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13Y1 -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 Google Patents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13Y1
KR920008813Y1 KR2019900010034U KR900010034U KR920008813Y1 KR 920008813 Y1 KR920008813 Y1 KR 920008813Y1 KR 2019900010034 U KR2019900010034 U KR 2019900010034U KR 900010034 U KR900010034 U KR 900010034U KR 920008813 Y1 KR920008813 Y1 KR 920008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water purifier
purifi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621U (ko
Inventor
조홍기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0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813Y1/ko
Priority to US07/726,184 priority patent/US5250177A/en
Priority to JP1991061368U priority patent/JPH0721278Y2/ja
Publication of KR920002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도직결식 정수기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오존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오존발생장치 4 : 수도압조절부
5 : 정수부 12 : 배출관체
13 : 세척밸브 14 : 브라켓트
15 : 체결부재 16 : 몸체
17 : 보빈 18 : 전극부재
19 : 유입공 20 : 배출공
21 : 간격유지구 22 : 뚜껑
23 : 수로 24 : 돌출턱
25 : 체결홈 26, 26a : 극선
27 : 유통공 28 : 마개
29 : 수로통로 30 : 분사공
31 : 차폐판 32 : 손잡이
33 : 힌지축
본 고안은 수도전에 직접 연결하여 수도물속에 내포된 불순물 및 냄새등을 정수하는 수도직결식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기 내부에 오존발생장치를 내장하여 수도전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균 및 분해함과 동시에 정수할 수 있도록 한 오존발생 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정수기는 여러가지 방식들이 알려져 있지만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정수기에 있어서는 크게 자연여과식 정수기와 수도직결식 정수기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용기와 물을 저수하는 하부용기로 구성되어 상부용기내에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하고, 이의 물이 자연여과방식으로 정수필터를 통하여 하부용기로 통과되므로서 물속의 불순물 및 냄새가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되는 것이고, 정수된 물은 하부용기에 저수되어져 이를 취수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수도직결식 정수기는 수도전에 직접 연결하여 수도압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정수필터를 통과시키므로서 정수되게 하고, 이의 정수된 물을 곧바로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이 정수필터를 통과하므로서 물속에 내포된 불순물등이 여과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는 물속의 불순물은 다소 여과될지라도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과 일반세균 및 대장균은 정수필터로서는 여과시킬 수 없는 것이고, 이들은 어떤방식으로든 살균을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정수기에 여과장치는 물론 오존발생장치를 적용하므로서 물속에 내포된 무기, 유기물질등을 살균 제거토록 함과 동시에 이의 살균수를 재차 기존의 여과장치로 여과시키므로서 잔류 오존제거 및 냄새와 맛을 제거하여 식수로서 가능한 물로 정수하는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오존발생장치를 수도전에 직접 연결하여 수도전으로 부터 분출되는 물을 직접 살균하므로서 이 살균된 오존수로 과일, 야채류, 식기류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고안은 스탠드형으로 구비되는 정수기 본체에 공급관체로서 수도전과 직접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하고, 본체 내부에는 공급관체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오존발생장치와 역삼투압방식으로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구비하여서 오존발생장치로부터 살균된 오존수를 재차 정수필터를 통해 여과되게 하여 취수밸브를 통해 취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수필터로 통과시키지 않고 곧바로 세척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제1도는 오존발생장치가 부설된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표시한 것으로, 1은 정수기의 본체이다.
