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648Y1 - 덤퍼장치 - Google Patents

덤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648Y1
KR920007648Y1 KR2019860008242U KR860008242U KR920007648Y1 KR 920007648 Y1 KR920007648 Y1 KR 920007648Y1 KR 2019860008242 U KR2019860008242 U KR 2019860008242U KR 860008242 U KR860008242 U KR 860008242U KR 920007648 Y1 KR920007648 Y1 KR 920007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opening
motor
bear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043U (ko
Inventor
시게루 니시와끼
히데오 사사끼
가즈노리 니시까와
싱이찌 요시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상교세이끼 세이사꾸쇼
야마다 로꾸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8081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718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08808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973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998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828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9984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77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9983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06143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상교세이끼 세이사꾸쇼, 야마다 로꾸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상교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1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덤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덤퍼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덤프장치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측면도.
제3도는 개구부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프레임의 받침대 부분에서의 일부의 측면도.
제5도는 축받이부의 확대 측면도.
제6도는 압핀이 맞닿는 면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일부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축받침부 배플(baffle) 스토퍼부분의 정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축받침부의 측면도.
제10도는 모우터 액추에이터케이스 카바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제11도는 기어가 맞물린 선을 따라 보여주는 단면도.
제12도는 제1의 캠부재 평면도.
제13도는 캠곡선과 배플부분과의 단면도.
제14도는 제3회전부재의 평면도.
제15도는 제3회부재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회전부재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회전부재의 단면도.
제18도는 제어회로의 블럭선도.
제19도는 (a)는 모우터의 정전(正轉)회전시의 타임챠트도.
제20도 및 제21도는 회전부재의 캠부재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덤퍼장치 2 : 프레임
3 : 배플 4 : 모우터구동부
5 : 개구부 5' : 개구면
7 : 돌출벽 8 : 패킹
12 : 축받침부 13 : 배플스토퍼
14 : 판스프링 18 : 압핀
20 : 축받침면 21 : 접합부
22 : 케이스 23 : 축받침돌기
24 : 축받침면 25 : 지지축
26 : 축받침구멍 27 : 모우터
28 : 안내 원통체 29 : 누름면
30,34 : 접합면 33 : 지지판
36 : 큰 직경부 41 : 돌기
101 : 모우터 액츄에이터 109 : 제1회전부재
113 : 제2회전부재 115 : 제1캠부재
116a, 116b : 캠면 119 : 제3회전부재
120 : 제2캠부재 121 : 돌출부
12a : 122b, 122c, 122d : 윤곽캠 123a, 123b : 접합부
124 : 스위치레버 128 : 스위치
130 : 제어회로 136 : 하강검출회로
137 : 상승검출회로 138 : 지연회로
본 고안은, 개구부분을 배플(baffle)에 의하여 개폐하기 위한 덤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분할 상태로 되어있는 냉동실과 냉장실과를 구비한 냉장고에서는 냉동실의 냉기가 냉장실의 내부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냉기의 제어는, 냉동실과 냉장실과를 연결하는 통로에 설치된 배플의 개폐에 의하여 이루어지면, 그의 개폐에 모우터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이와같은 배플은, 축받이 부분에서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의 회전운동 동작에 의하여 개방상태나 아니면 폐쇄상태로 되게 한다.
그런데, 배플부분에 기밀용인 패킹이 부착되어 있지만, 이 패킹이 고르지 못한 상태로 변형하거나, 아니면 개구부의 개구면이 부착 대상에 고정되었을때, 그의 고정력이 비뚤어짐으로 인하여, 비뜨러진 상태로 부착되면 그의 개구부와 패킹과의 밀착이 불충분해지며, 개구부의 폐쇄시에는, 개구부와 배플이 평행한 상태로 대향하지 않고, 냉기가 누설되기 쉬운 상태로 된다.
