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96Y1 - 내장판 부착용 클립 - Google Patents

내장판 부착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96Y1
KR930000296Y1 KR2019900014061U KR900014061U KR930000296Y1 KR 930000296 Y1 KR930000296 Y1 KR 930000296Y1 KR 2019900014061 U KR2019900014061 U KR 2019900014061U KR 900014061 U KR900014061 U KR 900014061U KR 930000296 Y1 KR930000296 Y1 KR 930000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lip
flang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도메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96Y1/ko

Links

Landscapes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장판 부착용 클립
제1도는 본 고안안 내장판부착용클립의 정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우측면도.
제4도는 좌측면도.
제5도는 저면도.
제6도는 내장판에 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내장판을 본체에 지착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장판부착용 클립 2 : 장착머리부
3 : 걸림다리부 4 : 목부
5 : 주 플랜지 6 : 종 플랜지
7 : 장착구멍의 축경부 10 : 탄성걸림편
11 : 위치결정용 동기 A : 내장판
B : 몸체판넬 C : 열쇠구멍형 장착구멍
C1: 큰구멍부 C2: 작은구멍부
D : 삽입구멍
본 고안은 자동차 내장판으로 사용되는 트림보드를 차 실내벽판인 몸체에 접면상으로 지착할 때 사용되는 내장판 부착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판을 몸체면에 접면상으로 지착하는 수단으로는 종래로부터 내장판 부착용 클립이 알려져 왔다.
이 내장판 부착용 클립은 큰 직경의 주플랜지와 작은 직경의 종플랜지를 목부로 연결하여, 2단으로 성형한 장착머리부와, 주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목부의 축심을 따라 설치한 걸림다리부로써 구성하여 있고, 내장판인 트림보드에 미리 뚫어둔 열쇠구멍형의 장착구멍에 상기 장착머리부를 걸리게 하여 트림보드의 일면으로부터 걸림다리부가 일어서도록 부착한 후, 이 걸림다리부를 몸체에 뚫은 삽입구멍에 눌러넣어서, 몸체에 트림보드를 접면상으로 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내장판 부착용 클립의 사용은 우선 트림보드에 성형한 열쇠구멍형 장착구멍의 큰 구멍부에 장착머리부의 종플랜지를 관통하고, 주플랜지를 보드의 일면에 당접시킨 후, 그대로 면방향으로 스라이드시켜 장착머리부에 목부를 장착구멍의 축경부를 통하여 작은구멍부에 이동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종플랜지를 보드의 타면에 당접시켜 주, 종양플랜지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트림보드의 양면을 끼워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트림보드의 특징은 트림보드의 배면측으로부터 부착하여서 있는 형상으로 지착할 수 있고, 보드의 표면측으로 노출하지 않지만, 그 한쪽이 상기 보드에 대한 부착으로 열쇠구멍형 장착구멍과, 장착머리부의 끼어붙임에 어려움이 있고, 부착에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등 문제가 있었다.
그 구체적인 문제의 하나는 장착구멍을 항상 정확하게, 또 균일하게 성형할 수 없다는 점이다.
널리 알려진 것같이, 장착구멍은 트림보드에 성형할 경우, 구멍을 뚫어서 성형하지만, 이 경우 장착구멍의 축경부를 내장판 부착용 클립의 목부를 성형하도록 정확하게 뚫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기 축경부의 폭을 목부의 직경보다 어느정도 크게 성형하여 전술한 것처럼 장착머리부를 큰 구멍부에서 작은구멍부로 이동시킬 때 확실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스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하는 것은 한편 장착머리부가 용이하게 끌러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트림보드를 몸체에 붙였을 때 탈락하여 지착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내장판부착용 클립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열쇠구멍형 장착구멍의 큰 구멍부로 끼워 통과시킨 후, 작은 구멍부에 이동시킴으로써, 부착된 장착머리부가 되돌아가는 것을 이 장착머리부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걸림편과 