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45Y1 -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45Y1
KR920008145Y1 KR2019900018193U KR900018193U KR920008145Y1 KR 920008145 Y1 KR920008145 Y1 KR 920008145Y1 KR 2019900018193 U KR2019900018193 U KR 2019900018193U KR 900018193 U KR900018193 U KR 900018193U KR 920008145 Y1 KR920008145 Y1 KR 920008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ngular
angular pin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38U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8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145Y1/ko
Publication of KR920009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3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 B29C33/304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centering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의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귤러 판 11 : 고정부재자리
12 : 고정부재 13 : 체결공
본 고안은 금형용 앵귤러 핀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앵귤러핀을 고정하는데 핀 홀더가 앵귤러의 판면 밖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게한 앵귤러 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앵귤러 핀 고정장치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앵귤러 판(1)위에 앵귤러 핀(2)을 얹어 고정할때 사용하는 고정부재(3)가 앵귤러 판(1)위로 완전 노출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울트(4)로 체결 부착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고정부재가 앵귤러 판면위로 전부 드러나도록 앵귤러 핀을 고정하는 것은 외관상 보기 흉하고, 2점 체결에 다른 체결 요소의 수적 증가와 비용부담을 초래하며, 또한 금형의 외형규모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문제가 수반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 열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체결요소를 하나로 감축함으로써 경제적 잇점과 고정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을 절약하고, 또한 고정부재를 앵귤러 판 내에 수용하여 돌출되는 부분이 남게 함으로써 산뜻한 외관을 간직할 수 있게 하는데 역점을 두고 창안해낸 것인바,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앵귤러 판(10)상에 고정부재자리(11)를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하고, 이 고정부재자리(11)에 적합한 규격으로 고정부재(12)를 형성하며, 이 고정부재(12)의 일측 편심 위치에는 체결공(13)을 그리고 타측 편심 위치에는 앵귤러 핀공(14)을 뚫어 보울트(15)로 상기 고정부재자리(11)로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자리(11)에도 체결공(16)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 고정부재자리(11)의 깊이와 고정부재(12)의 두께는 동일한 칫수로 한다.
깊이보다 작은 칫수로 해도 무방하다.
제1도 및 제2도는 고정부재자리(11)와 고정부재(12)가 다같이 원형인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 형상에 국한하지 않으며, 제3도는 고정부재자리(11)와 고정부재(12)를 2단턱 걸림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이들 그림을 통하여 알수 있는바와같이, 앵귤러 핀(16)이 고정된 후의 모습에서 고정부재(12)는 그 전체가 고정부재자리(11)내에 수용되어 그 일부라도 앵귤러 판(10)밖으로 튀어 나오지 않는다.
또, 고정부재(12)의 중심을 벗어난 한곳만으로도 앵귤러 핀(16)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우선 앵귤러 핀을 고정한 후의 외양이 산뜻하고 체결작업도 간편하며, 체결요소의 감춤에 따른 경제적 잇점도 가져온다.

Claims (1)

  1. 앵귤러 판(10)상에 고정부재자리(11)를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하고, 이 고정부재자리(11)에 적합한 규격으로 고정부재(12)를 형성하며, 이 고정부재(12)의 일측 편심 위치에는 체결공(13)을 그리고 타측 편심 위치에는 앵귤러 핀공(14)을 뚫어 보울트(15)로 상기 고정부재자리(11)로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KR2019900018193U 1990-11-23 1990-11-23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KR920008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93U KR920008145Y1 (ko) 1990-11-23 1990-11-23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93U KR920008145Y1 (ko) 1990-11-23 1990-11-23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38U KR920009138U (ko) 1992-06-16
KR920008145Y1 true KR920008145Y1 (ko) 1992-11-12

Family

ID=1930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193U KR920008145Y1 (ko) 1990-11-23 1990-11-23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1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38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975A (en) Fastening assembly
KR920008145Y1 (ko) 금형용 앵귤러 핀 고정장치
JPH0336379Y2 (ko)
JPH032209Y2 (ko)
JP4916062B2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3595168B2 (ja) シリンダ錠の自動車パネルへの固定構造
JPH0751572Y2 (ja) ロックパネル取付け構造
KR910006708Y1 (ko) 금속액자 뒷판용 클램프 조립구조
JPS6339982Y2 (ko)
KR860000488Y1 (ko)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용 플런저 고정장치
KR950003089Y1 (ko) 화일표지용 편철구
JPH0751398Y2 (ja) アウターミラーのガスケット仮止め構造
JP2696497B2 (ja) 簡易取付型仮錠装置
KR900009668Y1 (ko) 도어 클로우져의 장착장치
JP2826703B2 (ja) 馬蹄錠
KR910008019Y1 (ko) 세탁기의 조립부품 고정장치
KR200144361Y1 (ko) 모터 조립구조
KR970005197Y1 (ko) 트럭용 리어 콤비램프의 취부구조
KR970048023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진동시험용 지그
KR920007222Y1 (ko) 스쿠루우그로밋
JPH0441015Y2 (ko)
JP2845805B2 (ja) 固定具引掛部を持つ装置の固定構造
JPH0450556Y2 (ko)
JPH0915921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0128622Y1 (ko) 트렁크의 키실린더 회전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