이 본체(1)는 함체형상으로 몸체가 구성되고, 수도물을 수도전으로 부터 직접 정수기본체(1)로 공급하는 공급부(2)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3)와,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도압 조절부(4), 그리고, 상기 수도압조절부(4)로 부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5)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2)는 수도전(6)과 체결되는 체결구(7)와 공급관체(8)로 구비되어 수도물을 직접 정수기본체(1)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이 정수부(5)는 후술한 수도압조절부(4)의 회류관체(9)와 연결되어 역삼투방식으로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10)와, 이의 정수필터(10)로 부터 정수된 물을 취수하기 위한 취수밸브(11)로 구비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이며, 본 고안에서는 다만, 공급부(2)와 수도압조절부(4) 사이에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발생장치(3)를 구비함과 아울러 수도압조절부(4)의 회류관체(9) 일측에 배출관체(12)를 연결하여 본체(1) 전면에 구비되는 별도의 세척밸브(13)에 연결하므로서 식수로 취수시에는 취수밸브(13)를 통해 정수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시에는 세척밸브(13)를 통해 선택적으로 오존수를 취출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에서와 같이 오존발생장치(3)는 정수기본체(1)내의 브라켓트(14)에 체결부재(15)로서 체결되면서 원통형상의 몸체(16)와, 이의 몸체(16)내에 구비되는 보빈(17)과, 전극부재(18)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6)는 상단에 유입공(19)을 갖고, 개구되는 하단에는 유출공(20)과 내면에 간격유지구(21)를 갖는 뚜껑(22)으로 개폐되게 구비하여 유입공(19) 측에는 공급부(2)의 공급관체(8)를 체결하고, 유출공(20)측의 체결부재(15)에는 수도압조절부(4)의 회류관체(9)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몸체(16)의 내부에 체결되는 보빈(17)은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수로(23)와, 수로(23)와 수로(23)사이에 돌출턱(24)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턱(24)에는 체결홈(25)을 구비하여 양극선(26)과 음극선(26a)을 교차로 감아서 구성한다.
이 때, 양극선(26)은 물을 해리시켜 오존을 생성할 때 전극의 마모율이 없는 백금선으로 구비하고, 음극선(26a)은 스텐레스 금속선으로 구비한다.
또한, 전극부재(18)는 몸체(16)의 내주벽과 보빈(17) 사이에 끼워맞춤되고,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면서 상단 외주연에 다수의 유통공(27)과, 하단에 밀폐되는 마개(28)로 구성한다.
이때, 몸체(16) 내주벽과 전극부재(18)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 즉, 수로통로(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도압 조절부(4)는 수회절곡 배관시킨 회류관체(9)와, 이를 지지하는 관체지지구(21)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수도물이 회류관체(9)를 따라 통과되므로서 일정한 압력을 가지면서 정수부(5)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오존발생장치(3)에서 생성된 오존수를 세척만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류관체(9) 일측에 배출관체(12)를 연결하여 본체(1) 전면에 체결되는 세척밸브(13)에 연결하여서 된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술한 오존발생장치(3)를 수도전(6)에 직접 연결하여 과일, 야채류, 식기류 등을 세척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몸체(16)의 하단을 밀폐하는 뚜껑(22)의 내면에 다수의 분사공(30)을 구비하고, 중심부의 배출공(20)에는 차폐판(3)을 구비하여 손잡이(32)의 좌ㆍ우 작동에 의해 힌지축(33)을 지점으로 회동되어 배출공(20)을 개폐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는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즉, 공급부(2)의 체결구(7)를 수도전(6)에 체결하여 수도전(6)을 개방하면, 수도물은 공급관체(8)를 통해 오존발생장치(3)로 공급된다.
오존발생장치(3)로 공급되는 물은 유입공(19)을 통해 보빈(17)내를 통과하여 외주연의 수로(23)들을 통해 상단으로 회류되고, 다시 전극부재(18)의 상단 유통공(27)들을 통하여 수로통로(29)로 회류되어 유출공(20)를 거쳐 수도압조절부(4)의 회류관체(9)로 공급된다.
이때, 보빈(17)의 양극선(26)과 음극선(26a)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이들의 전압차에 의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오존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전극부재(18)와의 사이에도 전압차가 발생되어 오존이 발생하게 된다.