위치결정돌기에 의하여 저지하고, 임으로 부착상태가 해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장착구멍에 설치된 축경부에 의하여 목부의 통과가 방해받게 되어, 큰 구멍부에서 작은 구멍부로의 이동이 곤란하게 되고, 또 장착작업이 귀찮아지는 것을 개선한 내장판부착용 클립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은 상술한 것같이 탄성걸림편과 위치결정용 돌기에 의하여 종래의 내장판부착용 클립에서의 결함을 해소한 것으로, 장착시 장착머리부의 주플랜지에 형성한 탄성걸림편을 장착구멍의 큰 구멍부에 내주연에 걸어 작은 구멍부에 채운 목부의 이동을 저지하고, 안정된 장착상태를 확보하는 한편, 장착머리부의 주, 종 플랜지 사이에, 상기 탄성걸림편의 연설방향으로 가지런히 설치한 위치결정용 돌기를 크고작은 양쪽구멍부 사이에 연결하는 축경부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탄성걸림편의 걸림을 자동적으로 확보하고, 아울러, 내장판 부착용 클립 자체의 회전을 저지하여 큰 구멍부로부터 탄성걸림편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목부를 사이에 끼고, 직경이 작은 종플랜지와 직경이 큰 주플랜지를 단상으로 설치한 장착머리부와, 상기 주플랜지지의 하면으로 부터 목부의 축심을 따라 수직 설치된 걸림다리부를 갖게되고, 한쪽 판넬에 설치한 열쇠구멍형 장착구멍의 큰 구멍부에 전기 종플랜지를 관통한 후, 판넬면을 따라 목부를 작은 구멍부에 이동시켜, 이 장착구멍에 장착머리부를 부착하는 한편, 다른쪽 판넬에 형성한 삽입구멍에 전기 걸림다리부를 눌러넣어 걸리게 함으로써, 판넬끼리를 접면상으로 부작하도록 된 내장판 부착용 클립에 있어서, 전기 주플랜지의 한쪽 가장가지부로 부터 전기장착구멍의 큰 구멍부의 내주연에 걸린 탄성걸림편을 방사상으로 연설시키는 한편, 전기 종플랜지와 주플랜지 사이에 상기 탄성걸림편의 연설방향에 가지런하게 위치 결정용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판부착용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자세하게 그 특징을 밝힌다.
제1도는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정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우측면도, 제4도는 좌측면도이고, 제5도는 저면도이다.
내장판부착용 클립(1)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예를들면, 폴리아세탈을 재료로하여 성형된 것으로, 내장판(A)에 부착한 장착머리부(2)와, 자동차몸체(B)의 판넬면에 부착한 걸림다리부(3)와를 일체로 한다.
장착머리부(2)는 목부(4)를 중심으로 하여, 이 목부를 사이에 끼고 상대를 향하여 단상으로 설치된 직경이 큰 주플랜지(5)와, 직경이 작은 종플랜지(6)를 갖는다.
이 양쪽 플랜지(5), (6)는 내장판(A)의 판두께와 같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 양쪽을 잇는 목부(4)는 내장판(A)에 개설된 장착구멍(C)의 축경부(7)의 폭보다 작은 직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머리부(2)의 상단에 위치한 종플랜지(6)는 상기 장착구멍(C)의 큰 구멍부(C1)보다 직경이 작고, 작은구멍부(C2)보다는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아랫쪽의 주플랜지(5)는 상기 큰 구멍부(C1)보다는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걸림다리부(3)는 상기 주플랜지(5)의 하면 중앙부로 부터 목부(4)의 축심선을 따라 다리기둥부분(3a)을 수직 설치하고, 이 다리기둥 부분의 하단으로 부터 되접이 꺾는 것같은 한쌍의 탄성걸림편(3b), (3b)를 연설하여, 그 선단을 주플랜지(5)의 하면 중앙부를 따라 일체로 설치한 기초부(8)에 접속시켜, 전체 형상이 뱀머리형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부(8)의 외주연부로부터 우산형의 탄성흡착플랜지(9)를 연설하여, 장착 머리부(2)와 이 걸림다리부(3)을 구획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가운데, 10은 전기 주플랜지(5)의 외주연부에서 바깥쪽으로 내어붙인 형태로 연설한 탄성걸림편이고, 11은 이 탄성걸림편(10)의 연설방향에 일치시켜, 목부(4)의 외주면으로 부터 주, 종양플랜지(5), (6)사이에 걸치도록 돌출 설치한 위치 결정용 돌기이다.
탄성걸림돌기(10)는 앞으로 설명하는 것처럼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사용시에 이동을 구속하는 것으로, 혀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길이방향의 중간부터 선단부률 윗쪽으로 굴곡시켜, 선단부가 목부(4)의 중간높이 정도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부의 하면에서 주플랜지(5)의 수평면에 가지런하게 설편(12)을, 이 선단부를 넘어서 밀어내듯이 설치하고 있다.