특히 배플의 한단이 축받침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으므로, 그의 축받이 부분이 개구부의 개구면으로 부터 이탈되어 있다면 배플이 개구부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게 되어 밀착하지 않는 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구부와 이것을 폐쇄하기 위한 배플과를 완전히 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하거나 혹은 배플의 패킹재의 부분적인 변형이나 개구부쪽에서의 비뚤어짐에도 불구하고,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개구부의 가까이에 배플을 축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지지함에 있어서, 그의 축받이 부분에서 지지축을, 개구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개구면에 대하여 배플이 접합할때엔 지지축부분이 움질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배플은, 개구부의 개구면에 대하여, 그의 회전운동 중심으로서의 지지축부분을 변위시키면서 그의 개구면에 유연하게 접하게 되고, 개구면을 완전히 폐쇄한다.
따라서, 패킹부분에 부분적으로 변형이 생긴다든지 개구부에 비뚤어짐이 생긴다 해도, 개구부와 배플과의 폐쇄가 장기간에 걸쳐 확보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먼저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덤퍼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덤퍼장치(1)는, 서로 부리할 수 있는 프레임(2), 배플(3) 및 모우터구동부(4)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은, 예컨대 플라스틱에 의하여 전체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거의 중앙부에 개구부(5)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개구부(5)의 아랫쪽 연장부분에 지지판(6)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5)는, 그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서 일체적으로 설치된 돌출벽(7)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돌출벽(7)의 단면 즉 개구부(5')에서 배풀(3)의 대향면에 부착된 패킹(8)과 대응하고 있다.
더우기, 이 돌출벽(7)의 바깥쪽 돌출부는, 제3도에서 확대해서 제시한 바와같이,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때문에 그 부분에 어름이 부착되어 있어도 그것을 떼어내기 쉬운 상태로 되어있다.
또한, 이 프레임(2)의 좌우의 거의 중앙부, 그리고 아랫쪽 부분에 두터운 부착용 받침대(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프레임(2)의 부착면쪽에 제4도에서와 같이, 개구부(5)와 받침대(9)를 제외하고는, 그보다 약간 두터운 가스켓(10)이 적당한 접착제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2)의 표면쪽에 단수용 리브(11)가 돌출벽(7) 쪽으로 높고, 바깥쪽으로 낮아지고 있는 경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6)은, 배플(3)의 부착쪽으로 좌우 한쌍의 축받침부(12), 그의 가까이에 배플스토퍼(13), 그리고 이 배플스토퍼(13)의 아랫쪽의 판스프링(14)의 부착받침대(15), 스토퍼(16)의 부착 받침대(17), 나사구멍(37)과 동작수단인 압핀(18)의 돌출용구멍(19)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한쌍의 축받침부(12)는, 제5도에서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내부에 반원형상으로 된 축받이면(20)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두개의 축받침부(12)중, 한쪽의 것은, 지지판(6)의 끝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것은 끝가장자리부 보다도 약간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각 축받침부(12)의 내부는, 장방형상으로 구멍 또는 홈으로된 접합부(21)에 의하여, 모우터구동부(4)의 케이스(2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축받침돌기(23)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이 축받침돌기(23)는, 상기 축받침면(20)보다도 큰 반경의 축받침면(24)는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축받침면(20),(24)는, 그의 내부에 배플(3)의 지지판(6)의 끝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지지축(25)을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개구부(5)의 개구면(5')에 세운 수직선 방향으로 길다란 축받침구멍(26)을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5)의 개구면(5')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운 방향은 제1 및 제2도의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모우터구동부(4)는, 케이스(22)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으며, 뒷면쪽에 부착된 모우터(27)의 회전력을 내부의 감속기어 및 단면캠등에 의하여,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압핀(18)으로 전달한다.
