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627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627B1
KR920009627B1 KR1019900003087A KR900003087A KR920009627B1 KR 920009627 B1 KR920009627 B1 KR 920009627B1 KR 1019900003087 A KR1019900003087 A KR 1019900003087A KR 900003087 A KR900003087 A KR 900003087A KR 920009627 B1 KR920009627 B1 KR 920009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belt
clothes
strip
ou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678A (ko
Inventor
사또루 이와세
다까시 가와노
기요미 사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조기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는 전체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전체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의 상당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의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케이싱 5 : 의류출입구
6, 36 : 도어 9, 43 : 벨트(띠모양체)
17 : 모터(구동장치) 22 : 건조실
23 : 온풍공급장치 27 : 송풍장치
30 : 히터 39 : 열교환기
49 : 제1벨트(제1의 띠모양체) 50 : 제2벨트(제2의 띠모양체)
본 발명은 외부케이싱 상부에 의류출입구를 갖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바닥위에 설치한 경우에 양호한 사용형태를 거둘수 있는 것으로서, 의류출입구를 외부케이싱 상부에 설치해서 외부케이싱의 상부로 의류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한 소위 톱로딩(top loading)식의 건조기이다.
이 톱로딩식의 건조기에서는 내부를 건조실로하는 드럼을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횡축상으로 설치하여, 이 드럼의 몸통부에 의류출입용의 오프닝부를 형성하고, 외부케이싱 상부에 의류출입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전술한 오프닝부에는 드럼덮개를 설치함과 동시에 전술한 의류출입구에는 개폐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그래서 이런 종류의 건조기에서는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의류를 상하로 교반시키고 해당 드럼내, 즉 건조실로 온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킨다.
그런데 전술한 것에서는 드럼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드럼을 그 오프닝부와 외부케이싱의 출입구를 합치시키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위치검출센서, 드럼의 제동기구, 또 위치 제어회로등이 요구되고,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 드럼에 있어서 오프닝부가 그 몸통부에 있기 때문에 오프닝부의 크기에 제약을 받아서 크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의류출입구도 크게 할 수 없고, 큰 의류나 다량의 의류를 출입시키는데 불편했다.
또 외부케이싱과 드럼이 소위 이중벽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드럼덮개의 개폐 등을 고려하면 이들 외부케이싱과 드럼과의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틈새가 필요하고, 이 결과 건조실 용적을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 전체의 대형화가 불가피하였다.
본 발명의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케이싱 상부로 의류를 출입시키면서 구조가 대단히 간단하게 되고 또 전체를 크게 하지 않고 건조실 용적을 크게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온풍공급 장치에 의해 건조실내에 온풍을 공급해 의류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 의류출입구를 형성한 외부케이싱과 의류출입구가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와 건조실의 저면부로부터 측면부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회주행에 의해서 의류를 건조실내에서 교반하는 띠모양체와 이 띠몬양체의 주행면과 외부케이싱 내면으로 구성된 건조실과, 띠모양체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 띠모양체는 건조실의 저면부로부터 측면부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회주행에 의해서 의류를 건조실내에서 교반하는 하나의 띠모양체도 가능하다.
또한 띠모양체를 건조실의 저면부에 일방 부위로부터 타방부위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배치된 제1의 띠모양체와 건조실의 측면부에 제1의 띠모양체의 타방부위에 대응하는 하방부위로부터 상방부위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의 띠모양체로 구성됨과 동시에 제2의 띠모양체의 주행 속도를 제1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보다 크게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띠모양체에 의해 의류를 교반하는 구성이므로 종래와 같은 드럼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종래의 드럼정지 제어가 불필요하다. 이 결과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띠모양체와 외부케이싱으로 건조실을 구성하므로 이중벽 구조의 종래와는 다른 1중벽 구조로 되고 이 결과 전체의 크기는 변하지 않고 건조실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의류출입구를 외부케이싱의 건조실 형성부분에 설치하므로 의류출입구의 크기가 드럼의 몸통부의 오프닝부의 크기에 의존하는 종래와는 달리 의류출입구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다. 또, 띠모양체를 하나로 구성하여 띠모양체의 주행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를 제1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보다 크게하는 수단을 구비하게 되면, 의류는 제1의 띠모양체에 의해 제2의 띠모양체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2의 띠모양체로 이동되어 쌓이고, 그래서 제2의 띠모양체의 의류 위로 올려진 후 건조실의 하부에 제1의 띠모양체로 낙하하고 이것이 반복된다.
