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44B1 -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44B1
KR920007344B1 KR1019900003656A KR900003656A KR920007344B1 KR 920007344 B1 KR920007344 B1 KR 920007344B1 KR 1019900003656 A KR1019900003656 A KR 1019900003656A KR 900003656 A KR900003656 A KR 900003656A KR 920007344 B1 KR920007344 B1 KR 92000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ant
molecular beam
layer
compound semiconductor
d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541A (ko
Inventor
김종렬
송재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44B1/ko
Publication of KR91001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Deposition Of Substances That Are Compon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 MBE 장치를 이용한 델타 도우핑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MBE 장치를 이용한 텔타 도우핑의 개략도.
본 발명은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자선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 : 이하, MBE 라 칭함) 장치를 이용한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정보통신 사회로 급속히 발전해감에 따라 초고속 컴퓨터, 초고주파 및 광통신에 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데, 기존에 실리콘(Si)을 이용한 소자로는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물질특성이 우수한 화합물반도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합물반도체의 공정은 본질적으로 Si공정과 다를 바가 없다. 즉, 결정성장기술, 리소그래피기술,이온주입기술, 박막증착기술, 식각기술로 대변되는 5개 주요공정이 서로 순서를 바꿔가면서 최종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집적회로를 형성해준다. 다만, 화합물반도체가 가지고 있는 재료특성 차이에 의해 몇 몇 독특한 기술을 요하며, Si공정에서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공정이 도입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화합물반도체의 공정중, 특히 MBE 장치를 이용한 델타(delta) 도우핑에 관한 기술을 살펴본다.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가장 많은 기능을 지닌 MBE는, 초고진공 상태(10-11Torr)에서 분자선을 발생 분출시켜서 기판에 균일하게 흡착시킴으로써 원자 단위의 정교한 결정막을 성장시키는 장치이고, 이 MBE 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의 단원자층에 주 원자(host atom)를 빼고 도펀트들만으로 이루어진 결정층을 성장시키는 방법을 델타 도우핑이라 한다.
제1도는 종래 MBE 장치를 이용한 델타 도우핑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갈륨 아세나이드(GaAs)를 N형으로 도우핑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다.
먼저, MBE 장치의 개략적인 면을 살펴보면, 10-11Torr치의 초고진공도를 얻기위한 반응장치내에, Al, Ga, As, Si 등의 원소들을 넣은 분자선 셀을 실치하고, 이 분자선 셀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각 원소의 증기압에 비례하는 분자선 강도를 얻는다. 이때, 분자선의 단속(斷續)은 상기 분자선 셀 전면에 설치된 셔터(shutter)의 개폐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같은 MBE 장치를 이용하여 (100)면 방향으로 성장된 GaAs 기판에 N형 불순물, 예컨데 Si을 도우핑하려면, Ga 성분을 넣은 분자선 셀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Si과 As 성분의 분자선 셀을 열고, 각 성분들의 플럭스(flux)를 조정하여 상기 GaAs 기판에 분자선을 조사시키면 일정한 시트 캐리어 농도(sheet carrier concentration : ng)를 갖는 단원자층의 도펀트층, 즉 Si층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종래 델타 도우핑은 N형 도우핑의 경우 N형 불순물, 예컨대 Si을 도펀트로 사용하고, P형 도우핑의 경우 P형 불순물, 예컨대 베릴륨(Be)를 주로 사용하는데 각각의 경우 As와 Si(혹은 Be)의 플럭스 변화 혹은 성장 온도등에 따라 ns의 조절이 어려우며, ns를 줄이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텔타 도우핑의 방법을 변형하여 도우핑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델타 도우핑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MBE 장치를 이용하여 단원자층의 도핀트층을 성장하는 화합물 반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층은 서로 다른 타입(type)의 두가지 도펀트들을 동시에 성장시키되 상대적인 분자선 비율을 한 도펀트는 크게하고, 다른 도펀트는 매우 작게 하여 성장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MBE 장치를 이용한 델타 도우핑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델타 도우핑의 방식을 개선한 새로운 방법으로서, MBE 장치를 이용하여 (100)면 방향으로 성장된 GaAs 기판에 N형 불순물, 예컨대 Si을 도우핑 하려면, Ga 성분을 넣은 분자선 셀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Si과 As 성분의 분자선 셀뿐만 아니라 P형 불순물, 예컨대 Be 성분의 분자선 셀도 열어서 Si뿐만 아니라 Be도 일정량 도우핑이 되게한다. 