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95B1 -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95B1
KR920007595B1 KR1019900003054A KR900003054A KR920007595B1 KR 920007595 B1 KR920007595 B1 KR 920007595B1 KR 1019900003054 A KR1019900003054 A KR 1019900003054A KR 900003054 A KR900003054 A KR 900003054A KR 920007595 B1 KR920007595 B1 KR 92000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ali metal
cell
solution
carbon dioxide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626A (ko
Inventor
보쎄 요헨
하르트만 울리히
무살 라이마르
Original Assignee
칼리케미 악티엔 게젤샤프트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리케미 악티엔 게젤샤프트,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칼리케미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90000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595B1/ko
Publication of KR91001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7/00Carbonat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7/07Preparation from the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4Alkali metal compounds
    • C25B1/16Hydr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제1도는 전기투석장치의 기본 작동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알카리 금속염의 수용액에서 알카리 금속을 제조하여 고순도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 용액을 이산화탄소로 충진시켜 알카리 금속 탄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알카리 금속 탄산염들을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리튬 카보네이트는 특히 자기공업에서 광택을 내는데 사용한다.
소듐 카보네이트는, 예를 들면 소금 다음으로 공업적으로 중요한 소듐 화합물이고, 특히 유리제조와 경수처리에, 예를 들면 화학공업에서 널리 필요로 한다. 또한 화학분석 시약과 의약품 중간체로도 쓰인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는, 예를 들면 소화제(불끄는)에 사용되고 나가서는 식료품 산업에서는 제과시나 청량음료 제조시에 사용한다.
포타슘 카보네이트는 유리제조와 액체 샴푸같은 비누제조에 공업적으로 사용한다.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는 식료품 제조에서, 예를 들면 제과첨가제나 운동선수들의 전해질 함량관리 조절제로 사용한다.
알카리 금속 탄산염제조법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왔다. 리튬 카보네이트는, 예를 들면 리튬염과 소듐이나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사용해서 얻거나, 또한 리튬하드록사이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서 얻는다.
소듐 카보네이트는 불순한 형태의 천연산도 있어서, 예를 들면 에집트와 미국의 염해에서 나온다. 소듐 카보네이트를 제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솔베이법으로 식염, 암모니아, 이산화탄소로부터 유도된다. 여기서 얻는 소다의 순도는 약 98%이다.
소듐 바이카보네이트와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는 이들 하이드록사이드나 카보네이트를 과량의 이산화탄소와 접촉시켜서 만든다. 그러나 리튬이카보네이트의 생성은 의심스럽다.
식품산업이나 의약품에서 요구하는 고순도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은 해당하는 알카리 수산화물을 이산화탄소로 반응시키는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데, 이때 하이드록사이드는 수은전극을 사용한 전해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알카리 금속 염화물 수용액에다 직류를 흘려주면 양극에서는 비중이 큰 염소가스가 발생한다. 한편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함과 동시에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이 발생한다. 생성물의 혼합을 피하기 위해서 양극으로 수은을 각 공정에다 특수 방법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음극을 일차로 형성하는 알카리 금속은 아말감형태로, 수은속에 저절로 용해되어 들어가고, 다음 공정단계에서 물과 반응하여 고순도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을 만들 수 있다. 이 수은공정은 하나의 보완된 전해제조공정이다. 이 수은공정의 결정적인 장점인 해당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고순도라는 잇점에 반해서 단점이 있는데, 이것은 전해조에서 아주 적은 양의 수은이 오염되어 나오는 것이다. 이 전체 수은양에서 손실된 수은은 약 1 내지 100ppm정도로 수산화물안에 있고, 또한 배기나 여과찌꺼기에 따라 나온다. 따라서 이 수은오염물질 배출을 막기 위해서 제품과 배기, 배수, 반응부산물의 세심하고 비싼 정화처리가 필요하다.
다른 공정으로 제조된 알카리 금속 탄산염은 비경제적인 방법으로 정제분리하여 더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규정에 맞는 알카리 금속 탄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종전에 알려진 제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명공정에 따르는 공정장치로 순도규정치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염 수용액을 전기투석하고, 이어서 이렇게 얻어진 알카리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알카리 금속염 용액으로부터 이의 탄산염을 제조하는 발명공정이다.
