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19Y1 -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19Y1
KR920008119Y1 KR2019910000337U KR910000337U KR920008119Y1 KR 920008119 Y1 KR920008119 Y1 KR 920008119Y1 KR 2019910000337 U KR2019910000337 U KR 2019910000337U KR 910000337 U KR910000337 U KR 910000337U KR 920008119 Y1 KR920008119 Y1 KR 920008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air
fish
rubb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533U (ko
Inventor
차진석
Original Assignee
차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진석 filed Critical 차진석
Priority to KR201991000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119Y1/ko
Publication of KR920014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키위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 설명도.
제3도는 요지 발췌사시도.
제4도는 공기의 흡배 설명도.
제5도는 공기 기포발생기의 요부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구자석 2 : 진동자
3 : 캡 4 : 몸체
5 : 철편 6 : 나사
7 : 환태 8 : 전자석
9 : 공기 흡입구 9' : 고무막
10 : 공기배출구 15, 15' : 배기관
16 : 공기필터 17 : 환돌조
18 : 요홈 19 : "ㄱ"자형고리
20 : 탄성고무
본 고안은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항용 기포발생장치에 잇어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이 단부에 부착된 진동자(2)에 고무재질로 된 캡(3)이 설치되고 타단부는 몸체(4) 측면에 지지되도록 철편(5)을 나사(6)에 의해 고정시켜서 상기한 진동자(2)가 진동하도록 되고, 또 상기한 캡(3)을 공기 흡배기의 주면에 돌설된 환테(7)에 강제로 씨우도록 된것이었다. 따라서 전자석(8)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교류전원의 주파수인 60싸이클 주기로 몸체(5)를 중심으로 진동자(2)가 좌.우 진동하는데 따라 고무재질로된 캡(3)의 신축 작용에 의해 공기흡입구(9)의 고무가(9')을 당겨서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막(10)으로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므로 진동에 의해 캡(3)이 환태(7)의 주면으로부터 벗겨지는 경우 공기 흡배출의 기능을 다할수가 없게 되며 또 진동자(2)의 일측을 철편(5)으로 몸체(4)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진동음이 몸체(4)를 통해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 이와같은 진동이나 캡(3)의 환태(7) 주면으로 부터의 떨어져 나감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전자석(8)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서 공기의 흡배출이 약해지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나 공지의 제5도와 같은 것은 같은 부호로 부여 했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키위한 기포발생장치의 사시도로 갑체(12)에는 전원코드 연결구(13)와 가변스위치(14)및 공기 배출관(15,15')가 배설되며 밑바닥에는 공기필터(16)와 고무받침(17,17')이 설치되는 것은 공지와 같은 것이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했다.
제2도에 단면도가 도시되고 제3도 및 제9도에 발췌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몸체(4)와 같은 재질로 사출된 "ㄱ"자형고리(19)가 돌설된 사이에 탄성고무(20)로 감싼 진동자(2)의 일단을 삽착할수 있도록 되었으며, 환태(7)의 외주면 일측에는 환돌조(17)가 돌설되었으며 이와 대칭되게 캡(3)의 내주면에 요흠(18)이 요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은 공기흡입구(9)의 고무막이며 22는 공기 배출구(10)의 고무막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고무막(21,22)은 공기흡입구(9)은 공기 배출구(10)에는 공기가 일방향으로만 통하도록 되는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진동자(2)를 몸체(4)로부터 단지 "ㄱ"자형 고리(19)와 몸체(4)사이의 공간에 고무팩킹과 같은 연질의 고무를 씌워 착탈할수 있으므로 종래 나사등으로 지지하는 것보다 조립이 간편할뿐 아니라 고무와 같은 탄성재를 씌워서 진동자(2)를 착탈하므로 진동음을 흡수하여 소음이 거의없고 또 전자석(8)에 통전하는 경우 상기한 진동자(2)의 단부를 중심으로 진동하므로 진동자(2)의 진폭(振幅)이 넓어져 환턱(7)에 끼운 캡(3)의 진폭이 켜져서 공기의 흡배율이 향상될뿐 아니라 진폭율이 크더라도 캡(3)내주에 요설된 요홈(18)에 환턱(7)의 주면에 형성된 환돌조(17)가 끼워져서 쉽게 벗겨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공기의 흡배출율이 향상됨은 물론 작용이 확실하여 종래의 공기 기포발생기에 비해 소음이 없는 등의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몸체(4)에 지지되는 진동자(2)를 전자석(8)에 의해 진동시켜 공기를 흡배출토록 되는 어항용 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 몸체(4)와 일체로되는 "ㄱ"자형 고리(19)에 탄성고무(20)로 일단을 감산 진동자(2)를 착탈하도록 되고, 진동자(2)의 캡(3) 내주면에 요홈(18)이 요설되어 환턱(7)의 외주면 일측에 돌설된 환돌조(17)이 끼워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기포발생장치.
KR2019910000337U 1991-01-12 1991-01-12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KR920008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337U KR920008119Y1 (ko) 1991-01-12 1991-01-12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337U KR920008119Y1 (ko) 1991-01-12 1991-01-12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533U KR920014533U (ko) 1992-08-14
KR920008119Y1 true KR920008119Y1 (ko) 1992-11-12

Family

ID=1930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337U KR920008119Y1 (ko) 1991-01-12 1991-01-12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1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533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8392B1 (en) Air pump
KR920008119Y1 (ko) 어항용 기포발생 장치
DK0713046T3 (da) Indretning til lyddæmpning i rørledninger
FR2391328A1 (fr) Dispositif d'amortissement acoustique pour installations sanitaires
SE9701734D0 (sv) Sätt att avtäta en spalt mellan en ringformig vägg och ett rörändparti
PL321453A1 (en) Housing for a washing machine water level sensor
KR950000110Y1 (ko) 관상어용 공기발생기
FR2780781B1 (fr) Capteur d'oscillations comportant une douille de pression avec ressort annulaire maintenu sur la paroi exterieure de la douille de pression
KR970001997Y1 (ko) 자동차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KR950000992A (ko) 저주파 진동 세탁장치의 세탁조 구조
KR100435715B1 (ko) 와이어링 고정용 에어튜브
KR970002070A (ko) 파이프 연결 구조
KR200169156Y1 (ko) 미니콤푸레셔
KR970020019A (ko) 진공청소기의 호스 고정 구조
KR200335911Y1 (ko) 흡입,배출용 공기통
KR940003781Y1 (ko) 저소음 공기발생기
RU2118526C1 (ru) Массажный элемент
RU2000115917A (ru) Душ-массажный аппарат кныша
KR970035615A (ko) 차량용 연료 주입튜브 조립구조
KR970035616A (ko) 차량용 연료 주입튜브 조립구조
KR960040293A (ko) 흡입 브러쉬의 저소음 장치
JPS5614820A (en) Silencer
SE8500960D0 (sv) Anordning for skydd av elektriska komponenter
KR940019173A (ko) 기기의 원격조작장치
KR960000017A (ko) 속을 통하는 낚시대용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