이 압핀(18)은, 케이스(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안내원통체(28)의 내부에 바깥쪽으로 부터 삽입되며, 선단부분의 반구형의 누름면(29)에 의하여, 제6도에 명시한 바와같이, 배플(3)의 대향면에 형성된 원주면 형상의 홈으로된 접합면(30)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22)에는, 부착받침대(15)의 내부에 끼워 맞추어진 나사받침부(31) 및 여러개의 부착용 나사구멍(32)이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플(3)은, 아랫쪽으로 뻗어있는 지지판(33)의 단면에서, 한쪽 방향으로 향하여 지지축(25)을 한쪽단에서만 지지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이 지지축(25)은, 선단의 작은 직경부에서만 축받이구명에 끼워 맞춰지며, 그의 기단부분의 큰 직경부(36)는, 그의 단면에서 축받침부(12)및 축받이돌기(23)의 측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한쪽의 지지판(33)은, 제7도에서와 같이, 원주형상의 배플스토퍼(13)와 대응하는 면에서 평탄한 접합면(34)을 형성하고 있다.
더우기 지지판(33)부분에는 배출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멍(35)은, 스토퍼(16) 및 부착받침대(17)를 배플(3)의 뒷쪽면에 돌출하게하고, 또한, 냉풍이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은, 지지판(6)의 뒷쪽면에서 모우터구동부(4)의 케이스(22)에 꼭 맞대져서, 나사구멍(37), (32)부분에 부착나사(38)를 틀어박음으로써 일체화 한다.
이와같이 하여 프레임(2)과 모우터 구동부(4)가 조합되면, 축받침면(20),(24)에 의하여 장방형 축받침구멍(26)이 형성된다.
더우기, 이들의 조합시에, 축받침부(12) 내부에 축받침돌기(23)가 조합되고, 또한 부착받침대(15) 내부에 나사받침부(31)가 끼워 넣어지므로 인하여, 프레임(2)과 모우터구동부(4)와의 부착시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같은 조립상태로 안내원통체(28)의 내부에 압핀(18)이 삽입되고, 이어서 각각의 축받침구멍(26)의 내부에 배플(3)의 지지축(25)이 각각 옆쪽으로 부터, 즉 제1도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향하여 삽입된다.
이때, 배플(3)은, 지지판(6)에 대하여 거의 직각 상태로 삽입된다.
따라서, 이 조립시에, 배플스토퍼(13)는, 배플(3)이 조합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놓여있다.
지지축(25)이 축받침구멍(26)의 내부에 완전히 끼워져 들어간 시점에서, 배플(3)을 프레임(2)과 평행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배플스토퍼(13)는, 제7도에서와 같이, 한쪽의 지지축(25)의 뒷쪽면의 접합면(34)과 선접촉 상태로 접촉하고, 배플(3)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압핀(18)의 누름면(29)은, 제6도에서와 같이, 배플(3)의 접합면(30)의 내부에 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부착받침대(17)에 스토퍼(16)가 나사못(39)등으로 부착된다.
그리하여 마지막으로, 판스프링(14)이 부착받침대(15)에 나사못(40)으로 부착된다.
이 나사못(40)은, 판스프링(14)을 고정하는 동시에, 프레임(2)을 지지판(6)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인하여 배플(3)의 최대 개방각이 규제된다.
이 판스프링(14)은, 폭방향으로 형성된 돌기(41)에 이하여 배플(3)의 뒷쪽면에 접하고 있으며, 그것을 항상 막는 방향, 즉 그의 패킹(8)을 개구부(5)의 돌출벽(7)방향으로 밀어 힘을 주고 있다.
더우기 상기 판스프링(14)은, 부착받침대(15)에 형성된 돌기(42)와, 판스프링(14)의 기단부분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43)에 의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에, 내부 구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제10도 및 제11도는, 모우터 액츄에이터(10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모우터 액츄에이터(101)는, 분할용케이스(102), 케이스카바(103)으로 구성되는 모우터구성부(4)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구동원으로서의 모우터(27), 역전할 가능성이 있는 예컨대 AC모우터이며, 케이스카바(103)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모우터축(105)의 모우터기어(106)를 케이스(102) 내부로 향하게 하고 있다.
