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72Y1 -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 Google Patents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72Y1
KR920007372Y1 KR2019890021285U KR890021285U KR920007372Y1 KR 920007372 Y1 KR920007372 Y1 KR 920007372Y1 KR 2019890021285 U KR2019890021285 U KR 2019890021285U KR 890021285 U KR890021285 U KR 890021285U KR 920007372 Y1 KR920007372 Y1 KR 920007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ignal
supplied
apertu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1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347U (ko
Inventor
안병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1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72Y1/ko
Publication of KR910012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5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의 개요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의 주요부분의 입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D변환부 20 : 마이콤
30 : 비교부 40 : D/A 변환부
50 : 콘트롤부 60 : 스위칭부
70 : 조리개구동부 80 : 백업 밧테리
본 고안은 수동으로 조작되는 카메라에 있어서의 조리개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카메라를 사용하는 도중에 전원을 차단할때 조리개의 열림상태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기억한 후 전원이 다시 투입될때 조리개의 열림상태를 유지시켜 균일한 화면을 녹화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동으로 조작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여러 장소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때 촬영자는 어느 한 곳의 피사체를 촬영한후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다른 장소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전원을 다시 투입해야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상태의 조래개 열림상태를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여 여러 장소에서 촬영되는 파시체의 녹화면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촬영상태의 조리개 열림상태의 데이터값을 기억시켜 여러장소의 피사체를 촬영할때 조리개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녹화화면의 휘도레벨을 일정하게하여 균일한 화질을 얻을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는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작동상태의 조리개 구동(열림)데이터값을 유지하는 메모리수단; 카메라에 다시 전원을 공급할때 조리개 구동상태에 해당되는 입력데이터값을 상기한 메모리수단에서 메모리된 조리개 구동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해당되는 아날로그신호와 정상상태에서 조리개에 공급되는 콘트롤신호를 선택하여 조리개 구동수단에 공급하는 스위칭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상기한 스위칭수단을 콘트롤하는 콘트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동도면에서 마이콤(20)은 카메라의 정상작동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할 순간 A/D변환부(10)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조리개구동신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메모리소자를 가지도록 되어있으며 전원을 온할경우 기억된 조리개구동신호 값이 될때까지 조리개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교부(30)는 A/D변환부(10)에서 변환된 데이터값과 상기 마이콤(20)에서 출력되는 데이더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마이콤(20)을 리세트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콘트롤부(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콘트롤부(50)는 상기한 비교부(30)의 출력신호에 따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콘트롤신호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비교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인터버(I)와, 상기 반전된 신호와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레벨을 조합하는 앤드게이트(AN)로 구성한다.
스위칭부(60)는 마이콤(20)에서 출력되어 D/A변환부(40)에서 변환된 기존 정상상태의 조리개 구동신호와 정상상태에서 조리개에 공급되는 콘트롤신호를 상기한 콘트롤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선택하여 조리개구동부(7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의 작동을 제2도에 도시된 파형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되어 조리개가 정상상태인 경우, 즉, 카메라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된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스위칭부의 스위치가 L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는 제1도에서 콘트롤부(50)내에 있는 앤드게이트(AN)의 타측단자에 제2도의 (A)와 같은 "하이"신호가 공급되며, 일측단자에는 인버터(I)에서 반전된 비교부(30)의 출력신호가 공급된다. 여기서 비교부(30)는 A/D변환부(10)에서 변환된 조리개 구동상태에 해당되는 제2도의 (B)와 같은 펄스를 가진 데이터와 마이콤(20)에서 저장된 후 출력되는 조리개 구동상태에 해당되는 데이터와 비교되는데, 예컨데, 양단자에 각각 공급되는 데이터가 같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반대로 다르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비교기(30)에서는 이들 양데이터가 서로 동일하므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술한 콘트롤부(50)내의 앤드게이트(AN)의 일측단자에 공급되는 신호는 인버터(I)에 의하여 반전되어 "로우"상태가 되기때문에 앤드게이트(AN)의 출력신호는 제3도의 (E)와 같이 "로우"상태가 되며, 이에따라 스위칭부(60)는 정상상태에서 조리개에 가해지는 콘트롤신호(V2)를 선택하여 조리개구동부(70)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에 전원전압(Vc)을 인가하여 조리개의 열림상태를 제어하여 어느 한 장소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다가 다른 장소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이동할때,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Vc)을 차단하는 제2도의 파형(Power off상태)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차단되면 제1도의 콘트롤부(50)내에 있는 앤드게이트(AN)의 타측단자에는 제2도의 (A)와 같은 "로우" 신호가 공급되므로 앤드게이트(AN)의 출력은 앤드게이트(AN)의 일측단자로 유입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제2도의 (E)와 같이 "로우"상태가 되기때문에 스위칭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조리개에 공급되는 콘트롤신호(V2)를 선택한다.
한편, 전원전압(Vcc)이 차단되는 순간의 조리개 열림상태를 제어하는 신호(V1)는 A/D변환부(10)를 통해 마이콤(20)에 공급되며, 상기 마이콤(20)은 벡업밧데리(80)에 의해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계속 유지시키고 다른 장치들의 동작들은 중지된다.