이라하여 건조실의 저부를 이루는 제1의 띠모양체의 주행면에서는 복수의 의류가 겹쳐서 압축된 상태로 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 장치에 있어서는 제2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가 제1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보다 빠르므로 의류가 제1의 띠모양체로부터 제2의 띠모양체로 이동되어 쌓일 때 제2의 띠모양체의 접촉한 의류가 양자간의 속도차에 의해 제2의 띠모양체쪽으로 당겨져 늘어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 속의 의류에 대해서는 떨어지도록 되어 제2의 띠모양체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의류자체가 풀림과 동시에 다른 의류와도 양호하게 분리된다.
이하 본 발명의제 1 의 실시예에 대해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1”은 외부케이싱이고, 이것은 주로 플레이트(2)와, 플레이트(2)위에 설치된 외부상자(3)와, 외부상자(3)의 상단측에 설치된 상부카바(4)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상부카바(4)는 외부상자(2)의 상부에서 번면에 걸쳐저 장착되어 있고, 이 상부카바(4)에는 상부 및 전면에 걸쳐저 비교적 큰 의류출입구(5)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부카바(4)에는 의류출입구(5)를 개폐하고 외부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6)가 축(7)을 통해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8” “9”는 띠모양체인 벨트이고, 일방의 밸트(8)는 외부케이싱(1)내의 하부에 있어서 전방측면의 부위에 설치된 롤라(10)와 전방측면의 뒤쪽의 부위에 설치된 롤라(11)에 걸려있고, 또 타방의 벨트(9)는 전술한 롤라(11)의 옆에 설치된 롤라(12), 상부후부에 설치된 롤라(13)에 걸려있다.
전술한 롤라(11) 및 (12)에는 종동풀리(14)(15)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양풀리(14)(15) 사이에는 전동벨트(16)가 걸려있다.
“17”은 플레이트(2)에 설치된 구동장치인 모터로, 그 회전축에는 구동풀리(18)가 부착되어 있고, 이 구동풀리(18)와 전술한 종동풀리(14)와의 사이에도 전동벨트(19)가 걸려있다. 따라서 전술한 벨트(8) (9)는 모터(17)에 의해 순회 주행되도록 되었고 이 경우 벨트(8)는 화살표(A)에서 나타낸 것처럼 그 상면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주행하고 또 벨트(9)는 화살표(B)에서 나타낸 것처럼 그 전면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20” “21”은 칸막이판이고 일방의 칸막이판(20)은 일방의 벨트(8)의 전방 측면부분과 외부상자(3) 전방판상부 내면에 걸쳐서 가설되고, 또, 타방의 칸막이판(21)의 타방의 벨트(9)의 상부부분과 외부상자(3) 뒤 판상부 상부내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또 벨트(8)(9)와 이들 칸막이판(20)(21)으로 외부케이싱(1)의 내부를 그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방부와 남은 부분을 차지하는 하방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리하여 전술한 벨트(8)에 있어서 상면측의 주행면 및 벨트(9)에 있어서 전면측의 주행면과 전술한 외부케이싱(도어(6)도 포함) 내면으로 건조실(22)이 형성되어 있고, 벨트(8)의 상면측이 건조실의 저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벨트(9)의 전면측이 건조실의 측면부인 배면부를 형성하고 있다.
“23”은 온풍공급장치이고, 이것은 팬(fan)(24) 및 모터(25) 및 케이싱(26)으로 되는 송풍장치(27)와, 이 송풍장치(27)의 케이싱(26)에서 전술한 하방의 칸막이판(20)에 설치된 통기구체(28)를 통해서 건조실(22)로 통하는 덕트(29)와 통기구체(28)부분에 설치되어 그 통기구체(28)를 통하는 바람을 가열하여 온풍화하는 히터(30)로 구성되어 있다.
또 “28a”는 통기구체(28)에 설치된 가드(guard)이다. 또 전술한 도어(6)의 상면부에는 배기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기구(31)에는 필터(32)가 장착되어 있다. “33”은 외부상자(3)의 뒤판상부에 형성된 흡입구이다.
“34”는 펠트(felt)고정판으로 이것은 일방의 벨트(8)과 타방의 벨트(9)와의 경계부분에 위치 하도록해서 외부상자(3)의 좌우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 펠트고정판(34)의 내측부 및 전술한 칸막이판(20)(21)의 내면에는 각각 기밀유지용으로 펠트(35)가 벨트(8)(9)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도어(6)는 곡률(R)을 가지고 전면측으로 팽창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건조실(22)의 내용적인 확대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어서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어(6)를 개방하고 건조시켜야 할 의류를 건조실(22)에 수용한다. 그리고 도어(6)를 폐쇄한 후 모터(17)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모터(25) 및 히터(3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리하여 모터(17)가 기동하면 벨트(8)가 화살표(A)방향으로 순회주행됨과 동시에 밸트(9)가 화살표(B) 방향으로 순회 주행된다.