이 모우터기어(106)는, 복합형 감속용기어(107),(108)과 순차로 맞물려지고 있으며, 기어로 이루어진 제1회전부재(109)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들 기어(107),(108) 및 제1회전부재(109)는, 케이스(102)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스카바(103)에 의하여 지지된 축(110),(111),(112)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회전부재(109)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제2회전부재(113)에 기어비 1 : 1로 맞물리고 있다.
이 제2회전부재(113)는, 그 자체의 축(114)에 의하여 케이스 및 케이스카바(103)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의 한쪽 측면에서 제1캠부재(1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제1캠부재(115)는,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보여주고 있는 외에, 제12도 및 제13도에서와 같이, 단면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각 180도의 제1위치 P1, 제2위치 P2를 경계로 하여 같은 기울기로, 방향이 상이한 캠면(116a),(116b)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부분에서 동작수단(118)에 접하고 있다.
더우기 이 동작수단(118)은, 케이스(102)에 형성된 안내원통체(28)의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활주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케이스(102)의 내부로 끌어당겨지고 있을때, 조작 대상인 배플(3)을 폐쇄상태로 되게 하고, 또한 역으로 케이스(102)의 내부로 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에, 배플(3)을 개방 상태로 되도록 한다.
더우기, 이 배플(3)은, 지지축(25)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판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개구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 지고 있다.
축(112)은, 제3회전부재(119)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제3회전부재(119)는, 제14도 및 제15도에서와 같이, 한쪽 측면에서 돌출부(121)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리고 그의 외주면에서 제1캠부재(120)로서, 중심에 가까운 윤곽캠(122) 중심으로 부터 떨어진 윤곽캠(122fc), 이들을 경사면에서 연결한 윤곽캠(122b),(122d)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 돌출부(121), 제16도, 및 제17도에서와 같이, 제1회전부재(109)의 측면에 형성된 접합부(123a),(123b)와 대응하고 있다.
상기 제3회전부재(119) 및 이와 일체적으로 제2캠부재(120)가 180도 회전했을 때에, 돌출부(121)는 한쪽으로부터, 예컨대 접합부(123a)로 부터 다른쪽의 접합부(123b)로 접하는 관계에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02) 내부에 스위치레버(124)가 그의 지지축(125)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선단부분에서 영구자석(127)에 의하여 리이드 스위치등의 스위치(128)와 대응되고 있으며, 또한 뒷쪽면의 접촉편(126)에 의하여 윤곽캠(122a),(122b), (122c), (122d)에 접할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더우기, 스위치(128)는, 케이스카바(103)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위치레버(124)는, 케이스(102)의 내부에 넣어진 판스프링(129)에 의하여 스위치(128)로 부터 떨어진 방향 즉 접촉편(126)을 제2캠부재(120)의 바깥 둘레에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다음에 제18도는, 모우터(27)의 제어회로(130)를 보여주고 있다.
이 제어회로(130)는, 스위치(128)에 의한 ON, OFF신호 외에, 온도센서(131)의 신호를 조건으로 하여 모우터(27)의 ON, OFF상태를 제어한다.
이 온도센서(131)는, 냉장고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그의 온도정보를 제어회로(130)로 투입한다.
그리고 스위치(128)의 ON, OFF신호는, 하강 검출회로(136)를 거치거나 상승 검출회로(137)및 지연회로(138)를 거쳐서 제어회로(130)로 입력된다.
이 덤퍼장치(1)는, 그의 프레임(2)에 의하여, 냉장고 등의 통기로에 부착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압핀(18)은, 모우터(27)의 회전력을 받아서 축선방향으로 왕복 진퇴운동을 행한다.
이 압핀(18)이 눌러 들어가 있을때, 배플(3)은, 판스프링(14)의 부가적인 미는 힘을 받아가지고 그의 전면에 있는 패킹(8)을 개구부(5)의 돌출벽(7)의 단면 즉 개구면(5')을 누르고 있다.