따라서 실제의 캐리어 농도는 Si 농도에서 Be 농도를 뺀 양에 가까워지므로 Be 성분의 분자선 셀의 플럭스를 조정하면 전체적인 도우핑 농도 및 캐리어 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N형 도우핑의 경우 Si의 플럭스는 크게, Be의 플럭스는 매우 작게 하여 양자간의 보상(compensation) 효과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시트 캐리어 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델타 도우핑의 방식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델타 도우핑의 방식은 서로 다른 타입의 두가지 도펀트들을, 상대적인 분자선 비율을 달리하여, 동시에 성장시킴으로써 양자간의 보상 효과에 의해 종래 델타 도우핑 기술로는 얻을 수 없는 낮은 캐리어 농도를 얻을 수 있고, 시트 캐리어 농도를 용이하게 변화시킬수 있으므로 소자개발 및 양산에 적용하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델타 도우핑 방법은 에너지 밴드가 톱니 모양을 갖는 초격자를 이용한 소자, 델타도우핑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화합물반도체의 집적회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분자선 에피택시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위에 단원자층의 도펀트층을 형성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층은 서로 다른 타입의 두가지 도펀트들을 동시에 성장시커 형성하되, 상대적인 분자선 비율을 한 도펀트는 크게하고, 다른 도펀트는 매우 작게 하여 성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도펀트의 도우핑 농도는 상기 다른 도펀트의 분자선 양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층은 델타 도우핑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층은 에너지 밴드가 톱니 모양을 갖는 초격자를 이용한 소자에 적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갈륨 아세나이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도펀트는 실리콘이고, 다른 도펀트는 베릴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00003656A 1990-03-19 1990-03-19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KR92000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656A KR920007344B1 (ko) 1990-03-19 1990-03-19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656A KR920007344B1 (ko) 1990-03-19 1990-03-19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541A KR910017541A (ko) 1991-11-05
KR920007344B1 true KR920007344B1 (ko) 1992-08-31

Family

ID=1929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656A KR920007344B1 (ko) 1990-03-19 1990-03-19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27B1 (ko) * 2002-05-03 2008-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조리기의 디스플레이 유니트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541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2138B1 (en) Relaxed InxGa(1-x)as buffers
KR100515180B1 (ko) 완화된 SiGe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US5693139A (en) Growth of doped semiconductor monolayers
Tsang Progress in chemical beam epitaxy
KR20010090165A (ko) 이종접합구조의 양자점 버퍼층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
EP0430562B1 (en)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5510081A (ja) 低エネルギープラズマ強化化学蒸着法による高移動度のシリコンゲルマニウム構造体の製造方法
GB2162862A (en) Process for forming monocrystalline thin film of compound semiconductor
JP3007971B1 (ja) 単結晶薄膜の形成方法
Bedair et al. GaAsP-GaInAsSb superlattices: A new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JPS6134927A (ja) 化合物半導体単結晶薄膜の成長法
KR920007344B1 (ko) 화합물반도체의 제조방법
US5479028A (en) III-V system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2000068497A (ja) GaN系化合物半導体装置
US4948752A (en) Method of making sagfets on buffer layers
EP269518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ii/v-si-templats
Ishida et al. GaAs MESFET ring oscillator on Si substrate
EP0631298B1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emiconductor epitaxial substrate
Uchida et al. Extremely high Be doped Ga0. 47In0. 53As growth by chemical beam epitaxy
US5215938A (en) Process to obtain semi-insulating single crystalline epitaxial layers of arsenides and phosphides of metals of the group III of the periodic table useful to make electronic devices
JPS63129609A (ja) 3−5族化合物半導体単結晶薄膜の不純物添加法
KR920007338B1 (ko) 듀얼 분자선 셀을 구비한 mbe 장치 및 양면 에피택셜층 형성방법
Kuech et al. Characterization of silicon implanted GaAs buffer layers grown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US5940723A (en) Heteroepitaxial growth of III-V materials
EP0249455A1 (en) Compound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graded mole frac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