즉, 오존발생장치(3)내를 회류하는 물속에서 오존이 발생되는 것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양극선(26)과 음극선(26a)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일어나 오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반응식과 같이 오존이 전류에 비례해서 발생되어 수중에 용존되므로서 오존수가 생성되고, 이 오존수는 수도압조절부(4)의 회류관체(9)를 통해 일정한 간격만큼 회류되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정수필터(5)와 배출관체(12)로 공급된다.
이때, 오존의 효과는 농도와 노출시간에 비례하므로 농도는 전압의 세기로 조절하고, 노출시간은 회류관체(9)의 길이로 조절하도록 된다.
이같이 수도압조절부(4)를 통과한 오존수는 배출관체(12)는 통하여 세척밸브(13)에 공급되므로서 세척수를 얻게되는 것이고, 또한, 정수필터(10)로 공급되는 오존수는 정수필터(10)내에서 역삼투압 방식으로 여과되어 잔류오존, 냄새, 맛 등을 제거한 상태로 취수 밸브에 공급되므로서 식수를 얻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존수는 그 속에 용존되어 있는 오존에 의하여 살균 작용은 물론 독성농약 및 독성유기중금속의 분해의 정화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오존수의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장균, 장티푸스균, 녹농균을 오존 0.1ppm으로 15초 노출시켜 99%이상 살균작용
(2) 불소(Fluorine) 다음의 산하력으로 강력한 탈취작용
(3) 암유발 물질의 일종인 THM(Tri Hallo Methane)의 형성 억제작용 (* 수중염소+수중유기물→THM)
(4) 수중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고 산소를 증가시켜 생물학적 분해능력 (Biodegliy)향상
(5) 유기물을 산화시켜 CO2(이산화탄소)로 배출
(6) 철과 망간 제거작용 및 기타 무기물 제거작용
① 2Fe2++O3+H2O→2Fe3++O2+2OH-
Fe3++3H2O→Fe(OH3)↓+3H+
② Mn2++O3+H2O→Mn4++O2+2OH-
Mn4++4OH-→Mn(OH)4→MnO2↓+2H2O
그러므로, 본 고안은 물속의 불순물이 완전히 살균 및 분해됨과 동시에 여과되므로서 훌륭한 음용수를 얻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또한, 오존수를 곧바로 취출하여 과일, 야채류, 식기류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수도전에 연결되어 수도물속에 내포된 불순물 및 냄새등을 정수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기 본체내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생장치와, 수도압을 조절하는 수도압 조절부와, 상기 수도압 조절부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척밸브로 배출하는 배출관체와, 상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여 취수밸브로 배출하는 정수부를 갖추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장치는, 정수기 본체내의 브라켓트에 체결부재로서 체결되고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구비되고 양극선과 음극선을 갖춘 보빈과, 전극부재를 갖추어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몸체는 상단에 유입공을 구비하고, 하단에 유출공을 갖는 뚜껑으로 밀폐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보빈은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수로와, 수로와 수로사이에는 체결홈을 갖는 돌출턱과, 상기 체결홈에 양극선과 음극선을 교차로 감아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전극부재는 몸체와 보빈 사이에 끼워맞춤되면서 상단에 다수의 유통공과, 하단에 밀폐되는 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6. 제2항에 있어서, 몸체 내벽면과 전극부재 사이에 수로통로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수도압 조절부는 수회 절곡 배관시킨 회류관체와, 상기 회류관체를 지지하는 관체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KR2019900010034U 1990-07-09 1990-07-09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KR920008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034U KR920008813Y1 (ko) 1990-07-09 1990-07-09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US07/726,184 US5250177A (en) 1990-07-09 1991-07-05 Water purifier with an ozone generating device
JP1991061368U JPH0721278Y2 (ja) 1990-07-09 1991-07-09 浄水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034U KR920008813Y1 (ko) 1990-07-09 1990-07-09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621U KR920002621U (ko) 1992-02-25
KR920008813Y1 true KR920008813Y1 (ko) 1992-12-19

Family