이때, 지지축(25)이, 축받침구멍(16)의 내부에서 장방향(제1도와 제2도의 A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배플(3)의 패킹(8)은, 돌출벽(7)의 개구면(5')에 대하여 완전히 평행 상태로 되어 그의 개구부(5)를 밀폐 상태로 되도록 한다.
따라서, 개구부(5)의 프레임(2)이 부착됨으로써, 비평면적인 휘어짐이 발생한다든가, 혹은 패킹(8)이 맞닿는 부분에, 개구부에 대한 불평행한 우묵한 곳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지지축(25)이, 장방형 상의 축받침구멍(26)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배플(3)의 패킹(8)은, 개구부()의 개구면(5')을 항상 밀폐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냉장실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모우터(27)에 구동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모우터(27)는, 그의 회전력으로 압핀(18)을 밀어내어 판스프링(14)의 편향력에 항거해서, 배플(3)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때 압핀(18)이 그의 선단의 반구형의 누름면(29)에 의하여 배플(3)의 접합면(30)에 대하여 거의 회전하는 식의 접촉에 가까운 상태로 접하기 때문에, 그 부분의 마모가 감소한다.
더우기, 모우터구동부(4)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의 개방 동작시에, 배플스토퍼(13) 및 접합면(34)의 가까이에 어름이 부착되어으면 배플(3)의 개방 동작은, 그의 착빙을 파괴하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배플스토퍼(13)가 지지축(2)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더우기 외력의 작용점 즉, 압핀(18)의 위치가 지지축(25)으로 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위하여 배플스토퍼(13) 및 접합면(34)의 착빙부분에 힘이 크게 작동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그 부분에 착빙이 있다손 치더라도, 배플(3)은, 가벼운 힘으로, 즉 적은 토오크의 모우터(27)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축받침부(12)와 지지판(33)과의 사이에 큰 직경부(36)가 있으며, 그 사이에 어름이 부착하기 어려운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받침부(12)와 지지판(33)과의 사이의 착빙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개구부(5)가 개방 상태로 되면 그 부분을 통해서 냉기가 냉장실의 내부로 보내진다.
더우기, 그 냉기는, 배플(3)의 패킹(8)에 닿아서 옆쪽으로 흘러나가지만, 그의 일부는 배출구명(35)으로 부터도 방출된다.
이와같은 개방 상태인 때에, 개구부(5)의 주위 특히 그의 돌출벽(7)의 바깥 둘레부분에 어름이 부착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돌출벽(7)이 바깥쪽 부분에서 곡면을 형성하면서 돌출하고 있으므로 그 부분의 착빙은, 간단히 제거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그의 착빙부분이 녹아서 돌출벽(7) 측면에 따라 흘러내린다 해도 물기를 빼는데 사용하는 리브(11)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그의 물방울은 프레임(2)의 중앙부, 특히 모우터구동부(4)부분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하여, 냉장실의 내부온도가 소정온도까지 하강하면 모우터(27)는 외부 신호를 받아서 다시 가동하여 압핀(18)을 후퇴시킨다.
이에 의하여 배플(3)은 지지축(2)을 회전 운동하는 중심으로 삼고, 판스프링(14)으로 힘이 주어지게 되어 개구부(5)가 폐쇄상태로 된다.
이와같은 개폐동작시에, 판스프링(14)의 돌기(41)가 배플(3)의 뒤면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지만 그의 폭방향의 돌기(41)에 의하여 선접촉상태로 접하고 있으므로, 그의 접촉부분의 국부적인 마찰이 없게 되고, 따라서 원활한 움직임을 장시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모우터 액츄에이터(10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회로(130)의 작용을 설명하면, 실내온도가 높고, 더우기 배플(3)이 폐쇄되어 있을때는 제어회로(130)는, 모우터(27)를 기동시켜서 배플(3)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킨다(동작 유형 A), 그리고 실내온도가 높고, 배플(3)이 열린 상태인 때에는 온도센서(131)는, 그 상태를 계속함으로써 실내에 냉기를 공급한다(동작유형 B).
