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43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43Y1
KR920007143Y1 KR2019900006460U KR900006460U KR920007143Y1 KR 920007143 Y1 KR920007143 Y1 KR 920007143Y1 KR 2019900006460 U KR2019900006460 U KR 2019900006460U KR 900006460 U KR900006460 U KR 900006460U KR 920007143 Y1 KR920007143 Y1 KR 920007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oncave
desk
uneven
height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500U (ko
Inventor
이석순
Original Assignee
이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순 filed Critical 이석순
Priority to KR2019900006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43Y1/ko
Publication of KR910019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조립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다리 3 : 삽치구
4 : 조절지각 5 : 요철부
6 : 높이조절용눈금 7 : 높이조절감합구
8 : 결착턱 9 : 치합용요철부
10 : 삽입편
본 고안은 주로 국민학교나 중, 고등학교의 책상에 있어서 학생들의 신체상의 차이에 따라 학생 각자의 체위에 알맞도록 책상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편안한 학습자세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중공상의 파이프로 구성된 뒷받침다리의 상부 삽치구에 책상판과 일체로 구성된 책, 공책등의 보관함 저부 양측에 하향 돌설한 조절지각을 삽입하되, 양측 조절지각의 양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와 치합되는 치합용 요철부가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편을 일체로 구성한 높이조절감합구를 상기 조절지각 하단측 요철부의 임의 위치에 감합 상태로 끼워주는 방법으로 조절지각 하단측 요철부에 높이조절감합구를 결착시킨 다음 이를 양 받침다리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상의 삽치구에 삽치시켜주는 수단으로 책상을 사용자의 체위에 알맞는 높이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게 한 것이다.
종래에도 책상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84-477호, 제85-232호, 제86-1015호 등의 예로 여러가지로 고안된 바 있으나, 이는 대체로 높이조절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해서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조절장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속들간의 마모로 인해 헐거워져 잡음도 발생하게 되고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책상사이로 다니는 학생들이 다칠수도 있는 결점과 또한 조절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양측의 조절장치를 동시에 조절하지 못하므로서 하여 편마모로 고장의 원인들이 많이 발생하는 결함이 있어 실용화 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높이조절 감합구를 이용하여서 책상판과 일체로 구성된 보관함 저부 양측에 하향돌설한 양측 조절지각을 중공상의 파이프로 구성된 받침다리의 상부 삽치구에 삽입하여 책상의 높이를 임의 조절하도록 구성하되, 그 높이 조절장치로서는 양측 조절지각의 양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와 치합되는 치합용 요철부가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편이 일체로 구성된 높이조절감합구를 상기 양측조절 지각의 측면에 표시한 높이조절용 눈금에 임의 조절하면서 감합상태로 끼워준 다음, 이를 양받침 다리의 상단에 형성된 삽치구에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책상판(1)과 일체로 된 보관함(1'), (1'') 저부 양측에 하향돌설한 조절지각(4), (4')을 연결지간(11)으로 연결되고, 중공상 파이프로 구성된 받침다리(2), (2')의 삽치구(3), (3')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되, 조절지각(4), (4') 양측에 요철부(5), (5')와 높이조절용눈금(6), (6')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져 요철부(5), (5')와 치합되는 치합용 요철부(9), (9')가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편(10), (10')과 결착턱(8), (8')으로 구성된 높이조절감합구(7), (7')를 상기 조절지각(4), (4')에 감합조립한 다음, 이를 받침다리(2), (2')의 삽치구(3), (3')에 삽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책상판(1)의 저부 양측에 돌설된 조절지각(4), (4')의 양측면에 형성한 요철부(5), (5')에 높이조절감합구(7), (7')를 감합상태로 조립하는데, 높이조절감합구(7), (7')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또 그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편(10), (10')이 분리 상태로 대설되어 있으므로 조절지각(4), (4')의 요철부(5), (5')가 삽입될때 한쌍의 삽입편(10), (10')이 탄성작용을 하게 되어 요철부(5), (5')의 삽입작용이 잘되며, 요철부(5), (5')의 다른면에 표시된 높이조절용눈금(6), (6')을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체위에 알맞는 위치에 높이조절감합구(7), (7')의 결착턱(8), (8')이 일치하도록 삽입조립한 다음, 이를 받침다리(2), (2')의 삽치구(3), (3')에 끼워 넣게 되면 삽치구(3), (3') 내면으로 밀착되면서 끼워지는 삽입편(10), (10')은 요철부(5), (5')를 압착하는 상태가 되므로 요철부(5), (5')와 치합된 치합용요철부(9), (9')는 견고하게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결착턱(8), (8')이 삽치구(3), (3') 상단에 걸지게 되어 조절지각(4), (4')을 기 조정된 위치까지만 받침다리(2), (2')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되므로 책상판(1)은 받침다리에 마치 일체화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또한 그 책상판(1)은 사용자 자신의 체위에 알맞게 조절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해 지는 것이다.
