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91Y1 -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 Google Patents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91Y1
KR920007791Y1 KR2019900011927U KR900011927U KR920007791Y1 KR 920007791 Y1 KR920007791 Y1 KR 920007791Y1 KR 2019900011927 U KR2019900011927 U KR 2019900011927U KR 900011927 U KR900011927 U KR 900011927U KR 920007791 Y1 KR920007791 Y1 KR 920007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lug
terminal
pin holde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354U (ko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상농기업 주식회사
권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농기업 주식회사, 권사영 filed Critical 상농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1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791Y1/ko
Publication of KR920005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3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for use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제1도는 종래 꽂음플럭의 핀홀더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꽂음플럭의 핀홀더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것으로, (a)도는 보통2극(접지형) 일체성형 꽂음플럭의 핀홀더를, (b), (c)도는 보통형 2극 일체성형 꽂음플럭의 핀홀더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3도는 제2도의 핀홀더가 꽂음플럭 몸체내에 착설된 것을 표시한 일부 생략단면도로 (a)도는 보통형 2극(접지형) 일체성형 꽂음플럭을, (b), (c)도는 보통형 2극 일체성형 꽂음플럭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 핀홀더 2a, 2b, 2c : 단자핀
4a : 접속단자 6a, 6b, 6c : 내침수(耐侵水)용 벽
P : 보통형 2극(접지형)일체성형 꽂음플럭
P',P" : 보통형 2극 일체성형 꽂음플럭
본 고안은 내침수형(耐侵水型)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더욱 상세하게로는 플럭몸체내에 착설되는 핀홀더에 내침수용벽을 성형한 구조에 의해, 플럭몸체내로 침투되는 수분이 단자핀과 핀, 단자핀과 접지단자를 상호 접속되지 못하게 하여 수분으로 인한 전기합선 및 단락등의 전기안전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한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세탁기, 가습기, 양수기 또는 주방, 목욕탕등에서 사용되는 전원기기 들에 사용되는 플럭의 경우에는 항상 플럭몸체내로 수분이 침투될 우려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곳에 사용되는 일체성형 꽂음플럭은 제1도에 접지형 꽂음플럭의 핀홀더(1')만을 일예로 예를들어 표시한 바처럼, 핀홀더(1')는 단자핀(2')과 접지단자(4')만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럭몸체(미도시)내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면 수분은 제1도 핀홀더(1')상면에 중앙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바처럼 그대로 핀홀더(1')의 상면위를 거쳐서 단자핀(2')과 핀(2')을 접속하여 주는 도체역활을 하였다.
따라서, 내전압 및 합선 원인으로되어 각종 전기안전사고등의 유발하게 된다고 하는 폐단이 있었다.
한편, 고무캡 조립식인 방수용 플럭이 별도 제조되고 있으나, 형태가 복잡하고 크기가 대형으로되어 값이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어서, 일반가전용 제품에는 사용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결점들을 해소키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핀홀더에 내침수용벽을 성형함에 의해, 플럭몸체내로 침투되는 수분이 홀더의 단자핀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사전방지하여 수분으로 인한 전기합선등이 없도록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내침수용벽은 핀홀더성형시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므로, 플럭구조가 간단하며 제조공정 역시 간단하여 안가(安價)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단자핀과 접지단지만의 조립형이거나 또는 일체로 사출된 핀홀더를 갖는 통상구조의 일체성형 꽂음플럭에 있어서, 보통형 2극(접지형) 또는 보통형 2극 일체성형 꽂음플럭의 몸체내에 착설되는 핀홀더 상면에는 단자핀과 인접하여 내측주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내침수용벽을 핀홀더와 일체로 입설되게 성형하며, 상기 내침수용벽은 몸체내로 침투되는 수분이 단자핀과 단자핀, 단자핀과 접지단자의 접속을 못하게 하는 침수절연저항체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술(詳述)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제2도(a)는 제3도(a)의 보통형 2극(접지형) 일체성형 꽂음플럭(250V)(P)에 적용되는 핀홀더(1a)를 예시한 것으로, 핀홀더(1a)상면에 돌출된 한쌍의 단자핀(2a)와 (2a') 사이에는, 내침수형 벽(6a)(6a')을 상기 단자핀(2a)(2a')의 주위에 인접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핀홀더(1a)를 사출성형시 일체로 성형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인 (8a)는 플럭몸체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2도(a)에 표시한 핀홀더(1a)를 제3(a)에 표시된 보통형 2극(접지형) 일체성형 꽂음플럭(P)에 적용하면 수분이 플럭몸체(8a)내로 침투하여 핀홀더(1a)의 단자핀(2a)(2a')측을 향하여 유동되더라도, 핀홀더(1a)상면에 입설된 내침수용벽(6b)(6b')이 수분의 유도를 막아주므로, 수분에 의한 단자핀(2a)와 (2a') 접속이나 또는 접지단자(4a)(4a')와 단자핀(2a)(2a')의 접속이 차단되게 된다.
즉, 내침수용벽(6b)(6b')이 침투되는 수분에 대하여 절연저항체 역활을 하기 때문에, 종래(제1도)의 핀홀더(1')에 어떠한 수분침투막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플럭(P) 내로 수분 침투시 수분으로 인한 단자핀(2a)와 (2a')의 접속이나 또는 단자핀(2a)(2a')과 접지단자(4a)(4a')의 접속을 차단하여 주어 수분침투로 인한 전기적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는 내전압 및 합선등의 전기적 위험의 우려성이 현저히 절감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침수용벽(6b)(6')은 핀홀더(1a)를 사출성형시 같이 성형하기 때문에, 플럭(p)이 콤팩트하게 되며 제조공정역시 간단하여 안가로 대향공급이 가능하며, 또 기존플럭에도 일부 금형만을 변형함에 의해 적용시킬 수 있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제2도 및 제3도의 각 (B), (C)는 상기와 동일한 원리로 내침수용 벽(6b)(6b'), (6c)(6c')가 입설된 핀홀더(1b), (1c)와, 그 핀홀더(1b), (1c)가 사용된 보통형 2극(250V)일체성형 꽂음플럭(P')과 보통형 2극(150V) 일체성형 꽂음플럭(P")을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부호인 (2b)(2b'), (2c)(2c')는 단자핀, (8b), (8c)는 플럭몸체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상기 플럭(p')(p")역시 내침수용 벽(6b)(6b'), (6c)(6c')에 의한 수분차단효과는 앞서 설명한 보통형 2극(접지형) 일체서이형 꽂음플럭(p)과 동일하다.