이에따라 의류가 화살표(C)에서 나타낸 것처럼 건조실(22)의 저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 상방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건조실(22)의 하부로 낙하하여 의류가 교반된다. 한편 모터(25) 및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팬(24)이 회전되고 따라서 외부공기가 화살표(D)에서 나타낸 것처럼 흡입고(33)를 통해서 케이싱(26)내로 흡입되고 그리고 덕트(29), 통기구체(28)를 통해서 건조실(22)로 공급된다. 이 경우 외부공기 즉 송풍장치(27)에 의해 얻어지는 바람은 히터(30)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화하여 건조실(22)내로 공급된다.
이 온풍은 의류의 건조에 사용된 후 배기고(31)에서 배출된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케이싱(1)의 내부에 그 하방부에서 상방부에 걸쳐서의 부위에서 순회주행 하는 띠모양체인 벨트(8)(9)를 설치하여 그 벨트(8)(9)에 의해 의류를 교반시키도록 했으므로 의류를 교반시키는 종래와 같은 드럼을 필요로 하지않고 따라서 종래의 드럼정지제어가 불필요하다.
이결과 드럼위치 검출센서, 드럼의 제동기구 및 위치제어회로등이 요구되지 않고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수 있다. 또 벨트(8)(9)와 외부케이싱(1)으로 건조실(22)을 구성하므로 이중벽구조의 종래와는 다르게 1중벽구조로 되고, 이 결과 전체의 크기는 변하지 않고 건조실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외부케이싱(1)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6)를 전방측으로 팽창돌출하도록 만곡형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조실용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또 의류가 도어(6)의 만곡형상에 따라 낙하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어서 교반효과의 향상 나아가 건조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출입구(5)를 외부케이싱(1)의 건조실(22) 형성부분에 형성하므로 의류출입구의 크기가 드럼의 몸통의 오프닝부의 크기에 의존하는 종래와 달라서 의류출입구(5)의 크기를 크게 할 수있고, 큰 의류나 다량의 의류를 출입시키는 경우에 대단히 편리하다.
이 경우 의류출입구(5)를 외부케이싱(1)의 상부에 설치했으므로 종래의 톱로딩식과 같이 사용형태가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로 도어형상, 온풍유통구조, 띠 모양체의 주행구조의 점에서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1의 실시예에서는 도어(6)를 만곡형상으로 했으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36)를 각부를 라운딩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건조하는데 쓴 온풍을 배출하도록 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풍을 건조실(22) 유출후에 제습함과 동시에 재가열해서 건조실(22)내로 돌아가는 소위 온풍순환구조를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36)에는 온풍배출구가 설치되지 않고 상부의 칸막이판(21)에 온풍유출구(37)가 설치되고 이 온풍유출구(37)를 덕트(38), 송풍장치(27)의 케이싱(26) 열교관기(39)의 열교환파이프(40), 덕트(29)를 통해서 통기구체(28)로 연결하고 있다.
전술한 열교환기(39)의 열교환파이프(40)의 외각주위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장치에 의해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되었고, 또 열교환파이프(40)의 내면에 생긴 이슬은 배수구(41)로부터 유출되어 담수용기(42)에 저장되도록 되어있다.
또 제1의 실시예에서는 띠모양체로서 2개의 벨트(8)(9)를 이용했으나 제2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벨트(43)를 이용하여, 이 벨트(43)를 메인롤라(44)(45)와 중간롤라(46)(47)로 주행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래서 일방의 메인롤라(44)를 모터(48)로 구동함으로서 벨트(43)를 화살표(E)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제1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거두는 외에 벨트(43)의 주행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습기를 포함한 온풍을 실내로 토출하지 않고 끝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의 띠모양체인 제1의 벨트(49)와, 제2의 띠모양체인 제2의 벨트(50)와의 속도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 점이 제1의 실시예와 다르다.