알카리 금속염 수용액을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로 전환하고, 이어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무기 알카리 금속염의 수용액에서 얻어진 알카리 금속으로부터 탄산염을 제조하는 본 발명 공정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a) 여기서 알카리 금속염의 수용액을 전기투석을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에 전기투석장치(Electrodialysator)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사이에는 적어도 쌍극성이나 또는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으로 경계를 지어놓고, x, y, z의 세 개의 셀(cell)로 나뉘어진 투석분리조(Dialyseeinheit befindet)가 있다. 여기서 가운데 셀인 y는 x셀쪽의 양극으로부터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으로, 음극쪽의 z셀로부터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으로 서로 분리시켜 놓았다. 그리고 x셀은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쌍극성 막층으로부터 양극쪽으로 경계를 지어 놓고, z셀은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쌍극성 막층으로부터 음극쪽으로 경계를 지어 놓았다. 그렇게 해서 주입물질로 무기 알카리 금속염 수용액을 y셀에다 넣는다. 그리고 x셀에다는 주입물질로 알카리 금속염에 해당하는 산의 순수 수용액을 넣는다. 그런 다음 이 전기투석장치에다 직류전압 전류를 걸어서 흘려준다. 그러면 y셀로부터 생성물로 알카리 금속염 용액이 나오고, x셀에서는 알카리 금속염에 해당하는 무기산의 들어간 수용액이 나오며, z셀에서는 생성물로 알카리 금속염에 해당하는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이 나온다.
b) a)에서 얻은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을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도록 이산화탄소반응조(carbonator)로 옮겨 넣어 탄산화(Carbonization)시키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 및/또는 알카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용액과 혼합하여 알카리 금속의 탄산염을 얻는다.
c) b)에서 얻은 알카리 금속 탄산염을 분리한다.
본 발명 공정에서 해당하는 알카리 금속의 모든 수용성 무기염을 넣을 수 있다.
5족의 옥소산 음이온으로는 특히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고, 또한 6족 옥소산 음이온은 산소를 함유한 것으로 여러가지 산화물질로 특히 설페이트나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음이온, 여러 가지 산화물질로 할로겐의 옥소산 음이온같은 할로겐 음이온이 있다.
알로겐 음이온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특히 크로라이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 알카리염 수용액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포타슘염으로 포타슘 크로라이드를 넣어 주었다.
본 발명공정에서는 잘 알려진 전기투석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투석장치의 작동방법은 제1도에서 보이고 있다. 이 투석기 1는 음극 5과 양극 6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수백개까지 투석분리조를 놓을 수 있다.
한 개의 전기투석분리조는 세 개의 x, y, z셀을 포함한다. y셀은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A막으로 x셀과 분리해 놓고,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K막으로 z셀과 분리해 놓았다.
x셀은 양극공간에서 양극쪽으로 향한 곳에 있든가 또는 쌍극성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또는 z셀에서 쌍극성막AK로 계속해서 연결된 분리조를 격리시키고, 여기서 막의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쪽을 x셀에다 부쳤다.
z셀은 음극공간이나 x셀에 붙어 있는 음극을 향해 있는 쪽에서 쌍극성 막 AK로 옆에 있는 분리조와 분리시킨다. 이 막의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쪽은 z셀에다 붙여 놓았다. 쌍극성막 대신에 음극 왼쪽에 위치한 투석분리조 옆에서 z셀을 생략할 수도 있고 음극을 향해 있는 쪽의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에 직접 붙어 있는 투석장치조와 음극에 붙어 있는 y셀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도판 2가 연결된 y셀은 알카리 금속염의 수용액으로, 도관 3이 연결되어 있는 x셀은 사실상 염이 들어 있지 않는 산 수용액으로, 도관 4가 연결된 z셀은 사실상 염이 들어있지 않은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수용액으로 채우고 전극에다 직류전압을 걸어주는데 이때 전압은 각 투석분리조당 0.5서부터 4볼트가 된다. 이렇게 해서 음이온은 y셀에서 x셀로 이동하고 같은 방법으로 양이온은 y셀에서 z셀로 움직여간다. 전하 보정은 x셀인 경우 푸로톤에 의해 행하여진다. 여기서 푸로톤은 스며든 물에서 쌍극성막 AK로 모여들고 이 막의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는 쪽을 통해서 x셀로 이동한다. z셀의 경우는 전하보정이 하이드록실 음이온에 의해 이뤄지고, 이때 음이온은 스며든 물에서 쌍극성막 AK로 모여들어서 쌍극성막에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쪽을 통해서 z셀로 들어갈 수 있다.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서 전기투석반응중에 y셀에서는 알카리 금속염이 줄어든 용액이, x셀에서는 생성농축된 산 수용액이, z셀에서는 생성농축된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수용액이 생겨난다. 이때 생겨난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은 도관 7, 8, 9를 통해서 전기투석장치에서 배출된다.
