 되도록 개구의 크기를 다양한 종류로 형성해도 좋다.
프레임체로는 다른 부재로서 보강부재를 구성하여도 좋고, 또 어떠한 종류의 수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Claims (3)

  1. 급동(2)의 회전궤적을 따라 배치되고 수망(N)이 급동(2)의 회전축에 대략 평행한 가로격자부재(25)와 전기한 급동(2)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다수의 세로격자부재(24)로 구성되어 있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a) 전기한 수망(N)이 고내마모성, 고발수성의 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b) 전기한 세로격자부재(24)와 전기한 가로격자부재(25)에 의해 형성되는 수망(N)의 개구에 관해서, 곡간의 반송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개구보다 그 반송방향 위쪽에 위치하는 개구가 작으며, (c) 전기한 세로격자부재(24)의 전기한 급동(2)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항에 있어서의 폭(D24) 보다도 전기한 가로격자부재(25)의 전기한 급동(2)의 회전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폭(D25)이 크고, (d) 전기한 수망(N)을 프레임체(32)에 부착고정하는 단붙이볼트(30)는 큰 지름의 머리부(30d)와 중간지름의 중간축부(30a)와 작은 지름의 나사부(30b)를 보유하고, 삽입된 전기한 단붙이볼트(30)의 머리부(30d)가 수망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전기한 단붙이볼트(30)의 형상에 대응시켜 수망(3)의 프레임부(Nb)와 프레임체(32)에 볼트삽입구멍(Nd)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세로격자부개(24)‥‥‥중, 소정부위의 것을 다른 세로격자부재(24)보다 광폭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광폭의 격자부재(Ne)의 반급동쪽면을 광폭의 격자부재(Ne)의 폭(W24)보다 좁은 폭(W31)의 보강부재(31)로 받쳐서 지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수망(N)이 분자량 150만 내지 450만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KR2019910013499U 1988-08-17 1991-08-23 탈곡장치 KR930000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499U KR930000408Y1 (ko) 1988-08-17 1991-08-23 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04323 1988-08-17
JP63204323A JPH06101967B2 (ja) 1988-08-17 1988-08-17 脱穀装置の受網支持構造
JP1988133512U JPH0746Y2 (ja) 1988-10-13 1988-10-13 脱穀装置の合成樹脂製受網の取付構造
JP88-133512(U) 1988-10-13
KR1019890011645A KR900002686A (ko) 1988-08-17 1989-08-16 탈곡장치
KR2019910013499U KR930000408Y1 (ko) 1988-08-17 1991-08-23 탈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645A Division KR900002686A (ko) 1988-08-17 1989-08-16 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08Y1 true KR930000408Y1 (ko) 1993-01-30

Family

ID=2747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499U KR930000408Y1 (ko) 1988-08-17 1991-08-23 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4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78A (ko) * 2001-08-17 2003-02-25 정상철 용기 가압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78A (ko) * 2001-08-17 2003-02-25 정상철 용기 가압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823A (en) Scraper blade for a belt conveyor
CA1255630A (en) Device for removing screened or sifted material from liquid flowing in a gutter
US11441666B2 (en) Sprocket for agricultural vehicle
JPH0759795B2 (ja) ウッド粒子用スクリーン
KR930000408Y1 (ko) 탈곡장치
US3206920A (en) Resilient mounting for grain pick-up tines
EP1400288A2 (de) Vorrichtung zum Trennen von Grobkorn und Feinkorn
US4865184A (en) Chain conveyor drive
US6279726B1 (en) Self-cleaning drive mechanism for driving conveyor belts
SU1390140A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винтового конвейера
JPH0649164Y2 (ja) 脱穀装置の受網構造
DE2347425B2 (de) Gerät zum Aufsammeln faseriger oder langfibriger Bestandteile aus einer flüssigkeitsdurchströmten Rinne
SU1050761A1 (ru)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 машина
JPH069449B2 (ja) 脱穀機の受網構造
SU11831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ыпучих кормов
JP3408970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SU1234312A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конвей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стебельных кормов
JP2000168938A (ja) 食品の選別コンベア
JPH0644352Y2 (ja) 脱穀装置の受網支持構造
JPH104767A (ja) 脱穀装置
JPH06101967B2 (ja) 脱穀装置の受網支持構造
JPH0249512A (ja) 脱穀装置
JPH0541652Y2 (ko)
SU1528366A1 (ru) Ременна сортировка корнеклубнеплодов
RU2078014C1 (ru) Конвейер дл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