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57Y1 - 골프백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골프백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57Y1
KR920007757Y1 KR2019900002102U KR900002102U KR920007757Y1 KR 920007757 Y1 KR920007757 Y1 KR 920007757Y1 KR 2019900002102 U KR2019900002102 U KR 2019900002102U KR 900002102 U KR900002102 U KR 900002102U KR 920007757 Y1 KR920007757 Y1 KR 920007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g
legs
operating member
le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66U (ko
Inventor
맹섭
Original Assignee
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섭 filed Critical 맹섭
Priority to KR201990000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757Y1/ko
Priority to JP3053840A priority patent/JP2711763B2/ja
Publication of KR910015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63B55/53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with legs opening automatically upon putting the bag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63B55/57Bags with tripod or like set-up st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골프백용 스탠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골프백용 스탠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본 고안에 의한 골프백용 스탠드의 사용상태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라 골프백의 저면에 설치된 받침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골프백용 스탠드의 변환기구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사시도.
제6도는 변환기구에 커버를 씌운 본 고안에 의한 골프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골프백 1 : 다리
1a : 다리연장부 2 : 브래킷
3 : 작동부재 4 : 저판
5, 6 : 브래킷 7 : 스토퍼
8 : 탄성밴드 9 : 피니언
10 : 랙판 11 : 지지판
12 : 압축스프링 13 : 받침부재
14 : 크랭크 샤프트 15 : 크랭크 아암
16 : 힌지 17 : U형 브래킷
18 : 링크 19 : 측지간
20 : 핀 21 : 호형 탄성부재
22 : 힌지 23 : 커버
본 고안은 골프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백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골프백의 외주면에 스탠드를 부착함으로써 골프백을 골프코스에서 사용할 때 쉽게 세워놀 수 있으며 전도되지 않도록 안정된 상태로 경사지게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226,389호 및 제4,506,854호 그리고 제4,620,682호 및 제4,676,464호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미합중국 특허 제4,226,389호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골프백의 상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착부재와, 그 장착부재에 부착되고 골프백의 종축에 평행하게 골프백내에 위치하여 골프백의 측부를 지지하는 고정다리와, 상기 장착부재에 저어널되어 골프백의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접힘위치와 상기 고정다리와 함께 골프백을 지지할 수 있는 삼각대형태로 되는 전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두 이동다리로 구성된 것으로서, 두 이동다리를 접힘위치로 하여 골프백을 운반 및 보관하고 두 이동다리를 전개위치로 하여 골프백을 경사상으로 뉘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크럽을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골프백 지지 스탠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백 지지 스탠드는 매번 손으로 두 이동다리를 전개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골프백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두다리와 작동간 상단히 힌지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작동간 하단이 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골프백을 지면에 내려 놓을때 골프백의 무게에 의하여 작동간이 지면에 눌리워져 가이드가 상방으로 상승하여 두 다리가 전개되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를 미합중국 특허 제4,506,854호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보관이나 운반을 위하여 세워 놓을 경우 작동간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취급이 매우 불편하게 되며 부주의로 작동간이 지면등에 닿게 되면 즉시 다리가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전개되는 문제점이 있고, 전개하여 사용하다가 보관이나 운반을 위하여는 역시 손으로 다리를 접어 주어야 하는 분편이 여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골프백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 작동간이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간 상방이 힌지로 체결된 다리 상단을 조임나사로서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미합중국 특허 제4,620,682호로 제안되었으며, 이는 중심샤프트에 고정된 다리 상단의 위치를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더욱 상향조정하여 작동간이 스탠드나 골프백의 최저면보다 상방에 위치토록 하여 작동간의 하향돌출로 인한 운반이나 보관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었고, 일단 작동간을 상향위치에 조절한 후에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전개되는 일이 없으므로 운반이나 보관상의 이점이 있으나 보관이나 운반을 위하여 전개된 다리는 여전히 손으로 접을 수 밖에 없으며, 매번 다리의 상단 위치를 상향 조절하여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이 대단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골프백의 상부에 두다리의 상단을 측설하고 다리의 최상단에 어깨패드의 상단을 연결하며, 어깨패트의 하단을 다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한 클램프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운반을 위하여 어깨패드를 들어 올리면 클램프가 슬라이드 되면서 다리를 접어주게 되고 어깨패드를 놓으면 나이론 코드등의 탄성질로 된 어깨패드의 하단이 탄성으로 전개되므로 클램프가 미끄러지면서 다리를 밀어내게 되어 다리가 전개되어 스탠드의 기능을 발휘하여 결국 운반 중에는 자동으로 접혀지고 사용이나 보관 중에는 다리가 전개되는 것이어서 종전의 것들보다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것이 있었으며, 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4,676,464호로 제안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발명은 사용중은 물론 보관 중에도 다리가 자동으로 전개되는 것이어서 보관이 불편하게 되었으며, 더구나 전개된 상태로 보관, 운반하게 되면 보관에 불필요할 정도로 넓은 면적을 할애하여야 하고, 