한편, 책상판(1)의 높이를 재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지간(11)을 발로 밟고 양손을 이용하여 책상판(1)을 들어올리게 되면 삽치구(3), (3')에 삽입되어 있던 조절지각(4), (4')의 요철부(5), (5')와, 이에 감합되어 있는 높이조절감합구(7), (7')가 달리되며, 분리된 책상판(1)의 조절지각(4), (4')의 요철부(5), (5')에서 높이조절감합구(7), (7')를 상, 하로 재조정하여 주는데, 한쌍의 삽입편(10), (10')은 분리 상태로 대설되어 있으므로 탄성작용이 원활하여 높이조절 감합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자신의 체위에 알맞는 높이로 책상판(1)과 받침다리(2), (2')를 조립할 수 있어 여러 학생들이 불편없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절지각(4), (4')에 요철부(5), (5')와 높이조절용눈금(6), (6')을 형성하고 수지제로 만들어져 조절지각(4), (4')에 치합되는 요철부(9), (9')가 내면에 형성된 한상의 삽입편(10), (10')과 상부에 결착턱(8), (8') 으로 구성된 높이조절 감합구(7), (7')로 구성되어 상기 요철부(5), (5')를 치합용요철부(9), (9')에 치합시킨 삽입편(10), (10')을 책상다리(2), (2')의 삽치구(3), (3')에 삽치하여 높이를 조절토록 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가능한 책상.
KR2019900006460U 1990-05-16 1990-05-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KR920007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460U KR920007143Y1 (ko) 1990-05-16 1990-05-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460U KR920007143Y1 (ko) 1990-05-16 1990-05-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500U KR910019500U (ko) 1991-12-19
KR920007143Y1 true KR920007143Y1 (ko) 1992-10-08

Family

ID=1929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460U KR920007143Y1 (ko) 1990-05-16 1990-05-16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500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92000714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431756Y1 (ko) 사용이 자유로운 독서대
KR101405654B1 (ko) 앞가리개 부착 서랍 없는 학교책상
KR200303632Y1 (ko) 보조 책상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CN205197527U (zh) 一种多功能椅子
KR940002040Y1 (ko) 개량 기도좌대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190070208A (ko) 위치 조절식 강의용 책걸상
KR2002659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N219323260U (zh) 一种课桌
KR200336885Y1 (ko) 학생용 가구의 지주 높이 조절장치
KR200355589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CN214678287U (zh) 一种坐姿矫正器
KR200333980Y1 (ko) 다용도 의자
KR870001548Y1 (ko) 독서대
KR200158798Y1 (ko)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한 책상 및 의자
KR200352309Y1 (ko) 척추 및 골반 운동용 테이블
KR20046160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식 책상
JPH0641473Y2 (ja) 事務机
RU2262874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парта
KR20190072037A (ko) 일체형 거리조절 책걸상
KR20090015215A (ko) 가구의 높이 조절장치
JPH03256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