제2의 벨트(50)의 주행속도를 제1의 벨트(49)의 주행속도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것을 위한 구성으로서는 제1의 벨트(49)측의 종동풀리(51)의 직경에 대해 제2의 벨트(50)측의 종동풀리(52)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각 풀리(51)(5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동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1의 벨트(49)는 외부케이싱(1)의 안쪽 하방부에 있어서 전방측의 부위(일방의 부위)에서 뒤로 가까운 부위(타방의 부위)에 걸쳐서 순회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벨트(50)는 전술한 외부케이싱(1)의 안쪽 하방부의 전술한 뒤로 가까운 부위에서 상방부에 걸쳐서 순회주행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운전시에 있어서 제1의 벨트(49)상을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해서 제2의 벨트(50)로 이동하여 제2의 벨트(50)상을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여 건조실(22)의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래서 제1의 벨트(49)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전술한 것이 반복된다. 여기서 의류가 화살표(C)에서 나타낸 것처럼 건조실(22)의 저부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또 상방으로 이동되고 그래서 건조실(22)의 하부로 낙하하여 다시 의류가 교반된다. 그런데 건조실(22)의 저부를 이루는 제1의벨트 (49)의 주행면에서는 의류가 저부로 떨어져서 오게되므로 복수의 의류가 압축된 상태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태에서 의류가 교반되면 그리 건조효과가 오르지 않을까 염려된다. 그래서 제3의 실시예에서는 제2의 벨트(50)의 주행속도가 제1의 벨트(49)의 주행속도보다 빨라서 의류가 제1의 벨트(49)에서 제2의 벨트(50)로 이동적재될 때 제2의 벨트(50)에 접촉한 의류가 양자간의 속도차에 의해 제2의 벨트(50)측으로 당겨지도록 되면서 이어서 의류에 대해서는 떨어지는 것처럼 되어 제2의 벨트(50)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의류자체의 꼬임이 풀리면서 다른 의류와도 양호하게 분리해서 건조실(22)내 상부로 방출됨으로서 건조효과가 상승함과 동시에 주름의 발생도 적다. 그밖에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서술에서 밝혀진 것처럼 아래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허정구범위 제1항의 건조기에 따르면 외부케이싱상부로 의류를 출입시키면서 구조를 대단히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 의류출입구를 크게 할 수 있어서 큰 의류나 다량의 의류를 출입시키는 경우에 아주 편리하게 되고, 또 전체를 크게 하지않고 건조실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건조기에 의하면 띠모양체의 주행구조를 간단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건조기에 의하면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건조기에 의한 효과외에 의류 각각을 풀수 있음과 동시에 의류 서로를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건조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름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온풍공급장치(23)에 의해 건조실내에 온풍을 공급해 의류를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에 의류출입구(5)를 형성한 외부케이싱(1)과, 의류출입구가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6)와, 건조실의 저면부로부터 측면부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회주행에 의해서 의류를 건조실내에서 교반하는 띠모양체(8)(9)와, 이 띠모양체의 주행면과 외부케이싱 내면으로 구성된 건조실(22)와, 띠모양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띠모양체가 건조실의 저면부로부터 측면부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회주행에 의해서 의류를 건조실내로 교반하는 하나의 띠모양체(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띠모양체가 건조실의 저면부에 일방부위로부터 타방부위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배치된 제1의 띠모양체(49) 및 건조실의 측면부에 제 1의 띠모양체의 타방부위에 대응하는 하방부위로부터 상방부위에 걸쳐서 순회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의 띠모양체(50)이며, 제2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를 제1의 띠모양체의 주행속도보다 크게하는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19900003087A 1989-03-07 1990-03-07 건조기 KR920009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5951 1989-03-07
JP5595189 1989-03-07
JP1164489A JPH0315499A (ja) 1989-03-07 1989-06-27 乾燥機
JP1-164489 1989-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678A KR900014678A (ko) 1990-10-24
KR920009627B1 true KR920009627B1 (ko) 1992-10-22

Family

ID=1301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087A KR920009627B1 (ko) 1989-03-07 1990-03-07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15499A (ko)
KR (1) KR9200096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678A (ko) 1990-10-24
JPH0315499A (ja) 199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6423A (en) Drying system
US2751688A (en) Laundry dryers
JPH04187194A (ja) 衣類乾燥機
US3398465A (en) Clothes dryer with fabric deflecting bulkhead
KR920009627B1 (ko) 건조기
KR880000072B1 (ko) 드럼식 건조기
JP2761312B2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US3583076A (en) Rotary machine and method for drying clothes and the like
JP2856606B2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20150118859A (ko) 건조기
JPH049997Y2 (ko)
KR100570529B1 (ko) 의류건조기
JP2002066194A (ja) 衣類乾燥機
JPH0467899A (ja) 除湿型衣類乾燥機
JPS6024320Y2 (ja) 衣類乾燥機
JP2592458B2 (ja) 衣類乾燥機
JP3043126B2 (ja) 衣類乾燥機
JP2000005491A (ja) 衣類乾燥機
JPS6014461Y2 (ja) 乾燥機
JPS6110638Y2 (ko)
KR920002619Y1 (ko) 건조기
JPH0217596Y2 (ko)
JPH10309399A (ja) 衣類乾燥機
JPH0269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