운송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운반이나 보관시 고리를 풀어 다른 곳으로 이동 연결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은 종래기술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다리가 고무줄의 탄력과 자중에 의하여 접혀져있도록 하고, 사용중에는 골프백을 경사지게 전도시키는 힘만으로 다리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다리의 절첩 및 전개가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함에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능이 매우 단순한 구조의 의하여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그 실용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다리가 접힘위치와 전기위치사이에서 선회운동 가능하게 골프백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쌍의 다리를 구비하여서 되는 골프백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이 전개위치로 벌어질 때는 다리의 벌어지는 간격이 넓어지도록 방사상으로 서로 벌어지게 하기 위하여 각 다리의 상단에 서로 근접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브래킷에 의해 골프백의 외주에 대해 접선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다리연장부와, 골프백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에 의하여 상기 다리들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지면에 근접하는 L형의 저판이 부착되어 있는 작동부재와, 상측 브래킷위의 작동부재의 부분과 하측브래킷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부재에 하향이동력을 가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한쌍의 다리와 작동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부재의 상햐방향운동을 다리의 선회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환기구는 각 다리의 연장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과, 그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랙판과, 그 랙판을 지지하도록 작동부재의 상단에 부착되는 지지판과, 랙판과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랙판의 랙기어를 항상 피니언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가압하는 다수의 압축스프링을 구비하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환기구는 하단이 작동부재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아암과, 그 크랭크아암의 상단에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의 양단부는 다리들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 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에 핀으로 연결되어 다리의 선회운동시 그 형상이 변형가능한 U형의 크랭크샤프트를 구비하고 있는 크랭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환기구는 하단이 작동부재의 상단에 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와, 상단이 각 다리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링크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측지간을 구비하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환기구는 양단부가 다리들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부가 작동부재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호형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를 구비하고 있는 골프백(A)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스탠드는 접힘위치와 전기위치사이에서 스윙운동 가능하게 골프백(A)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쌍의 다리(1), (1)와, 골프백(A)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5), (6)에 의하여 상기 다리(1),(1)들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L형의 저판(4)이 부착되어 있는 작동부재(4)와, 상기 한쌍의 다리(1), (1)와 작동부재(3)에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부재(3)의 상하방향운동을 다리(1), (1)의 선회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B)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1), (1)들은 상단에서 절곡되어 서로 근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a), (1a)를 각각 가지고 있는데, 이 연장부(1a), (1a)들은 골프백(A)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된 브래킷(2), (2)에 형성된 안내구멍(2a), (2a)에 삽입되게 된다. 각 브래킷(2)의 안내구멍(2a)들은 골프백(A)의 외주에 대해 접선적으로 연장되고, 이에따라 그 안내구멍(2a)에 삽입되는 다리(1)의 연장부(1a)도 골프백(A)의 외주에 대해 접선적으로 연장됨으로써, 다리(1), (1)들의 선회운동이 반경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1), (1)들은 전개위치로의 선회운동시 서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안전되게 골프백(A)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작동부재(3)는 긴 봉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그의 하단부에 부착된 저판(4)이 골프백(A)을 경사지게 눕힐때 지면에 닿아 밀리는 힘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작동부재(3)의 상승이동은 저판(4)의 상단이 작동부재(3)를 지지하는 하측 브래킷(6)의 하단에 접촉하게 될때 까지 이루어진다. 또한 브래킷(5) 위에서 작동부재(3)에는 상측 브래킷(5)의 상단에 접촉하여 작동부재(3)의 하강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토퍼(7)와 하측 브래킷(6) 사이에는 탄성 밴드(8)가 설치되어 평상시 작동부재(3)를 스토퍼(7)가 상측 브래킷(5)의 상단에 접촉하게 되는 하강위치로 가압이동시켜, 그 위치에 유지되게 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작동부재(3)의 상하방향 이동을 다리의 선회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기구(B)가 제공되는데,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변환기구(B)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는 각 다리(1)의 연장부(1a)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9)과, 그 피니언(9)과 맞물리는 랙기어(10a)가 형성되어 있는 랙판(10)과, 그 랙판(10)을 지지하도록 작동부재(3)의 상단에 부착되는 지지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부재(3)의 상단에는 랙판(10)과 지지판(11)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작동부재(3)의 다른 부분에 비해 골프백(A)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랙판(10)과 지지판(11) 사이에는 다수의 압축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랙판(10)의 랙기어(10a)는 항상 피니언(9)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되게 된다.