또한,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도 낮고, 배플(3)이 열려 있을때 제어회로(130)는, 배플(3)을 폐쇄한다(동작유형 C), 더우기 실내 온도가 낮고, 배플(3)이 폐쇄되어 있을때 제어회로(130)는, 냉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상태를 계속한다(동작유형 D).
이와같은 동작 상황을, 동작 유형 A, B, C, D에 따라 각각 표시하면 다음표와 같다.
다음, 제19도 (a)는, 상기 동작유형 A→B→C→D로 변화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동작 유형 A의 조건이 투입되었을 때 모우터(27)는, 정전(正轉)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그동안 제1캠부재(115)는, 그의 캠편(116a)에 의하여 동작수단(117)을 케이스(102)이 내부로 부터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배플(3)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회전부재(109)는, 제20도에서와 같이, 그의 접합부(123a)에 의하여 돌출부(121)에 접하고, 제3회전부재(119)를 정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초기에 스위치레버(124)는, 그의 접촉편(126) 부분에서 윤곽캠(122a) 부분과 접하고 있으나 곧 윤곽캠(122b) 부분에 당도하게 되어 영구자석(127)을 스위치(128)에 근접 시킨다.
이 도중에 스위치(128)는, 오프 상태로 부터 온 상태로 변환한다.
그후 제어회로(130)는, 모우터(27)를 지연회로(138)에 의하여 소정시간(T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접촉편(126)의 접촉부분을 윤곽캠(122c)의 우묵한 부분까지 안내하게 한다.
이와같이 하여 스위치(128)는, 안정된 온 상태로 되었을 때, 동작유형은 B상태로 설정된다.
그 동안에 냉동실로 부터의 냉기는, 개구부(5)를 통하여 냉장실의 내부로 보내져서 그 부분을 냉각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실내온도가 목표온도 보다도 낮아지면 제어회로(130)는, 다시 모우터(27)를 가동시켜 배플(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동작유형 C상태로 이행한다.
이때, 동작수단(18)은, 캠면(116b)에 따라 하강함으로써, 그리고 배플(3)은, 판스프링(14)의 편형력에 의해서, 개구부(5)를 폐쇄한다.
이때에도 모우터(27)가 정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돌출부(121)는, 모우터(27)가 정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돌출부(121)는, 앞에서와 같이 접합부(123a)에 접하고 있다.
그동안에 스위치레버(124)는, 그의 접촉편(126) 부분에서 윤곽캠(122c)에 접하고 있으므로 스위치(128)는, 온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곧, 이 접촉편(126)이 윤관캠(122d)에 다다르게 되면 이 윤곽캠(122d)이, 회전방향으로 분력을 발생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제3회전부재(119)는, 제21도에서와 같이, 돌출부(121)에 이하여 눌려지면서 제1회전부재(109)의 회전속도에 선행하여 급속히 정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접합부(123a)는, 돌출부(121)로부터 떨어져, 그의 제3회전부재(119)의 선행을 허용하면서 본래의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3회전부재(119)가, 스위치레버(124)및 그의 판스프링(129)에 의하여, 정전방향으로 편향되어 순간적으로 스위치(128)를 오프상태로 되도록 하기 때문에, 스위치(128)는, 소위 급속한 단절상태로되어, 재빠르게 오프 상태로 바꾸어진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소정시간 T가 특히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스위치(128)의 신호는, 하강 검출회로(136)로 부터 직접 제어회로(130)로 돌입한다.
이와같이 하여 스위치(128)는, 온 또는 오프로의 전환시에 다시말하여 모우터(27)가 정지할때에 윤곽캠(122b), (122d)에 접해 있지 않고, 반드시 안정한 위치측 윤곽캠(122a),(122c) 위치에서 접하게 된다.