다음은 카메라에 전원전압(Vcc)을 다시 공급할때(과도상태)작동관계를 제2도의 파형(Power on한후)을 인용하여 살펴보면, 카메라에 제2도의 (A)와 같은 전원전압(Vcc)을 제공급하면 콘트롤부(50)내에 있는 앤드게이트(AN)의 타측단자에는 "하이"신호가 공급되며, 일측단자에는 "하이"신호가 공급된다.
여기서 앤드게이트(AN)의 일측단자에 "하이"신호가 공급되는 작동을 설명하면, 비교부(30)는 A/D변환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제2도의 (B)와 같은 데이터와 마이콤(20)에 메모리된 정상상태의 조리개 구동데이터를 각각 입력으로 하여 비교한다. 따라서, 비교부(30)의 출력은 제3도의 (D)와 같이 "로우"상태 (A/D변환부(10)로 부터 새롭게 입력되는 신호와 마이콤(20)에 저장되어 있던 신호의 레벨에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가 되므로 인버터(Z)에 반전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앤드게이트(AN)의 일측단자의 신호는 "하이"상태가 된다.
한편, 비교부(30)의 출력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이"상태가 되면 마이콤(20)은 이를 인식하여 메모리된 데이터를 D/A변환부(40)에 공급한다.
D/A변환부(40)에 공급된 데이터는 제2도의 (C)와 같은 레벨(즉, 전원차단전에 기억되어 있는 열람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타)을 가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후 스위칭부(60)에 공급된다. 상기 스위칭부(60)는 콘트롤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상태이므로 D/A변환부(40)를 통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조리개구동부(70)에 공급하므로 조리개의 열림상태를 여럭 장소에서 전원이 차단된후 다시 공급되어도 수동으로 조작되는 카메라의 조리개 열림상태를 일정학 유지한다.
즉, 전원을 온시킨 경우, A/D변환부(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억되어 있는 신호의 레벨과 일치하기전 까지는 비교부에서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콘트롤부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되고 스위칭부(60)의 스위치를 D/A변환부(40)쪽으로 접속되어 마이콤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레벨이 스위칭부(60)를 통하여 조리개를 구동하게 된다. 시간의 경과후 입력레벨이 기억된 레벨과 동일해지면 비교부의 출력은 "하이"가 되므로 콘트롤부(50)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스위칭부의 접속은 V2쪽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작용효과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여러 장소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때 조리개의 열림상태를 전원이 공급되는 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녹화화면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수동으로 조작되는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작동상태의 조리개구동(열림)데이터값을 유지하는 메모리수단(20), 카메라에 다시 전원을 공급할때 조리개구동상태에 해당하는 입력데이터값을 상기한 메모리수단에서 메모리된 조리개 구동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30), 상기 비교수단(30)의 출력신호와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조리개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50) 및 상기 콘트롤부(50)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해당되는 아날로그신호와 스위칭수단(60)을 포함여 조리개의 열림상태를 전원차단전의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KR2019890021285U 1989-12-30 1989-12-30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KR920007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285U KR920007372Y1 (ko) 1989-12-30 1989-12-30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285U KR920007372Y1 (ko) 1989-12-30 1989-12-30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347U KR910012347U (ko) 1991-07-30
KR920007372Y1 true KR920007372Y1 (ko) 1992-10-12

Family

ID=1929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1285U KR920007372Y1 (ko) 1989-12-30 1989-12-30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347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8833B1 (en) Soft starting reference voltage circuit
KR100319037B1 (ko) 전자 카메라 및 전자 카메라에서 이용되는 배터리 전압 제어 방법
JPS60237891A (ja) ステツピングモ−タ−制御装置
US4914469A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camera
US4618803A (en) Current limited strobe charge circuit
KR920007372Y1 (ko) 조리개의 작동상태 유지회로
JP3342261B2 (ja) 電子機器
JPH11331682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928338B2 (ja) ビデオカメラの制御装置
JP2004282930A (ja) 電子機器の電源装置
US4550992A (en) Motor drive control circuit
US3703649A (en) Timer for a camera
US6144192A (en) Abnormal heavy current production preventing apparatus
US4187017A (en) Motor drive device in a camera
KR0138558Y1 (ko) 전자 뷰파인더의 전원 공급 회로
KR920004115Y1 (ko) 밧데리 충전 전압 표시 회로
JP3140524B2 (ja) 給電制御装置
KR100275904B1 (ko) 배터리충전제어장치및방법
KR950005089Y1 (ko)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자동제어회로
JP2920684B2 (ja) カメラ
KR890000167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녹화정지모우드에서의 절전회로
KR910001290Y1 (ko) Vtr 카메라에서의 녹화 동작 제어회로
KR910003208Y1 (ko) 캠코더의 더빙연결장치
SU566342A1 (ru) Импульсный модул тор
JPS61277326A (ja) 蓄電池の充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