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49Y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49Y1
KR920007349Y1 KR2019900011641U KR900011641U KR920007349Y1 KR 920007349 Y1 KR920007349 Y1 KR 920007349Y1 KR 2019900011641 U KR2019900011641 U KR 2019900011641U KR 900011641 U KR900011641 U KR 900011641U KR 920007349 Y1 KR920007349 Y1 KR 920007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rrugated pipe
ring
socket bol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668U (ko
Inventor
노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금속
노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금속, 노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금속
Priority to KR2019900011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49Y1/ko
Publication of KR920004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름판 2 : 너트
2a : 걸림턱 2b : 구멍
3 : 소켓볼트 3a : 머리부
3b, 3c : 나사부 3d : 구멍
4 : 패킹 4a : 절개부
8 : 스냅링 9 : 클립
본 고안은 가스관이나 수도관 및 유관등으로 사용되는 금속재의 주름관과 나선관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경이 동일한 관을 외부와 완전 밀폐시키면서 연결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직경이 동일한 주름관(또는 나선관)을 연결할 경우, 먼저 주름관의 선단부 둘레에 너트를 삽입하여 그 내부에 0-링을 끼우고, 상기 너트와 0-링 사이에 소켓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서 0-링이 너트와 주름관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연결구는 단순히 0-링이 압착에 의해서만 연결부위의 기밀이 유지되므로 관내부를 흐르는 가스나 물 및 기름의 압력이 커지면, 너트와 0-링 및 0-링과 주름관 사이로 누설될 염려가 많았던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현상은 0-링 폭이 좁기 때문에 0-링과 주름관 및 너트의 접촉면도 그만큼 작게 되어 기밀상태가 불량하고, 소켓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쉽게 풀러 연결상태가 불량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름관의 선단부에 스냅링(snap ring)을 끼우고, 그 후단부에는 와셔가 끼워진 너트를 삽입하여 이들 사이에 길이가 긴 패킹을 삽입한 다음, 이 패킹외측에 소켓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와 체결함으로서 패킹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부터 압축력을 받아 기밀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안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1)의 선단부 둘레에 걸림턱(2a)과 구멍(2b)이 형성된 너트(2)를 삽입하여 그 내부에 와셔(5)와 0-링(6) 및 일정길이의 패킹(4)과 0-링(7)과, 스냅링(8)를 차례로 끼운다.
이때 패킹(4)은 그 내면에 다수의 홈과 동기를 형성하여 주름관(1)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스냅링(8)은 주름관(1)의 홈(1a)에 끼워 이탈이 방지되게 압착, 고정시킨다.
이후, 두개의 볼트가 머리부(3a)를 맞대고 있는 형상의 소켓볼트(3)중심에 구멍(3d)을 뚫고 이 소켓볼트(3)의 일측 나사부(3b)를 스냅링(8)과 0-링(7) 및 패킹(4)이 외측에 삽입하여 상기 너트(2)와 체결하며, 체결이 완료된 다음에는 너트(2)후단에 탄성이 풍부한 클립(9)을 끼워 너트(2)의 플립이 방지되게 한다.
이때 소켓볼트(3)와 너트(2)를 체결할 때는 처음에는 너트(2)를 고정시킨 채 소켓볼트(3)만을 회전시켜 체결하다가 어느 정도 체결된 다음부터는 반대로 소켓볼트(3)를 고정시키고 너트(2)만을 회전시켜 스냅링(8)사이에서 압착, 고정되게 하고, 또 다른 0-링(6)은 소켓볼트(3)의 선단과 와셔(5)사이에서 압착,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1)의 선단부를 소켓볼트(3)에 삽입하고, 너트(2)로 체결함으로서 주름관(1)과 소켓볼트(3)의 연결이 손쉽다. 또한 주름관(1)선단부와 너트(2)의 걸림턱(2a)전면에 스냅링(8)과 와셔(5)를 끼우고 그 사이에 길이가 긴 패킹(4)을 삽입하여 너트(2)와 소켓볼트(3)의 체결시, 상기 패킹(4)이 양측으로 부터 압축력을 받음으로 기밀효과가 뛰어나게 되고, 그외에도 두개의 0-링(6)(7)이 부수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완전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첫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주름관(1)과 소켓볼트(3)의 연결동작이 너트(2)와 소켓볼트(3)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체결동작이 손쉽고 시간도 빠르게 된다.