다음에, 제19도 (b)는, 동작유형 B로 부터 동작유형 C로 변환하는 동안에, 모우터(27)가 역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기술한 바와같이, 이 모우터(27)는, 예컨대 AC 모우터이며, 더우기 내부에 역전방지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있으므로 기동시에 역전방향으로 기동할 때도 있다.
이 모우터(27)가 역전하면 돌출부(121)는 접합부(123a)로 부터 이탈하는 방향 즉 제20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회전부재(109)의 회전이 제2캠부재(12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 제2캠부재(120)는, 모우터(27)의 회전중에도 정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그동안에 제2회전부재(113)는, 제1캠부재(11)를 반회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배플(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다.
더우기 이 동작이 끝날무렵에 접합부(123b)는, 제10도 혹은 제20도에서 상상선으로 보여주고 있는 바와같이, 거의 180도 회전하고, 정지상태인 제3회전부재(119)의 돌출부(121)에 접하여 그것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 레버(124)의 접촉편(126)이 윤곽캠(122b)으로 부터 윤곽캠(122a)으로 내려앉기 때문에 스위치(128)는, 오프상태로 설정된다.
이때에도 제3회전부재(119)가 선행 회전하므로 스위치(128)는, 급속한 단절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모우터(27)가 설혹 역전했다 하여도, 동작유형 C로부터 동작유형 D상태로의 동작이 틀림없이 반복하게 된다.
이곳에서, 모우터(27)가 정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해서 부터 회전이 끝날때 까지의 시간 t1과 모우터(27)가 역전방향으로 기동해서 부터 정지할때 까지의 시간 t2와는 상호간 똑같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27)가 설혹 역전방향으로 회전하였다 해도 동작수단(18) 및 스위치(128)는, 모우터(27)의 정전시와 똑같이 동작한다.
상기 실시예는, 한쪽의 축받침면(20)보다도 다른쪽의 축받침면(24)을 큰 굴곡율로 형성하고 있으나 그들 굴곡율 관계는, 제8도에서와 같이, 역의 관계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그리하여 이 예는, 판스프링(14)의 누름부가 압핀(18)과 축받침부와의 사이에 오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프레임(2)과 케이스(22)가 조합될때를 고려하여 프레임(2) 쪽의 지름을 크게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축받침면(20),(24)은, 원주형상으로 우묵하게 패인 것이 아니라, 제9도에서와 같이, 각주 형상으로 패이도록 하고 케이스(22)쪽을 큰지름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더우기, 이 축받침구멍(26)은, 적어도 개구면에 세워진 수직선 방향으로 변위할 수만 있으면 무방하므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판스프링(14)의 길이방향으로도 변위할 수 있는 상태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두개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서 축받침구멍(26)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은 한개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배플스토퍼(13)를, 한쪽의 지지판(33)의 측면에만 형성하고 있으나, 이 배플스토퍼(13)는, 제7도에서 상상선으로 보여주는 바와같이, 각각의 지지판(3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또한, 실시예와는 역으로 다른쪽의 지지판(33)쪽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의 배플스토퍼(13)는, 원주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접합면(34)에 대하여 선접촉 상태로 접하고 있다.
이 선접촉 상태는, 배플스토퍼(13)를 원주형상으로 하고, 접합면(34)을 원호 형상면으로 해도 얻어진다.
또한 배플스토퍼(13) 및 접합면(34)은, 다같이 원주면으로서 교차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그들의 접촉 관계는, 선 접촉이 아니라 점 접촉으로 되기 때문에, 결빙에 대해서 가일층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는, 프레임(2)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 배플(3)을 부착하고, 다른쪽에 모우터구동부(4)를 부착하고 있으나, 이들 배플(3) 및 모우터구동부(4)는, 프레임(2)에 대하여 같은 쪽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14)은, 배플(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만 국한하지 않고,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캠면(116a), (116b)를 같은 기울기로 해두고 있지만, 제13도에서와 같이, 상이한 기울기로 해두어도 무방하다.