이 전기투석은 용액의 빙점이상 약 60℃정도까지, 더 바람직하기는 35℃∼50℃사이에서 실시한다.
알카리 금속염 해당하는 산을 녹인 수용액을 주입물로 x셀에다 넣고, 이때의 산농도의 0.1에서 30중량%까지의 광범위한 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사용한 산에 달렸다. 염산인 경우는 0.5부터 32중량% 농도까지에 이르고, 황산인 경우에는 0.5부터 60중량%에 달한다. 특히 그 산도는 1에서 10중량%사이에, 더 바람직하기는 3에서 5중량% 사이에 있다.
y셀에는 알카리 금속염의 수용액을 넣고 이때의 알카리 금속염의 농도는 넓은 범위를 사용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약 0.5중량%부터 포화용액까지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약 포화용액농도의 50에서 100%에 해당하는 양의 알카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한다. 더 상세하게는 포화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셀에서 투석반응에 소모되고 나오는 알카리 금속염 용액을 버리지 않고 다시 알카리 금속염을 넣어 포화용액을 만든 다음 y셀에다 주입물로 재투입한다.
z셀에서는 알카리 금속염에 해당하는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을 주입물로 넣는다. 여기서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함량은 광범위하게 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0.5에서 50중량%까지 사이가 된다. 수산화이온 농도로는 약 2에서 25중량%가 바람직하나 더 상세하게는 12에서 18중량%이다.
본 발명 공정의 진행과정중에서 알카리 금속염이 줄어들어가는 염 용액을 y셀에 함유하고 있고, 이때에 x셀에는 산이 점점 증가하고 z셀에서는 점점 알카리수산화물이 증가하는 수용액을 함유하고 있다.
x셀에서 나오는 생성물인 산은 모두 분리단계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생성물을 만드는데 쓰인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산을 함유하는 생성물에의 일부를 분리해내서 x셀의 주입물에다 재투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산의 일부를 재순화시키는 것이다.
주입물의 산함유량는 재순화시키는 산의 양이 크냐 적으냐에 달렸다. 바람직하기는 재순환하는 산으로 총산함량을 충당하여 이 공정에서 산을 따로 외부서 넣어 주지 않게 하는 것이다.
물론 공정산으로 산함유 생성물을 따라서 일부분씩 취할 수 있는지와 때로는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는지, 즉, 순수하고 농축된 산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z셀에서 배출되는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은 모두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단계로 유입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은 함유하는 생성물의 일부를 z셀의 주입물에다 재투입한다. 이 경우에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일부를 재순환하는 것이다.
주입물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함량은 재투입하는 수산화물 용액의 양이 적으냐 많으냐에 달렸다. 바람직하지는 주입물에다 재투입하는 용액으로 알카리 금속수산화물의 총함량을 맞춰서 공정상에서 별도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x셀에서 배출되는 생성물안의 산의 농도와, z셀에서 배출되는 생성물안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농도와, y셀에서 배출되는 생성물안의 알카리 금속염의 농도는 그때그때의 주입물의 농도가 전기투석 반응조건, 사용한 투석장치의 용량, 셀안에서의 주입물의 정체시간, 온도, 전압, 전류에 달려 있다.
전기투석 반응조건에 따라서 셀안으로 유입되는 것돠 배출되는 것의 농도차는 크거나 작거나 하다. 바람직하기는 반응조건을 잘 선택해서 셀안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것의 농도차를 작게 한다.