한편, 위치결정용 돌기(11)도 마찬가지로, 본 고안인 내장판 부착용 클립을 사용할 때, 내장판(A)의 장착구멍(C)에 대하여 일정방향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사용시 클립의 임의회전을 구속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단면형상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있고, 선단의 벽부분(13)의 폭을 전기 장착구멍(C)의 축경부(7)의 폭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은 상술한 것과같이 구성된 것으로, 또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에 의한 내장판부착은 종래의 경우와 같이 한장의 내장판을, 여러개의 내장판부착용 클립을 사용하여 지착하였지만, 여기에서는 1개의 내장판 부착용 클립의 부착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부착을 위하여 내장판(A)의 필요한 곳에 미리 장착구멍(C)이 형성 되고, 또한 여기에 각각 대응시켜서 몸체(B)에는 삽입구멍(D)이 뚫려있다.
제6도에서 제8도는, 사용의 실제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1)은 종래의 클립과 같이 우선 내장판(A)에 부착되고, 이어서 몸체(B)에 부착된다.
내장판(A)에 대하여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은 내장판에 형성된 장착구멍(C)의 큰 구멍부(C1)를 향하여 장착머리부(2)의 종플랜지(6)를 집어넣어, 목부(4)를 관통시키고, 주플랜지(5)의 상면을 내장판(A)의 하면에 당접시킨다(제6도 두 점선부분 참조). 이때, 주플랜지(5)에서 연설시킨 탄성걸림편(10)도 역시 내장판(A)의 하면에 상면을 탄력적으로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휘어지므로, 상기 종플랜지(6)를 집어 넣는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상기 종플랜지(6)를 큰구멍부(C1)에 관통시킨 뒤, 이어서 주플랜지(5)의 상면이 당접한 내장판(A)의 하면을 인도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목부(4)가 장착구멍의 축경부(7)를 통하여 작은 구멍부(C2)로 이동하여, 내장판에 대한 내장판 부착용 클립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이동에 따라 목부(4)가 장착구멍의 축경부(7) 통과할 때, 목부(4)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밀어낸 위치결정용돌기(11)가 가이드되어, 목부(4)의 통과를 먼저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이 돌기(11)는 뒤로부터 따라가 축경부(7)에 수납되고, 이 수납에 의하여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방향을 결정하고, 이 돌기(11)를 밀어낸 방향으로 가지런히 있는 탄성걸림편(10)을 장착구멍(C)의 큰 구멍부(C1)로 유도하여 목부(4)가 작은구멍(C2)에 수납과 동시에, 그 선단부를 구멍부의 내주연에 집어넣어 걸어 맞추게 된다.
제6도, 제7도는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작은 구멍부(C2)로의 이동 완료시에 있어서, 위치결정용돌기(11)의 축경부(7)로 끼워 맞취, 또 탄성걸림편(10)의 큰 구멍부(C1)로의 걸어맞춤을 나타내고 있고, 설편(12)은 이때 내장판(A)의 하면에 접면하여, 탄성걸림편의 선단부가 큰 구멍부(C1)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장판(A)에 대한 내장판클립(1)의 부착이 끝난후. 내장판의 한면으로부터 기립한 걸림다리부(3)를 몸체판넬(B)에 개설한 삽입구멍(D)으로 향하게 하여, 보드의 표면(상면)을 눌러 이를 걸어맞추고, 탄성걸림편(3b), (3b)의 탄성을 이용하여 걸어맞취서 몸체에 대한 내장판의 부착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제8도). 또한, 걸림다리부(3)의 걸림과 함께 탄성흡착플랜지(9)를 몸체판넬에 압압하여 장착구멍의 틈새부를 밀폐한다.