ID=1930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034U KR920008813Y1 (ko) 1990-07-09 1990-07-09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50177A (ko)
JP (1) JPH0721278Y2 (ko)
KR (1) KR9200088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3153B2 (ja) * 1994-04-28 1999-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装置
US6060027A (en) 1998-05-14 2000-05-09 Fantom Technologies Inc. Ozone generator
US6106731A (en) * 1998-10-05 2000-08-22 Hayes; Charles R. System and method for ozonating water for animal houses
US6030586A (en) * 1998-10-30 2000-02-29 Kuan; Yu-Hung Ozone generating and ozone/water mixing apparatus
US6299761B1 (en) 1999-10-13 2001-10-09 Ozonaid International, Inc. Water purifier system
GB2355980A (en) * 1999-11-06 2001-05-09 Dr Sekhar Deb Water purification
US6315887B1 (en) 1999-11-08 2001-11-13 Amir Salama Device an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water
WO2001072432A1 (en) * 2000-03-28 2001-10-04 Del Industries, Inc. Spray apparatus for providing an ozone/aqueous stream
US6517731B2 (en) 2000-06-16 2003-02-11 Fantom Technologies Inc. Ozonation process
US6817541B2 (en) 2000-09-01 2004-11-16 Del Industries, Inc. Ozone systems and methods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CN100453473C (zh) * 2004-12-15 2009-01-21 香港理工大学 水质净化器
CA2547183A1 (en) 2006-05-17 2007-11-17 Ozomax Inc. Portable ozone generator for purifying water and use thereof
CA2547373A1 (en) * 2006-05-18 2007-11-18 Ozomax Inc. Miniature ozone generator with internal or external power supply for purifiying water
KR200449544Y1 (ko) * 2008-12-02 2010-07-2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US8236149B2 (en) * 2008-12-26 2012-08-07 Wilson David M Electrolysis type electrolyzer for production of hydrogen and oxygen for the enhancement of ignition in a hydrocarbon fuel and/or gas combustion device
KR101586323B1 (ko) * 2009-06-29 2016-01-18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 살균 장치를 구비한 중력식 정수기
US8894750B2 (en) 2009-10-02 2014-11-25 Steve L. Hengsperger Holding tank-less water ozonating system
US10005682B1 (en) 2009-10-02 2018-06-26 Tersano Inc. Holding tank-less water ozonating system
SK288170B6 (sk) * 2010-08-11 2014-03-04 František Pancurák Zariadenie na galvanickĂş Ăşpravu kvapalĂ­n, najmä pitnej vody
EP2635312B1 (en) 2010-11-02 2017-09-27 Tersano Inc. Holding tank-less water ozonating system using electrolytic decomposition of water
CN102838242B (zh) * 2011-06-21 2014-09-17 株式会社神户制钢所 海水的杀菌方法、杀菌成分产生装置
CO6640059A1 (es) * 2011-09-22 2013-03-22 Avila Fernando Castano Planta de tratamiento de agua portatil con filtración y purificación a base de ozono
US10183875B2 (en) 2013-08-07 2019-01-22 Water Star, Inc. Point of use electrolysis system
KR101455613B1 (ko) * 2014-02-27 2014-10-28 김일봉 수소수 냉온수기
US9828266B2 (en) 2014-08-27 2017-11-28 Algenol Bio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liquid media
KR102285118B1 (ko) * 2020-04-29 2021-08-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연사된 섬유를 이용한 꼬임용 합사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605A (en) * 1904-11-28 1905-09-12 Electric Water Purifying & Filter Company Apparatus for electrically purifying water.
US1063167A (en) * 1912-08-14 1913-05-27 Anna Hope Smith Ozone-producing machine.