둘째, 본 고안의 패킹(4)은 그 내면이 주름관(1)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길므로서 그만큼 주름관(1)과 소켓볼트(3)와의 접촉면이 커지게되어 기밀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와셔(5)와 스냅링(8)사이에서 양측방으로 부터 압축력을 받고, 상, 하면은 소켓볼트(3)와 주름관(1)에 의해 차단되어 있음으로 결과적으로 너트(2)체결시에는 상, 하, 좌, 우의 4방향으로 부터 압축력을 받음으로 기밀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따라서 고도의 기밀상태가 요구되는 가스관에 대단히 적합하다.
셋째, 상기 패킹(4)외에도 두개의 0-링(6)(7)이 부가적으로 추가, 설치되어 있어 완전밀폐가 가능하다.
넷째, 본 고안의 패킹(4)은 일측에 절개부(4a)가 형성되어 있어 주름관(1)의 직경에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조립이 용이하고 호환성이 좋다.
다섯째, 본 고안은 너트(2)와 소켓볼트(3)의 성형시, 너트(2)의 나사부를 소켓볼트(3)의 나사부(3b)(또는 3c)보다 짧게 형성하면, 언제라도 더 조일 수 있는 여유가 있게 된다.
여섯째, 본 고안은 너트(2)의 후면에 클립(9)이 고정되어 있어 너트(2)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사용중 해체될 염려가 없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1)선단에 각각 소켓볼트(3)와 걸림턱(2a)이 형성된 너트(2)를 삽입하여 상기 소켓볼트(3) 및 너트(2)의 채결력에 의해 주름관(1)이 연결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너트(2)내부에 와셔(5)와 0-링(6) 및 내면이 주름관(1)의 외형과 동일하며 절개부(4a)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4a)를 통하여 주름관(1)과 계합되어지는 길이가 긴 패킹(4)과 주름관(1)의 산부위에 위치토록 0-링(7)를 차례로 삽입하고, 주름관(1)선단의 골부분에 삽입되어 좌우 탄발력에 의해 0링을 지지하는 스냅링(8)을 끼운후, 상기 스냅링(8)과 0-링(7) 및 패킹(4)외측에 소켓볼트(3)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2)와 채결하며, 상기 너트(2)후면에 풀림방지용 클립(9)을 끼워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KR2019900011641U 1990-08-01 1990-08-01 관 연결구 KR920007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641U KR920007349Y1 (ko) 1990-08-01 1990-08-01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641U KR920007349Y1 (ko) 1990-08-01 1990-08-01 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68U KR920004668U (ko) 1992-03-26
KR920007349Y1 true KR920007349Y1 (ko) 1992-10-12

Family

ID=1930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641U KR920007349Y1 (ko) 1990-08-01 1990-08-01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48B1 (ko) * 2009-07-10 2011-05-12 (주) 대협 금형 냉각홀 연결관용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48B1 (ko) * 2009-07-10 2011-05-12 (주) 대협 금형 냉각홀 연결관용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68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7995Y1 (ko) 파이프 연결구조
UA71040C2 (uk) Нарізне з'єднання для труб та нарізна збірка, яка виконується за допомогою нарізного з'єднання (варіанти)
KR920007349Y1 (ko) 관 연결구
US4000919A (en) Pipe coupler
EP1407181A1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blocking hollow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fluid distribution plants
KR970075626A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0236479Y1 (ko) 원터치식배관연결장치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930004991Y1 (ko) 합성수지관 연결 접속구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0216918Y1 (ko) 히터관 연결구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0164085Y1 (ko) 관연결구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KR870003754Y1 (ko) 관 접속구
KR940003801Y1 (ko) 동파이프 연결장치
KR0127052Y1 (ko) 튜브 연결구
KR200352640Y1 (ko) 관연결구
KR880000385Y1 (ko) 관 접 속 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