이경우, 제1캠부재(115)의 캠면(116b)이 다른쪽의 캠면(116a)보다도 급격한 경사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모우터(27)의 역전방향으로 기동 토오크가 정전시의 기동 토오크 보다도 적고 또한 급경사면에 대한 부하 토오크 보다 적어도 되어있는 경우, 모우터(27)는 역전할 수 없어, 정전방향으로 수정되어 기동하도록 된다.
상기 실시예는 한 예로서, 제1회전부재(109)에 접합부(123a),(123b)를 형성하고, 또한 제3회전부재(119)에 돌출부(121)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 돌출부(121), 및 접합부(123a),(123b)는, 이 실시예와는 역의 관계로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접합부(123a),(123b)는, 긴 구멍이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서는,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배플의 한쪽 끝, 즉 지지축부분이 개구부의 개구면에 세운 수직선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개구부에 대한 배플의 접합시에 배플의 한쪽끝의 동작을 허용하고, 개구부와 배플과의 밀착상태를 확보하기 때문에, 배플의 폐쇄면 즉 패킹등이 부분적으로 변형되거나 혹은 개구부의 개구면에 휘여짐이 발생한다해도, 또한 개구부부분에 고르지 못한 상태로 어름이 부착되는 일이 발생한다 해도, 배플과 개구부와의 사이에 확실한 폐쇄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플을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이 배플에 의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덤퍼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이 축받침부의 내부에서 개구부의 개구면에 세운 수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축받침구멍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퍼장치.
KR2019860008242U 1985-06-10 1986-06-10 덤퍼장치 KR9200076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88082 1985-06-10
JP8808185U JPH0347184Y2 (ko) 1985-06-10 1985-06-10
JP60-88083 1985-06-10
JP60-88081 1985-06-10
JP1985088082U JPH0519732Y2 (ko) 1985-06-10 1985-06-10
JP8998585U JPH0328286Y2 (ko) 1985-06-13 1985-06-13
JP8998485U JPH0522775Y2 (ko) 1985-06-13 1985-06-13
JP60-89984 1985-06-13
JP60-89985 1985-06-13
JP8998385U JPS61206143U (ko) 1985-06-14 1985-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43U KR870001043U (ko) 1987-02-20
KR920007648Y1 true KR920007648Y1 (ko) 1992-10-16

Family

ID=2752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242U KR920007648Y1 (ko) 1985-06-10 1986-06-10 덤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6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43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119B1 (ko) 개폐부재의구동방법
US5617728A (en) Ice removal device for use in an ic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5847343A (en) Refrigerator door push button switch system
US5398910A (en) Damper
KR101643642B1 (ko) 냉장고
CN217876389U (zh) 出风断流装置和空调器
KR920007648Y1 (ko) 덤퍼장치
KR0132627B1 (ko) 차량공조용 압축기의 위어구조
JP2001317864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KR20110038369A (ko) 냉장고 및 아이스뱅크
JP2830631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JP3372172B2 (ja) 冷蔵庫
CN2497250Y (zh) 自动关门冰箱
US20220099350A1 (en) Driving mechanism and air door device
JPH07865Y2 (ja) ダンパー装置
KR200411581Y1 (ko) 냉기조절 댐퍼의 배플 개폐장치
JPH0328286Y2 (ko)
KR970047504A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테스트스위치
JP2019128066A (ja) ダンパ装置
JPH0522775Y2 (ko)
KR0132412B1 (ko) 냉장고의 댐퍼제어장치
KR0129619Y1 (ko) 냉장고의 도어열림감지장치
KR100275555B1 (ko) 냉장고의 도어장치(a door apparatus of refrigerator)
KR20010010615A (ko) 냉장고 도어 개폐 조절장치
KR200148390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