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222Y1 - 비계 설치구 - Google Patents

비계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222Y1
KR920008222Y1 KR2019900008367U KR900008367U KR920008222Y1 KR 920008222 Y1 KR920008222 Y1 KR 920008222Y1 KR 2019900008367 U KR2019900008367 U KR 2019900008367U KR 900008367 U KR900008367 U KR 900008367U KR 920008222 Y1 KR920008222 Y1 KR 920008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support
installation
floo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827U (ko
Inventor
유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종건영
사재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종건영, 사재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종건영
Priority to KR2019900008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222Y1/ko
Publication of KR920000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6Scaffold with cantilevered sections, e.g. to accommodate overhangs or recesses in the faca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4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계 설치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구의 설치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크램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연결구 2 : 수평돌출봉
3 : 하부지지대 4 : 크램프
5 : 보강대 6 : 후방지지대
7 : 전방지지대
본 고안은 높은 건물을 지을때 디디고 서기 위해 설치되는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비계설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중인 건축물 베란다의 난간벽이나 슬라브 등의 각종 지지물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면서, 말단부에는 비계파이프가 파이프 연결구로서 연결될 수 있는 비계설치구를 안출 제공하여 기존 작업방법과는 달리 건물의 높이만큼 비계를 설치했던 것을 두개층 만큼의 비계로서 고층의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시나 개축, 증축시에는 시공에서 부터 완공때까지 지면에서 부터 건축물의 최상층까지 즉, 건축물의 높이만큼 비계를 가설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는 건물의 높이만큼의 비계가 소요되므로 건물높이에 따라 막대한 량의 비계가 소요되어서, 건축비의 상승과, 비계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사기간이 지연되었으며, 비계가 지면으로 부터 설치되어서 흙더미나 기타오물의 제거작업 및 도로포장등의 마무리 작업을 반드시 공사가 완료되고 비계가 해체된 다음에 실시해야 하므로서 그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과 작업의 불편함에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안벽하게 해결함과 동시, 새로운 형태의 비계설치구를 제공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면서 작업 또는 간편하게 이뤄질 수 있게하는 것으로, 건출물의 베란다나 슬라브등의 기타 각종 지지물에 착탈시킬 수 있는 크램프와, 말단부에 파이프 연결구를 설치한 비례설치구를 구성한뒤, 이를 설치한 곳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비례설치구 선단에는 종횡으로 비계파이프를 연결하고, 이 비계를 디디고 서서 작업을 하여서 그 해당설치층의 작업이 완료되면, 하부층의 비계설치구를 해체하여 작업할 층(상층)에 재설치하여 작업을 진행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계설치구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슬라브와 같은 수평지지에물 설치가 적합하도록 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선단부에 비계파이프성치용 파이프연결구(1)가 착탈식으로 설치된 수평돌출봉(2) 후단에는, 상부에 손잡이(4a)를 가지는 나사봉(4c)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수평지지물(슬라브)(11)과 착탈고정 자재되는 누름판(4b)이 공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크램프(4)가 설치되었으며, 상기 크램프(4)의 누름판(4b) 대응위치 하부에는 받침판(3a)을 가지는 하부지지대(3)가 보강대(5)로서 고정설치되어 비계설치구(10)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면 제3도는 베란다와 같이 단턱지지물(13)에 설치가 적합하도록 형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선단부에 비계파이프(12) 설치용 파이프연결구(1)가 착탈식으로 설치된 수평돌출봉(2) 후단에는 상기 크램프(4)가 관통설치된 후방지지대(6)가 고정설치되었고, 상기 크램프(4)의 누름판(4b) 대응위치 전방에는 전방지지대(7)가 고정설치 되었으며, 전방 지지대(7) 하방 일측과, 수평돌출봉(2) 선단부 일측 사이에는 보강대(5)가 고정설치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수평지지물(11)에 설치되는 비계 설치구(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을 지을때는 판넬로서 형틀을 설치한뒤,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켜서 건물을 짓게 되는데, 지층이나 지상 1층 높이가 높지 않기 때문에 비계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판넬로 형틀을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간단한 발판을 가설한다.
이렇계 짜여진 형틀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 후, 지층과 지상1층의 형틀을 해체해내고 1층의 수평지지물(11)에 비계설치구(1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설치한다.
이때, 비계설치구(10)의 수평돌출봉(2) 후단과 하부지지대(3) 사이가 형틀을 해체해낸 슬라브(수평지지물)(11)에 삽입되게 위치 시킨뒤, 수평돌출봉(2)후단에 나사시기으로 관통결합된 크램프(4)의 손잡이(4a)를 잡고 조이면 크램프 나사봉(4c)과 공회전 자재되는 크램프 판(4b)이 고정물을 사이에 두고 하부지지대(3)의 받침판(3a)으로 슬라브면의 경사오차에 관계없이 알맞게 면접되어 고정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비계설치구(10)를 일정간격으로 수평지지물(11)에 고정시킨뒤, 비계설치구의 수평돌출봉(2) 선단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된 파이프 연결구(1)를 이용하여 비계파이프(12)를 용도에 맞게 설치한다.
이렇게 다수개의 비계설치구(10)와 비계파이프(12)를 설치한뒤, 용도에 맞게 발판(쌍줄 비게로 설치함)이나 안전망등을 설치하고, 그 상부층을 짓기 위한 형틀을 판넬로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다.
여기에서 지상 1층의 수평지지물(11)에 설치된 비계설치구(10)에 비계파이프(12)를 설치할때는 비계파이프(12)가 견고하게 지지고정되게 비계파이프(12)의 말단부를 지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지상 1층의 수평지지물(11)에 설치된 비계설치구(10)의 파이프 연결구(1)에 비계파이프(12)를 용도에 맞게 종횡으로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비계파이프(12)에 작업자의 목적으로 바대로 쌍줄 비계(도시안됨)를 설치하여 발판을 부설하거나 안전망등을 설치한뒤, 그 발판을 딛고서서 그 상부층 즉, 2층을 짓기 위한 형틀을 판넬로서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다.
이때 본 고안은 슬라브면을 작업공간으로 황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발판설치가 사실상 필요없으며, 안전망 정도만 가설하면 된다.
그 다음에 2층의 형틀을 해체해낸뒤 1층에 비계설치구(10)를 설치했던 방법과 동일하게 2층의 수평지지물(11)에 비계설치구를 설치하고, 1층에 설치했던 비계파이프(12)를 해체한뒤, 1층의 비계설치구(10)와 2층의 비계설치구(10) 사이에 상기에서 해체한 비계파이프(12)를 종행으로 설치하고, 발판이나 안전망을 설치하여 그 상층 즉,3층을 짓기위한 형틀작업을 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하층에 설치되었던 비계설치구(10)와 비계파이프(12)를 해체하여 작업할 상층으로 연속적으로 재사용설치 해가면서 한정된 갯수부품으로 상층으로 연속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3도 및 제4도로 도시된 본 고안의 타실시예는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한 작업방법과 모두 동일하며, 단지 지지물이 베란다와 같이 단턱진 지지물(13)에 적합한 것으로, 이 타실시예 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때도 역시 베란다가 작업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발판설치가 불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높은 건물을 짓기 위한 비계를 건물의 높이만큼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작업할 층에만 비계를 설치토록 하여서 2개층 만큼의 비계설치구 및 비계파이프만 확보하게 되면 아무리 높은 고층 건물에서도 작업을 할수 있는 장점과, 그에 따른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작업이 간편하고 비계설치구 및 비계파이프의 관리 및 취급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비계설치구 및 비계파이프가 계속 상층으로 올라가며 설치되어서 지면과 비계가 설치된 하층의 마무리 작업 및 다음 공정이 계속해서 이어지므로 공사기간 또한 대폭 단축시키는 등의 특출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선단부에 비계파이프 설치용 파이프연결구(1)가 착탈식으로 설치된 수평돌출봉(2) 후단에는 상부에 손잡이(4a)를 가지는 나사봉(4c)이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수평지지물(슬라브)(11)과 착탈고정 자재되는 누름판(4b)이 공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크램프(4)가 설치되고, 상기 크램프(4)의 누름판(4b)대응위치 하부에는 받침판(3a)을 가지는 하부지지대(3)강 보강대(5)로서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설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4)는 수평돌출봉(2) 후단에서 고정설치된 후방지지대(6)의 하부 소정위치에 관통되고, 그 전방에는 보강대(5)와 함께 상기 수평돌출봉(2)에 고정되는 전방지지대(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설치구.
KR2019900008367U 1990-06-14 1990-06-14 비계 설치구 KR920008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367U KR920008222Y1 (ko) 1990-06-14 1990-06-14 비계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367U KR920008222Y1 (ko) 1990-06-14 1990-06-14 비계 설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27U KR920000827U (ko) 1992-01-27
KR920008222Y1 true KR920008222Y1 (ko) 1992-11-14