몸체판넬에 압압하여 장착구멍의 틈새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상은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고안인 내장판 부착용 클립은 열쇠구멍형 장착구멍에 장착 머리부(2)를 장착하므로써, 목부(4)를 큰 구멍부(C1)로부터 작은구멍부(C2)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플랜지(5)에 설치한 탄성걸림편(10)이 상기 큰 구멍부에 끼워넣어져, 그 선단부를 구멍부의 내주연에 걸어맞춘 후, 되돌림을 저지하므로, 내장판부착용 클립은 내장판의 장착구멍에 확실히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여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장착상태를 확보하기 때문에 열쇠구멍형 장착구멍의 정밀도, 더구나 그 축경부(7)의 폭을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목부의 직경에 맞춰서, 일정칫수를 형성할 필요로부터 해방되고,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제조상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 탈락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몸체에 대한 부착작업을 신속하고, 또 정확히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인 내장판부착용 클립은 장착구멍의 축경부를 안내하여. 목부를 작은구멍부를 향하여 이동시킬 때, 일정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으면 위치결정용돌기(11)의 선단이 큰 구멍부(C1)의 내주에 닿아 목부(4)의 진입을 꾀하고, 스스로 이를 따름으로써,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이동과 동시에, 탄성걸림편(10)은 자동적으로 큰 구멍부(C1)로 향하게 되고, 장착완료시 이 탄성걸림편을 구멍부의 내주연에 걸려 멈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돌기(11)는 장치 상태시에는 축경부(7)에 끼워맞춰져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회전을 저지하므로, 내장판부착용 클립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걸림편이 큰 구멍부로부터 빠져나오는 일이 없이 안정된 부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1. 목부를 끼고 작은 직경의 종플랜지와 큰 직경의 주플랜지를 단형상으로 설치한 장착머리부와, 상기 주플랜지의 하면에서 목부의 축심을 따라 수직설치된 걸림다리부로 되어 있고, 한쪽 판넬에 설치된 열쇠구멍형 장착구멍의 큰 구멍부에 전기 종플랜지 관통한 후, 판넬면을 따라 목부를 작은 구멍부로 이동시켜, 이 장착구멍에 장착머리부를 부착하는 한편, 다른쪽 판넬에 형성한 삽입구멍에 전기 걸림다리부를 밀어넣어 거는 것에 의하여 판넬끼리를 접면형으로 부착하도록 하여서 된 내장판 부착용 클립에 있어서, 전기 주플랜지의 한쪽 가장자리부로부터 전기 장착구멍의 큰 구멍부의 내주연부에 걸리도록 탄성걸림편을 방사상으로 연설시키는 한 편, 전기 종플랜지와 주플랜지 사이에 상기 탄성걸림편의 연설방향으로 가지런히 위치결정용 돌기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판부착용 클립.
KR2019900014061U 1990-02-23 1990-09-11 내장판 부착용 클립 KR9300002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812 1990-02-23
JP1681290U JPH0726568Y2 (ja) 1990-02-23 1990-02-23 トリムクリッ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96Y1 true KR930000296Y1 (ko) 1993-01-25

Family

ID=1192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061U KR930000296Y1 (ko) 1990-02-23 1990-09-11 내장판 부착용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6568Y2 (ko)
KR (1) KR930000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254A (ko) * 2019-12-17 2021-06-25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0863B2 (ja) * 2012-08-20 2014-05-14 第一ビニール株式会社 吸盤ホルダー、これを用いる吸盤式シート状物保持具及び日除け構成材、並びに窓用の日除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254A (ko) * 2019-12-17 2021-06-25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568Y2 (ja) 1995-06-14
JPH03108919U (ko) 199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419B1 (ko) 클립
JPS6017527Y2 (ja) プラスチック製留め具
JP2595456Y2 (ja) ハーネスクリップ
US6711790B2 (en) Buckle device
CA1174640A (en) Hanger assembly with u-shaped hanger
JP4044406B2 (ja) 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留め具
US4675937A (en) Resilient grommet with metal lock plate
JP3229968B2 (ja) 自動車用ランプ台の取付構造
US7686353B2 (en) Cabinet catch for use in a cabinet latch assembly and a method for making the catch
JPH09294612A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およびそのスライダーのカバー成形金型
US20100213804A1 (en) Drawer Assembly for a Cabinet
KR930000296Y1 (ko) 내장판 부착용 클립
JPH02245507A (ja) 曲面部品の保持装置
US3049176A (en) Drapery rod fixture
EP0215561A2 (en) Two-part plastics clip
JP4253402B2 (ja) クリップ
CN220458942U (zh) 一种家居橱柜地脚线盲装结构及家居橱柜
JP2001087050A (ja) ダボ内蔵棚板
KR20160001779A (ko) 차량용 매트 고정구
KR101636614B1 (ko) 라운드형 마운트를 가진 크리센트 설치용 지그
CN220517940U (zh) 车辆遮阳板固定结构
JP3829039B2 (ja) クリップ
CN203713743U (zh) 安全带盖饰板
JP5272816B2 (ja) 洋風便器の床固定構造
KR930000048Y1 (ko) 냉장고용 선반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