저판(4)은 골프백(A)이 직립된 상태에 있을 때는 지면에 닿거나 또는 거의 근접되게 위치되어 있어, 골프백(A)이 경사지게 되기 시작하면 그 즉시 그의 수평방향 선단부분이 지면에 의해 눌리어지면서 제2도의 길이(L) 만큼 작동부재(3)를 상승시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이루게 하기 위해서는 저판(4)의 수평방향 돌출길이를 크게하는 것이 필요하나,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백(A)의 저면에 그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받침부재(13)가 설치되고, 이에 따르면 받침부재(13)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경사도로 골프백(A)을 위치시킬 때 제2a도에 길이L+L1)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부재(3)의 이동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저판의 수평방향 돌출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스탠드는 하기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평상시, 즉 작동부재(3)의 저판(4)이 지면에 닿아 눌이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부재(3)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의 자중 및 탄성밴드(8)의 장력에 의하여 하강위치에 유지되고, 이때 다리(1), (1)들도 그의 접힘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백(A)을 사용을 위하여 경사지게 위치시키면 그와 동시에 저판(4)이 지면에 의해 눌리어지게 되면서 탄성 밴드(8)의 장력에 대항하여 작동부재(3)를 저판(4)의 상단이 하측 브라켓(6)의 하단에 접촉할 때 까지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재(3)의 상단에 부착된 지지판(11)과 그에 지지된 랙판(10)이 상승하게 되면서, 랙판(10)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9)을 제2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 결과 다리(1), (1)들이 전개위치로 스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개된 다리(1), (1)들에 의해 골프백(A)은 경사진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골프백(A)으로 부터 골프크럽들을 편리하고도 안정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골프크럽의 사용 후에는, 골프백(A)을 다시 직립위치로 세우는 것만으로 다리(1), (1)가 자동으로 접혀지고 저판(4)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한 본래의 상태로 되는 것이어서 사용이 지극히 편리한 것이다. 즉, 골프백(A)을 경사위치로 부터 직립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작동부재(3) 및 저판(4)이 자체 하중 및 탄성 밴드(8)의 장력에 의하여 작동부재(3)에 형성된 스토퍼(7)가 상측 브래킷(5)에 접촉할 때 까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고, 이러한 작동부재(3)의 하강 운동에 따라 작동부재(3)의 상단에 부착된 지지판(11)과 랙판(10)이 하강하게 되어 랙판(10)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9)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1), (1)들이 그의 접힘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구(B)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변환기구(B)는 크랭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크랭크기구는 하단이 작동부재(3)의 상단에 힌지(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아암(15)과, 그 크랭크아암(15)의 상단에 중앙부(14a)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14a)의 양단부는 다리(1), (1)들의 연장부(1a), (1a)의 각 단부에 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14b), (14b)에 핀으로 연결되어 다리의 선회운동시 그 형상이 변형가능한 U형의 크랭크샤프트(14)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상시에는 작동부재(3)가 자중 및 탄성밴드(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그 상단에 힌지(16)에 의해 연결된 크랭크아암(15) 및 그에 연결된 크랭크샤프트(14)가 제3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1), (1)들은 접힘위치에 있게 되어 골프백(A)의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골프백(A)을 사용을 위해 경사지게 위치시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과정에 따라 작동부재(3)의 상승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크랭크아암(15)이 상승하면서 크랭크샤프트(14)를 제3도에 실선으로 다시 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1), (1)들은 전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부터 다시 골프백(A)을 직립된 상태로 세우게 되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과정에 따라 작동부재(3)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크랭크기구 및 다리(1), (1)들은 제3도의 점선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물론 다리(1), (1)들의 방사상전개를 위하여 그의 각 연장부(1a), (1a)들이 골프백(A)의 외주에 대해 접선적으로 연장되게 된다.
제4도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구(B)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변환기구(B)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기구는 하단이 작동부재(3)의 상단에 핀(20)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18)와, 상단이 각 다리(1)의 연장부(1a)의 각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링크(18)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축지간(19), (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작동부 제(3)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제공된다.
제5도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구(B)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변환기구는 양단부가 다리(1), (1)들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부가 작동부재(3)의 상단에 힌지(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호형의 탄성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부재(21)는 하방스프링력을 발휘하며, 이에 따라 그 자체가 어느정도 다리(1), (1)들을 접힘위치에 유지시키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나, 작동부재(3)의 상승 이동시에는 그 상승이동력에 의하여 약간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그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변형력에 의하여 다리(1), (1)들을 전개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작동부재(3)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변환기구(B)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23)를 씌워, 외관을 좋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탠드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골프백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중인 일반 골프백에 본 고안품을 부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며, 골프백을 경사지게 하는 것만으로 다리가 자동으로 전개될 뿐만 아니라, 골프백을 일체의 조작없이 단지 직립되게 세우는 것만으로 다리가 자동으로 접혀지게 된다는 점에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고, 또한 구조의 단순화에 의해 고장율도 거의 없는 우수한 것이다.