Family

ID=1929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367U KR920008222Y1 (ko) 1990-06-14 1990-06-14 비계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2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66B1 (ko) * 2007-12-17 2009-09-30 홍은수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US11293194B2 (en) 2016-06-24 2022-04-05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66B1 (ko) * 2007-12-17 2009-09-30 홍은수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US11293194B2 (en) 2016-06-24 2022-04-05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0873B2 (en) 2016-06-24 2024-04-30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27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303A (en) Method of casting floors and ceilings of buildings and a panel for use therein
CN102691411A (zh) 梁板后浇带模板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CN108756241B (zh) 一种剪力墙外侧悬挑楼板模板支设装置
CN110805257A (zh) 花篮悬挑式型钢承载梁结构及施工方法
CN110409811B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CN109680930A (zh) 模板早拆支撑体系施工方法
US3364647A (en) Method for erecting tall buildings with balconies
KR920008222Y1 (ko) 비계 설치구
CN114508231B (zh) 一种工字钢组件快速组合施工方法
CN110616735A (zh) 一种用于挡土墙的模板体系及挡土墙的施工方法
CN110725532B (zh) 一种清水混凝土装饰墙小模板支撑系统以及施工工艺
KR101017768B1 (ko) 핀 연결 구조를 이용한 시스템 계단과 그 시공 방법
RU2043470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элементов здания,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ерекрытия, и опалуб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10002727A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CN109138407A (zh) 高层建筑早拆铝合金嵌蜡板模板支撑体系施工工艺
CN210659245U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及模板结构
KR100297426B1 (ko) 유리블록 패널 및 유리블록 패널의 제조 방법
CN209855224U (zh) 一种外墙处楼板边缘侧模板支设装置
CN107630554B (zh) 一种用于楼板的快速施工装置及方法
CN214329305U (zh) 一种预制构造柱-后浇圈梁节点
CN217975119U (zh) 一种新型预制楼梯构件
CN218264852U (zh) 一种花篮式脚手架钢管快速安全固定装置
CN216380574U (zh) 一种组装型钢木混合楼梯模板
CN218952798U (zh) 一种用于城市更新项目楼板修补机电管洞的装置
CN220928708U (zh) 封闭式楼梯模板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4200000196;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4200000415;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300000788;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970722

Effective date: 19980130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60429

Effective date: 19970425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300001699;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970722

Effective date: 19980130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961029

Effective date: 19970722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240000147; REMAND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240000265; REMAND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14

Year of fee payment: 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