즉 전기투석장치에서 배출되는 산과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의 농도는 전기투석기로 투입되는 산과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농도보다 단지 약간 높게 해준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생성물의 많은 부분을 재순환에 놓고 단지 적은 양만을 빼낸다. 그 차이는 물을 넣어서 평형을 유지한다.
x셀과 z셀 안에 있는 주입물은 실제로 염분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실제로 염분이 없다는 말은 이미 들어 있는 적은양의 불순물외에는 염분이 더 없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x셀과 z셀에 투입하는 주입물의 염분 함량은 0.1중량%보다 작아야 한다.
z셀에서 배출되는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은 필요에 따라서는 주입물에 재투입하는 부분을 제하고난 후 이산화탄소와 반응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반응조로 옮겨 넣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나 해당 알카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을 넣고 알카리 금속 탄산염이 생기도록 잘 섞어 준다. 이때에 탄산가스와 바이카보네이트염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 사용하는 탄산가스는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탄산가스나 석회석을 구워서 나오는 탄산가스일 수 있다. 또한 탄산염 특히 탄산칼슘과 산을 반응시켜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 공정에서는 특히 탄산칼슘과 x셀에서 나오는 산과 반응시켜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b)단계에서 사용하는 이산화탄소 생산을 위해서 a)단계의 x셀에서 생성물로 점점 증가해서 생겨나는 산 용액을, 필요에 따라서 x셀의 주입물에다 재투입하는 부분을 빼고 난 다음 최소량으로 조금씩 탄산칼슘과 섞어서 이 때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b)단계의 이산화탄소반응조에다 유입시킨다.
b)단계는 다시 말해서 a)단계에서 얻어진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을 이산화탄소와 반응을 시키는 단계이고, c)단계는 다시 말해서 b)단계에서 얻어진 알카리 금속의 탄산염을 분리해 내는 단계로 본 발명이 범주내에서 자명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된다. 예를 들면 독일특허 DE-PS 954 414에서 무수상태의 과립형 알카리 카보네이트를 얻는 공정으로 알려져 있어서 여기서는 한 단계에서 카보네이트생성과 분리는 동시에 한다. 이때에 회전오븐에다 분말상태나 미립자 과립상태로 주입시키고, 이것을 뜨거운 이산화탄소함유 가스와 회전운동으로 혼합시켜서 알카리 용액을 회전탑에다 분무키셔 놓는다. 가스의 뜨거운 온도 때문에 이 탄산염은 무수상태가 된다. 이때에 소듐 카보네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온도는 약 300℃ 내지 450℃이고 포타슘 카보네이트 생산을 위한 가스온도는 약 250℃ 내지 400℃이다.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용액의 이산화탄소의 반응과 알카리 금속 탄산염의 분리는 본 발명에서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도 서로 분리되어서 실시되고 있다.
b)단계는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으로서 예를 들면 a)단계에서 나온 알카리 금속수산화물 용액과 이산화탄소함유 가스를 하나나 그 이상의 움직이는 반응기안에서, 또는 하나나 그 이상의 병렬로 연결된 조정가능한 헬릭스링 충진탑이나, 또는 유동층탑에서 접촉시켜서 실시한다.
c)단계는 이산화탄소 반응조에서 흘러 나온 액체에서 알카리 금속 탄산염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때에 알카리 금속 탄산염으로 녹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분산물로 포함되어 있어서 주지의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축기나 원심분리기르 농축시키고 분리해서 b)단계에서 수용액 분산물을 얻게 된다. b)단계에서 얻어진 용액이나 분산물을 농축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진공을 걸어서 물을 증발시키고 이 용액을 고성능 여과나 역삼투로 처리할 수도 있다.
알카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염은 과량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서, 즉 예를 들면 알카리용액이나 알카리 카보네이트를 냉각시킨 이산화탄소가스와 유동층반응탑에서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얻어진 결정물질은 이어서 원심분리기로 여과하여서 말릴 수 있다.
본 발명 공정은 수온을 사용하지 않고 알카리 금속염과 탄산가스로부터 순수한 알카리 금속 카보네이트와 알카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의 에너지 절약형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무기산을 부산물로 내고, 때로는 칼슘 크로라이드 같은 염을 높은 순도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중간물질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공정은 의약목적과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알카리 금속 탄산염을 값비싼 사후 정제공정 없이 만들 수 있게 한다.