지금까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안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골프백(A)에 장착된 브래킷(2)(2)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다리(1)(1)를 구비한 골프백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1)(1)의 상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절곡된 다리 연장부(1a)(1a), 상기 다리(1)(1)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가능하도록 상하측 브라켓(5)(6)에 의해 지지되며 그 하단에는 L형의 저판(4)이 부착된 작동부재(3), 일단은 상기 작동부재(3)상의 스토퍼(7)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브래킷(6)상에 고정된 탄성밴드(8), 및 상기 다리연장부(1a)(1a)의 일단과 상기 작동부재(3)의 상단에 서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작동부재(3)의 상하운동을 다리(1)(1)의 선회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B)는 각 다리(1)의 연장부(1a)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9)과, 그 피니언(9)과 맞물리는 랙기어(10a)가 형성되어 있는 랙판(10)과 그 랙판(10)을 지지하도록 작동부재(3)의 상단에 부착되는 지지판(11)과, 랙판(10)과 지지판(11) 사이에 설치되어 랙판(10)의 랙기어(10a)를 항상 피니언(9)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가압하는 다수의 압축 스프링(12)을 구비하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B)는 하단이 작동부재(3)의 상단에 힌지(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아암(15)과, 그 크랭크아암(15)의 상단에 중앙부(14a)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14a)의 양단부는 다리(1)(1)들의 연장부(1a)(1a)의 각 단부에 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14b)(14b)에 핀으로 연결되어 다리의 선회운동시 그 형상이 변형가능한 U형의 크랭크샤프트(14)를 구비하고 있는 크랭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B)는 하단이 작동부재(3)의 상단에 핀(20)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18)와, 상단이 각 다리(1)의 연장부(1a)의 각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링크(18)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축지간(19)(19)을 구비하는 링크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B)는 양단부가 다리(1)(1)들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부가 작동부재(3)의 상단에 힌지(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호형의 탄성부재(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스탠드.
KR2019900002102U 1990-02-26 1990-02-26 골프백용 스탠드 KR920007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102U KR920007757Y1 (ko) 1990-02-26 1990-02-26 골프백용 스탠드
JP3053840A JP2711763B2 (ja) 1990-02-26 1991-02-26 ゴルフバッグ用スタン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102U KR920007757Y1 (ko) 1990-02-26 1990-02-26 골프백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66U KR910015166U (ko) 1991-09-25
KR920007757Y1 true KR920007757Y1 (ko) 1992-10-17

Family

ID=1929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102U KR920007757Y1 (ko) 1990-02-26 1990-02-26 골프백용 스탠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11763B2 (ko)
KR (1) KR9200077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746A (ja) * 2005-09-28 2007-04-1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7220Y1 (ko) * 1964-06-23 1967-04-06
JPS5658134A (en) * 1979-10-18 1981-05-21 Hitachi Maxell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914196A (ja) * 1982-07-14 1984-01-25 Toshiba Corp 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66U (ko) 1991-09-25
JP2711763B2 (ja) 1998-02-10
JPH0767993A (ja) 199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9350A (en) Golf bag with support stand
JP2563737Y2 (ja) 支持スタンド付きゴルフバッグ
US4754985A (en) Luggage carrier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CA2218544A1 (en) Folding table
US4378862A (en) Portable spiral staircase
JP2001512202A (ja) 折り畳み式ステージ
GB2025213A (en) Folding chair
KR920007757Y1 (ko) 골프백용 스탠드
US5303888A (en) Golf bag with support stand
US5816399A (en) Golf bag with stand
US5371964A (en) Display sign with collapsible support base
KR950001353Y1 (ko) 골프백용 스탠드
KR930007410Y1 (ko) 골프백용 스탠드
JP2554656Y2 (ja) スタンドが付着されたゴルフバッグ
CN218960615U (zh) 坐便器踏板
KR920007758Y1 (ko) 스탠드가 부착된 골프백
KR930007412Y1 (ko) 스탠드를 부착한 골프백
KR0120889Y1 (ko) 골프백에 부착된 카트
JP2566755Y2 (ja) スタンドが備わったゴルフバッグ
KR0127794Y1 (ko) 골프백용 자동절첩 받침대
JP2002138783A (ja) 手摺付き脚立
US1854240A (en) Ladder
KR960010490Y1 (ko) 아이젠
JP2863701B2 (ja) 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3100001529;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31228

Effective date: 199403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3100001600;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31228

Effective date: 19940318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31214

Effective date: 19940318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31228

Effective date: 199403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