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91Y1 -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91Y1
KR920007991Y1 KR2019890020331U KR890020331U KR920007991Y1 KR 920007991 Y1 KR920007991 Y1 KR 920007991Y1 KR 2019890020331 U KR2019890020331 U KR 2019890020331U KR 890020331 U KR890020331 U KR 890020331U KR 920007991 Y1 KR920007991 Y1 KR 920007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power
microcomputer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429U (ko
Inventor
유연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991Y1/ko
Publication of KR910012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콤의 백업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백업 스위칭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전원공급부
30 : 백업 스위칭부 40 : 백업 전원 공급부
ZD1, ZD2: 제너 다이오드 C1, C2: 백업용 콘덴서
본 고안은 마이콤이 내장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전시에나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시 빠른 시간내에 백업(Back up)동작이 수행되도록 스위칭하여 마이콤에 기억된 내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콤이 내장된 시스템, 예를 들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와 같은 기기에서는 재생 동작의 수행중이나 예약 녹화 대기, 또는 예약 녹화 동작의 수행중에 정전이나 사용자의 실수등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마이콤에 기억된 내용이 모두 지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원 재인가시 이전 동작을 처음부터 반복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백업 회로가 구성되어 있어 수행되고 있던 동작내용이나 예약 내용을 마이콤에서 기억하고 있다가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이전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백업 기능의 수행을 우해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이오드(D)와 저항(R)과 콘덴서(C)로 이루어진 백업회로를 사용했는데, 전원(B+)인가시에는 다이오드(D)를 통해 콘덴서(C)에 전압이 충전되다가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콘덴서(C)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마이콤(10)으로 공급되어 마이콤(10)의 기억 내용을 보호해 주게 된다.
그런데 이경우 정전이나 전원 공급의 중단으로 전원(B+)전압이 서서히 낮아지게 되면 마이콤(10)의 기억내용을 보호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즉,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전원(B+)전압의 변동이 생기게 되면 그에 따라 콘덴서(C)의 충전 전압이 마이콤(10)으로 방전되므로 백업용 콘덴서(C)의 충전 전압이 낮어지게 되고, 전원(B+)전압이 서서히 낮아지게 되면 일정 전위까지는 방전에 의해 콘덴서(C)의 충전 전압도 함께 낮아지다가 일정 시점에서 백업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갑작스럽게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비해 콘덴서(C)의 방전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로인해 정전시 빠른 시간내에 백업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콘덴서의 충전 전압의 강하로 마이콤에 충분한 백업 전압을 공급해 줄 수 없게 되므로 마이콤의 기억 내용을 보호해 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됨에 따라 스위칭되어 마이콤의 전원을 선택하는 백업 스위칭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정전시 백업 모드로의 절환이 빠른 시간내에 수행 되도록 하고, 아울러 백업용 콘덴서의 방전시간을 단축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백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백업 스위칭 회로는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0)과, 입력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따라 스위칭 되어 마이콤(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아울러 백업 전원이 전원 입력단으로 방전되지 않도록 하는 트랜지스터(TR1)와 저항(R1)과 제너 다이오드(ZD1)로 된 전원공급부(20)와, 입력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따라 스위칭되어 백업 전원공급부(4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2)와 다이오드(D1)(D2) 저항(R2-R4), 제너다이오드(ZD2)로 된 백업 스위칭부(30)와, 백업 스위치부(3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충방전되어 마이콤(10)에 백업 전원을 공급하는 저항(R5)(R6)과 콘덴서(C1)(C2)로 된 백업 전원 공급부(40)를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입력단의 레귤레이터(Regulator)에서 발생된 전원이 직류전원 단자(B+)를 통해 입력되므로 이 전원이 전원 공급부(20)의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면서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압이 마이콤(10)에 인가되어 동작전원으로 사용 되어진다.
동시에 상기 입력 전원은 백업 스위칭부(30)의 제너 다이오드(ZD2)와 저항(R2)에 의해 정전압이 된 뒤 저항(R3)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2)는 오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정전압이 저항(R3)과 다이오드(D2)를 통해 백업 전원 공급부(40)로 인가되므로 콘덴서(C1)(C2)에는 이 전압이 그대로 충전되어지며, 이때 오프된 트랜지스터(TR2)와 다이오드(D2)에 의해 충전 전압의 방전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정전등으로 인해 입력전원이 차단되면 전원 공급부(20)의 트랜지스터(TR1)는 오프되므로 마이콤(10)으로의 동작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백업 스위칭부(30)의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위는 백업 전원 공급부(40)의 충전전압에 의해 에미터 전위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도통되면서 백업용 콘덴서(C1)(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방전되며, 이때 다이오드(D2)와 전원공급부(20)의 오프된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전원 입력단으로의 방전이 차단되므로 백업 전원 공급부(40)의 충전 전압이 그대로 마이콤(10)에 인가되어 백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정전시 백업 모드로의 절환이 빠른 시간내에 행해지고, 아울러 방전 시간의 단축으로 백업 전원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백업 동작이 불안정하게 수행되어 마이콤의 기억 내용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이콤(10)을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따라 스위칭되어 마이콤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백업 전원이 전원 입력단으로 방전되지 않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20)와, 입력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따라 스위칭되어 백업 전원공급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백업 스위칭부(30)와, 백업 스위칭부(3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충방전되어 마이콤에 백업 전원을 공급하는 백업 전원 공급부(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KR2019890020331U 1989-12-29 1989-12-29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KR920007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331U KR920007991Y1 (ko) 1989-12-29 1989-12-29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331U KR920007991Y1 (ko) 1989-12-29 1989-12-29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429U KR910012429U (ko) 1991-07-30
KR920007991Y1 true KR920007991Y1 (ko) 1992-10-22

Family

ID=1929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331U KR920007991Y1 (ko) 1989-12-29 1989-12-29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9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98B1 (ko) * 2006-09-06 2009-10-08 이동원 콘덴서를 이용한 마이콤 데이터 저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98B1 (ko) * 2006-09-06 2009-10-08 이동원 콘덴서를 이용한 마이콤 데이터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429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2163A (en) Power down circuit for data protection in a microprocessor-based system
US5375247A (en) Apparatus for controlled switching of a microcomputer to standby mode
CA2022573C (en) Standby/run power supply and control circuit
US3980935A (en) Volatile memory support system
JPH0556577A (ja) 電源制御装置
US52511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battery life
US5136175A (en) Current supply circuit arrangement
US5118962A (en) Power supply backup circuit
US5285452A (en) Microcomputer power failure control circuit
KR920007991Y1 (ko) 마이콤의 백업 스위칭 회로
US5825099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ircuit
US5831347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if the duration of a power failure exceeded predetermined limits
JPH05276465A (ja) 電源スイッチ回路
JPH05333973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の電源装置
JPS63288309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JPH0212546A (ja) メモリ保持システム
KR940000891B1 (ko) 브이씨알의 전원백업방법 및 장치
JPH1051978A (ja) 電源バックアップ回路
KR870001261Y1 (ko) 녹음기용 타이머 스탠드 바이-스위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JPS61177523A (ja) Ramバツクアツプ用電源切替え回路
KR960007134Y1 (ko) 재생테이프 보호장치
JP3322554B2 (ja) 停電検出装置
KR960003380Y1 (ko) 텔레비젼의 정전 대비용 회로
KR0117851Y1 (ko) 타이머에 대한 장시간 정전보상회로
KR950005764Y1 (ko) Vcr의 시스콘 마이콤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딥 보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