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321Y1 -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321Y1
KR920008321Y1 KR2019880008593U KR880008593U KR920008321Y1 KR 920008321 Y1 KR920008321 Y1 KR 920008321Y1 KR 2019880008593 U KR2019880008593 U KR 2019880008593U KR 880008593 U KR880008593 U KR 880008593U KR 920008321 Y1 KR920008321 Y1 KR 920008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door
guide groove
rotor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382U (ko
Inventor
임무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8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321Y1/ko
Publication of KR900011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21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전자제품의 도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개폐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가 캐비닛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회전자의 안내홈의 전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통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자 20 : 회전자
30 : 리테이너 40 : 고정체
50 : 압축스프링 60 : 도어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동작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도록하는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전제품의 캐비닛 도어(60)를 열기 위하여 도어(60)에 함몰된 손잡이(61)를 설치하였다.
함몰된 손잡이(61)는 캐비닛 내부로 돌출되어 캐비닛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공개실용실안 공보 소 61-174785호(명칭 : 푸쉬래치 장치)에 푸쉬동작으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를 편리하게 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일단이 개구된 케이스내에 그 내외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압되고, 또한 케이스의 바깥쪽에 스프링으로 부세된 슬라이더가 설치되며, 슬라이더와 대응하는 케이스의 내면에 대략 V자 형상의 걸어 멈춤부를 갖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걸어 멈춤부와 걸어맞춤가능한 안내 레버가 배치되며, 슬라이더을 누르면 케이스 안쪽 방향의 위치로 록크되고, 다시 슬라이더를 누르면 상기 록크가 해재되도록 한 것이나, 슬라이더의 동작이 전, 후 직선 운동만 하게 되고, 케이스의 안내홈으로 탄성체로 된 안내레버가 안내됨으로써 안내레버가 자체 탄성력으로 안내홈의 일측에 항상 밀착되기 때문에 이들사이에 마찰력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더의 전, 후 동작이 원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걸림턱으로 도어에 구비된 후크가 걸림 및 해제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오래 사용할 경우 걸림상태가 느슨해져 도어의 닫힘 상태가 완전하지 못해 쉽게 도어가 열리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도어에 후크가 돌출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캐비닛 몸체에 본 고안의 개폐장치가 부착되고 도어의 눌림에 의하여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도어의 손잡이 없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푸쉬동작이 윈활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폐감이 좋으며, 외관이 미려한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개폐장치의 구조를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어개폐장치는 고정체(40)와 압축스프링(50)과 이동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이동조립체는 작동자(10)와 회전자(20)와 리테이너(30)로 조립되어 있다.
작동자(10)는 대직경부(12)와 소직경부(13)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동일축상에 일체로 성형되며 대직경부(12)의 전방 단부에는 자석(11)이 부착되고 소직경부(13)의 후단부에는 숫나사(14)가 형성된다.
회전자(20)는 작동자(10)의 대직경부(12)의 지름과 동일한 외경을 지니며 외주 표면에는 안내홈(21)의 지름과 동일한 외경을 지니며 외주 표면에는 안내홈(21)이 형성되고 회전자(20)의 중앙에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의 지름보다 약간 큰 내경부(22)를 지니게 형성된다.
리테이너(30)는 회전자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을 지니며 리테이너(30)의 전단부에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의 숫나사(14)가 체결되는 암나사(31)가 형성되고 후측 단부에는 플랜지(3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동자(10), 회전자(20) 및 리테이너(30)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가 회전자(20)의 내경부(22)를 관통하여 소직경부(13)의 숫나사(14)가 리테이너(30)의 암나사(31)에 결합되고 회전자(20)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위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일직선 상으로 연결된다.
압축 스프링(50)은 한단부가 고정체(40)의 걸림턱(43)에 용접되며 다른 단부는 리테이너(30)의 플랜지(32)에 용접되어 이동조립체가 항상 고정체(4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유지시킨다.
고정체(40)는 회전자(20)가 통과될 수 있는 내경을 지니며 내경부(44)에는 회전자(20)의 안내홈(21)에 삽입되는 돌기(41)가 돌출되고 고정체(40)의 외주에는 캐비닛 구조물(64)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42)와 스프링(50)이 고정되는 걸림턱(43)을 구비한다(제3도 참조).
제4도는 회전자(20)의 외주에 형성된 안내홈(21)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개폐장치가 작동될 때에는 고정체(40)의 돌기(41)의 위치는 고정되고 이동조립체가 이동되며 회전자(20)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를 중심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이나 이해의 편의상 회전자(20)의 안내홈(21)이 고정되고 고정체(40)의 돌기(41)가 안내홈내에서 이동한다고 설명한다.
"가"의 위치를 돌기(41) 이동의 시점으로 볼때 돌기(41)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실제로는 이동 조립체가 하방으로 눌려지면) "라" 위치와 "나"위치로 이동가능하나 돌출부 A의 위치가 돌기(41)를 "나"쪽으로 안내하게 돌출되어 있고, "나"방향의 안내홈이 "라"방향의 안내홈보다 넓어 돌기(41)는 "나"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나"위치에 정지된 돌기(41)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실제로는 이동 조립체가 스프링(50)의 반력으로 상부로 이동될 때) 돌기(41)는 안내홈을 따라 회전자(20)의 안내홈 B부분과 C부분을 거쳐서 이동하여 "다"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다"위치에 정지된 돌기(41)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실제로는 이동 조립체가 다시 하방으로 눌려지면) 돌기(41)는 회전자(20)의 E 부분과 F 부분을 지나서 "라"위치로 이동되어 정지하게 된다. 이때 "다"위치에서 출발한 돌기(41)가 회전자(20)의 C 부분을 거쳐 "나"의 위치로 되돌아갈 염려가 있으나 돌출부 D의 정점이 C 부분과 직선상으로 위치되게 되어 있고, 회전자(20)의 E 부분의 안내로 인하여 돌기(41)는 "라"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라"위치에 정지된 돌기(41)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실제로는 이동조립체가 스프링(50)의 반력으로 상부로 이동되면) 돌기(41)는 "라"위치와 "가"의 위치에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어 "가"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제5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이동조립체와 고정체(40)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여 도어개폐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제5도(a)는 내면에 철판(62)이 부착된 도어(60)와 이동 조립체의 작동자(10)의 선단부에 위치한 자석(11)이 부착되어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고정체(40)의 돌기(41)는 안내홈(21)내의 "가"위치에 놓여진다.