US2812861A (en) * 1954-02-09 1957-11-12 Maryland Lab Inc Means for ozone treatment of liquids
US2830945A (en) * 1955-05-03 1958-04-15 Du Pont Apparatus for water determination
US3549528A (en) * 1964-04-23 1970-12-22 Edward T Armstrong Ozone sterilization process
US3784008A (en) * 1971-08-20 1974-01-08 Moody Aquamatic Syst Inc Ozonating apparatus for drinking water
US3865733A (en) * 1974-01-30 1975-02-11 Leland Thomas Tayl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ozone
US4090960A (en) * 1974-05-08 1978-05-23 Dynalytics Corporation Gas energiz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US4176061A (en) * 1978-03-06 1979-11-27 Karel Stopka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fluid with ozone
US4375395A (en) * 1981-05-21 1983-03-01 Foller Peter C Process for producing ozone
DE3261041D1 (en) * 1981-05-11 1984-11-29 Bbc Brown Boveri & Cie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ynthetic 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olysis, and its application
US4414092A (en) * 1982-04-15 1983-11-08 Lu Wen Tong P Sandwich-type electrode
US4427426A (en) * 1982-06-28 1984-01-24 Johnson Ronald G Ozonizer system
US4619763A (en) * 1983-07-21 1986-10-28 Brien Edward J O Ozone H2 O treatment
DE3767350D1 (de) * 1986-03-11 1991-02-21 Bbc Brown Boveri & C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speisewasser mittels ozon fuer die umkehrosmose.
US4728441A (en) * 1986-09-12 1988-03-01 King Arthur S Electrical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employing oxygen recovery and ozone injection means
AT388365B (de) * 1986-11-17 1989-06-12 Venturama Ag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wasser
JPS63149298A (ja) * 1986-12-12 1988-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宇宙飛翔体帯電制御装置
DE3737424A1 (de) * 1986-12-26 1988-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Wasser-ozonisierung-system
CH674003A5 (ko) * 1987-03-11 1990-04-30 Bbc Brown Boveri & Cie
DE3711407A1 (de) * 1987-04-04 1988-10-20 Bruno Bachhofer System zur wasseraufbereitung mit ozon
US5094734A (en) * 1989-08-03 1992-03-10 Torrado Santiago D Water treatmen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621U (ko) 1992-02-25
US5250177A (en) 1993-10-05
JPH061300U (ja) 1994-01-11
JPH0721278Y2 (ja)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813Y1 (ko) 오존발생장치가 내장된 수도직결식 정수기
RU211980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й среды (варианты)
EP06750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water
HUP9901740A2 (hu) Átfolyó folyadékszűrő, eljárás víz tisztítására, biológiai szervezetek elpusztítására, ciszták eltávolítására
US57560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nodic oxidation biocidal treatment
KR200337958Y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116785A (ko) 전해 살균기능을 가지는 수처리장치와 이를 통한 살균방법
JPH0615276A (ja) 水の電解消毒方法及び流水形水電解式消毒器
JPH0523682A (ja) オゾン水利用の水質改善装置
JPS63175685A (ja) 浄水器
KR100988465B1 (ko) 전기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CN1099385C (zh) 集团式一体化净水装置
KR20160017562A (ko) 용해도 증대용 내장여과기 및 잉여오존가스 자동배출구를 갖는 오존 살균 정수기
JPH0372992A (ja) 浄水器
KR20150144541A (ko) 다단 필터를 가지는 수도직결형 정수기
KR20030030583A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US20200216342A1 (en) Portabl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JP2607626Y2 (ja) 水の浄化装置
JPS6314676B2 (ko)
KR200259748Y1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KR200345719Y1 (ko) 이온정수기의 이온수 냄새제거장치
KR970001484Y1 (ko) 저수형 조수기
JP2911779B2 (ja) 滅菌浄水製造装置
WO2005037720A1 (ja) ミネラル水供給装置
JP2001079558A (ja) 汚水処理液製造装置、および、汚水処理セラミックボール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