다음에 제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계통도를 보여주는 제2도에서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소키지 않고 발명 공정을 가깝게 묘사하고 있다.
전기투석장치 제1도는 8개의 분리조와, 20볼트의 전압과 10암페아 전류를 갖는 시장에서 살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투석장치의 기본 작동방법은 이미 제1도에서 설명되었다. 이 전기투석은 약40℃정도에서 행한다.
도관 2를 통해서 포타슘크로라이드 함량이 약 20중량%가 되고 마그네슘크로라이드가 1000ppm정도 들어 있는 포타슘염 포화용액을 남아 있는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0.1㎜의 시브필타를 통해 여과한다. 필타를 빠져나온 용액은 y셀에다 주입물로 투입한다.
x셀에서는 주입관 3으로 4중량% 정도의 포타슘 수산화물 용액을 주입시킨다.
z셀에서는 주입관 4에다 약 15중량% 정도의 포타슘 수산화물 용액을 주입시킨다.
약 20볼트의 걸어준 직류는 이제 y셀에서 x셀로 크로라이드 이온을, y셀에서 z셀로 포타슘 이온을 움직이도록 작동한다.
주입물의 용적비를 잘 맞추어서 x셀에서는 약 5%정도의 염산용액이, z셀에서는 약 18%의 포타슘 수산화물 용액이 생성물로 나오도록 조절한다. y셀에서의 반응하고 나오는 포타슘 크로라이드 용액은 포타슘염을 더 첨가해서 약 28% 정도의 포화용액을 만들어 재투입하게 된다.
이 포타슘 클로라이드 포화용액은 주입물로 필타와 도관 2를 통해서 y셀로 유입시킨다.
약 5중량%에 도달한 염산용액을 x셀에서 도관 8을 통해 빼낸다. 이 생성물의 일부는 도관 8에서 나와서 도관 16으로 들어가 물과 섞여서 약 4중량%의 염산용액을 만든다. 이 염산용액은 x셀의 주입물이 된다. 이 방법으로 염산의 일부를 재순환에 투입한다.
z셀에서는 약 18중량% 함량을 갖는 포타슘 수산화물 용액을 빼낸다. 이 생성물의 일부는 도관 9에서 도관 15로 분리해 넣고 물과 섞어서 15중량%의 농도를 갖는 포타슘 수산화물이 되게 한다. 이 용액은 z셀의 주입물이 된다. 이 방법에서는 포타슘 수산화물의 일부가 재순환에 투입된다.
재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남은 분리된 도관 8안에 있는 염산용액은 석회석을 녹이는 장치 18에다 유입시키고 이 장치안에서 연속적으로 산의 양에 해당하는 분쇄된 석회석을 흔들리는 빗쌀 17을 통해서 체를 쳐서 넣는다. 염산 수용액과 석회석 사이에서 일어난 반응으로 생성된 칼슘크로라이드 용액은 석회석을 녹이는 장치 18에서 넘쳐 나오는 것을 도관 19을 통해서 빼낸다. 이때에, 반응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수분분리장치에서 분리해서 도관10을 통해서 이산화탄소 반응장치 11에다 유입시킨다(도표 2에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음). 이산화탄소반응로 안에서는 동시에 재투입하는 것을 분리하고 남은 포타슘 수산화물 용액을 도관 9을 통해서 유입시킨다. 이산화탄소 반응로는 잘 알려진 반응탑을 사용한다. 이산화탄소반응로에서 나오는 부유물은 압축시켜서 결정장치 12에 유입하여 고형물질과 실재로 고형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여액을 분리시킨다. 고형물질은 건조장치 13에다 옮겨 넣고 110℃ 내지 120℃의 뜨거운 공기로 말리고, 도관 14릉 통해서 건조장치에서 꺼낸다. 여기서 얻어진 포타슘 카보네이트 수화물의 식은 K2CO2-1.5H2O이고, 순도는 99.1%, MgCl2를 10ppm정도만 함유하고 있다. 투입한 포타슘 크로라이드에 기준한 수율은 85%이다.