Claims (1)

  1. 한쌍의 단자핀만을 갖는 일체형 핀홀더나 또는 단자핀(2')과 접지단자(4')만을 갖는 조립형 또는 일체형 핀홀더(1')가 내장된 통상구조의 일체성형 꽂음플럭에 있어서, 보통형 2극(접지형)일체성형 꽂음플럭(P) 또는 보통형 2극 일체성형 꽂음플럭(P')(P")의 몸체(8a), (8b), (8c)에 내장되는 핀홀더(1a), (1b), (1c) 상면에는, 단자핀(2a)(2a'), (2b)(2b'), (2c)(2c')과 인접하여 내측주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내침수용벽(6a)(6a'), (6b)(6b'), (6c)(6c')을 상기핀 홀더와 일체로 사출성형하며, 입설된 내침수용벽은 플럭몸체로 침투되는 수분이 단자핀(2a)와 (2a'), (2b)와 (2b'), (2c)와 (2c'), 단자핀(2a)(2a')와 접지단자(4a)(4a')와의 접속을 못하게 침수절연 저항체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KR2019900011927U 1990-08-07 1990-08-07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KR920007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927U KR920007791Y1 (ko) 1990-08-07 1990-08-07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927U KR920007791Y1 (ko) 1990-08-07 1990-08-07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354U KR920005354U (ko) 1992-03-26
KR920007791Y1 true KR920007791Y1 (ko) 1992-10-17

Family

ID=1930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927U KR920007791Y1 (ko) 1990-08-07 1990-08-07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7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354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20798A (ja) 簡易防水コネクタ
US3609630A (en) Double insulated plug
JP4074691B2 (ja) 一対の導電ピンと必要に応じて1つの接地ピンを有する電気器具プラグ用のプラグブリッジ
KR920007791Y1 (ko) 내침수형 핀홀더를 갖는 일체성형 꽂음플럭
KR200496206Y1 (ko) 방수 퓨즈박스
KR880010519A (ko) 전기 접속기
KR200252581Y1 (ko)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CN220586244U (zh) 一种防触电光伏组件
CN220209431U (zh) 一种带连接器的密封型端子台
JPH06243913A (ja) 電線接続部の防水構造
CN217405840U (zh) 一种浸水防漏电插座
KR840000695Y1 (ko) 전원 조절을 아답터로 할 수 있는 플럭
KR200160485Y1 (ko) 전기플러그
KR100614665B1 (ko) 세탁기 모터의 터미널 하우징
KR910008180Y1 (ko) 접속단자용 절연캡
KR860001927Y1 (ko) 콘센트 겸용 플럭
KR950001458Y1 (ko) 벽면 설치용 전환 콘센트
KR850001669Y1 (ko) 입력전원에 관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KR200209398Y1 (ko) 탄성부재로 형성한 일체형 콘센트
KR970000288Y1 (ko) 배선단자용 슬리브 구조
KR200151955Y1 (ko) 개량된 110v.220v 겸용 플러그의 감전 방지장치
JPS5841663Y2 (ja) 2極端子と3極端子とを備えた差込プラグ
KR100299300B1 (ko) 전기배선의분기결선을위한컨넥터
KR200363536Y1 (ko) 유도전류를 이용한 감전 및 누전 방지용 소케트와 플러그
KR920005454B1 (ko)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