도어(60)를 열때에 도어(60)를 캐비닛 안쪽으로 누르면 회전자(20)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에서 돌기(41)가 안내홈(21)의 "나"위치로 이동되게 슬라이드 이동조립체는 M1만큼 후퇴된다(제5도(b)참조).
이때 도어(60)로부터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5도(c)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압축 스프링(50)의 탄력에 의하여 회전자(20)는 돌기(41)가 "다"위치로 이동되게 회전하며 슬라이드되고 이동 조립체는 좌측으로 M2만큼 이동되어 도어(60)는 제5도(a) 위치보다 M2만큼 돌출되어 도어(60)와 캐비닛의 면에 간격이 생겨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도어를 열 수 있다. 도어를 닫으려면 제5도(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60)를 "다"의 위치에서 M2만큼 캐비닛 안쪽으로 눌러주면 이동 조립체는 고정체(40)로부터 후퇴되며 회전자(20)는 돌기(41)가 안내홈(21)의 "라"위치로 이동되게 회전하며 슬라이드된다.
이때 도어(60)로부터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하여 이동조립체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5도(a)의 상태로 되고 도어(60)의 철판(62)은 작동자(10)의 선단부에 위치한 자석(11)과 부착되므로 도어(60)가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개폐장치는 종래와 같이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아서 캐비닛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도어 개폐장치의 고정체(40)가 나사(42)에 의해서 캐비닛 구조물(64)에 취부됨으로 개페장치의 교체시 캐비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동자의 자석에 의해 도어의 착탈이 이루어지므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무리가 없고 동작감이 좋으며, 도어의 착탈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고, 이동조립체가 측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안내홈에 돌기가 안내될 때 돌기가 안내되는 방향으로 회전자가 회전되므로 안내홈과 동기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이동조립체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고정체와 이동 조립체가 스프링으로써 탄력설치되어 이들중 어느 한쪽에 구비된 대략 Y자 형상의 안내홈 및 이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레버에 의해 이송체가 록킹 및 록킹해제 되도록 하는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자석(11)이 전방단부에 부착된 대직경부(12)와 후단부에 숫나사(14)가 형성된 소직경부(13)가 동일 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자(10)와, 외주면에 Y자 형상의 안내홈(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작동자(10)의 소직경부(13)가 관통하는 내경부(22)를 갖는 회전자(20)와, 상기 소직경부(13)의 숫나사(14)가 체결되는 암나사(31)를 전단부에 형성하고 후단부에 플랜지(32)가 형성된 리테이너(30)로 이루어지는 이동조립체와 ; 상기 회전자(20)의 안내홈(21)에 안내되는 안내돌기(41)가 내경부(44)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캐비닛 구조물(64)에 나선 길합되는 나사(42) 및 걸림턱(43)을 형성한 고정체(40)와 ; 일단은 고정체(40)의 걸림턱(43)에 용집되고 타단은 리테이너(30)의 플랜지(32)에 용접되는 압축 스프링(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도어개폐장치.
KR2019880008593U 1988-06-02 1988-06-02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920008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593U KR920008321Y1 (ko) 1988-06-02 1988-06-02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593U KR920008321Y1 (ko) 1988-06-02 1988-06-02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82U KR900011382U (ko) 1990-07-02
KR920008321Y1 true KR920008321Y1 (ko) 1992-11-16

Family

ID=1927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593U KR920008321Y1 (ko) 1988-06-02 1988-06-02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3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82U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3378B1 (en) Latch
US6113160A (en) Latch
ES2122818A1 (es) Conjunto de pestillo con palanca de traccion.
JPH0739177Y2 (ja) 合成樹脂製ハウジングにおけるヒンジ結合蓋
CA2220259A1 (en) Stop for a slidable window
TW343951B (en) Snap-in push-push latch mechanism
DE59006871D1 (de) Sicherheits-Türschloss für Türen von Elektrogeräten.
AU3059989A (en) Animal trap
ATE244330T1 (de)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geräte
GB8530139D0 (en) Latch mechanism
GB2176834A (en) A fastening mechanism for a door of a home electric equipment, particularly a microwave oven
KR920008321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DE59910552D1 (de) Tür- oder Fensterbeschlag
ES2136751T3 (es) Cerradura para puerta, en especial cerradura encajable.
DE59900084D1 (de) Türverschluss mit Betätigung und zugehörigem Steckschlüssel
KR920003744Y1 (ko)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AU6405490A (en) Interlock for a plug-in unit
CA1301801C (en) Magnet catch
KR100217571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890004464Y1 (ko) 푸쉬 스위치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
KR200248023Y1 (ko) 도어록의손잡이구
ATE146847T1 (de) Kupplung zur verbindung einer elektrischen bedienvorrichtung mit einem bedienelement
KR100201059B1 (ko) 래치로크장치
KR012019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잠금장치
KR930003628Y1 (ko) 도어 오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