Claims (10)

  1. (a) 알카리 금속염의 수용액을 x, y, z 3개의 셀(cell)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수백개 까지의 투석분리조로 구성된 전기투석장치에서 전기투석을 시켜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을 얻고, 얻어진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일부는 전기투석장치로 재순환시키며, (b) a)에서 얻는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을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도록 이산화탄소반응조(Carbonization)로 옮겨 넣어 탄산화(Carbonization)시키거나 또는 이산화탄소가스 및/또는 알카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용액과 혼합하여 알카리 금속의 탄산염을 얻은 다음, (c) b)에서 얻는 알카리 금속의 탄산염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 금속 탄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알카리 금속염은 알카리 금속 하로게나이드, 더 바람직하기는 크로라이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알카리 금속염은 포타슘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x셀에서 나오는 생성물로 빼낸 수용액의 일부를 x셀의 주입물에다 재투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주입물에 재투입하는 산 용액의 양을 조절하여 1에서 10, 더 바람직하기는 3에서 5중량%로 산 농도가 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z셀에서 생성물로 빼낸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의 일부를 z셀의 주입물에다 재투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주입물에다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의 양을 조절하여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의 농도가 0.5에서 50, 더 바람직하기는 2에서 25, 특히 12에서 18중량%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사용되는 탄산가스의 생산을 위해서 a)단계의 x셀에서 생성물로 얻어지는 생성농축된 산 수용액을 최소한으로 조금씩 칼슘 카보네이트와 섞어 넣고, 생성된 탄산가스를 b)단계의 이산화탄소반응조에다 유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y셀의 주입물은 알카리 금속염의 포화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y셀에서 생성물로 얻어진, 농도가 감소한 알카리 금속염의 용액을 알카리 금속염을 더 첨가해서 다시 포화용액으로 만들어 y셀의 주입물로 재투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03054A 1990-03-08 1990-03-08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KR92000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054A KR920007595B1 (ko) 1990-03-08 1990-03-08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054A KR920007595B1 (ko) 1990-03-08 1990-03-08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26A KR910016626A (ko) 1991-11-05
KR920007595B1 true KR920007595B1 (ko) 1992-09-08

Family

ID=1929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054A KR920007595B1 (ko) 1990-03-08 1990-03-08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26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0163B1 (en)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hydroxide monohydrate from brines
US20200399137A1 (en) Preparation of lithium carbonate from lithium chloride containing brines
CN101522566B (zh) 获得碳酸钠晶体的方法
CN102016123A (zh) 制备高纯度氢氧化锂和盐酸的方法
US5292406A (en) Process for electrolytic production of alkali metal chlorate and auxiliary chemicals
CA2996651A1 (en) Method for preparing lithium hydroxide and lithium sulfate monohydrate using hydrogen depolarized anode
EA013633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исталлов карбоната натрия
US8900545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magnesium hydroxide
RU215733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идроксида лития высокой степени чистоты из природных рассолов
US6491807B2 (en) Process for producing sodium persulfate
CA2009616A1 (en) Method of producing carbonic acid salts of alkali metals
US6214313B1 (en) High-purity magnesium hydroxid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3788960A (en) Recycling of ion exchange regenerant chemicals
KR920007595B1 (ko) 알카리 금속염으로부터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제조방법
US4224120A (en) Electrolyti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agnesium from a salt solution containing magnesium sulphate
US5068015A (en) Electrochemic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hromic acid
EP300640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mmonia
RU276960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ногидрата гидроксида лития высокой степени чистоты из материалов, содержащих соли лития
JPH0397880A (ja) 水酸化ナトリウムの高濃度水溶液の製造方法
RU263769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ипохлорита кальция при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е природного поликомпонентного пересыщенного рассола хлоридного кальциево-магниевого типа
US6200454B1 (en) Process for producing sodium persulfate
CN106397486A (zh) 高纯度l‑抗坏血酸‑2‑磷酸酯钠盐制备方法
NZ232889A (en) Production of ultra-pure carbonic acid salts of alkali metals via hydroxides prepared from salts using electrodialyser
SU89398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эпихлоргидрина
KR790001479B1 (ko) 격막 전해조액으로부터 중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