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963Y1 - 창틀 보조 레일 - Google Patents

창틀 보조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963Y1
KR920006963Y1 KR2019900000011U KR900000011U KR920006963Y1 KR 920006963 Y1 KR920006963 Y1 KR 920006963Y1 KR 2019900000011 U KR2019900000011 U KR 2019900000011U KR 900000011 U KR900000011 U KR 900000011U KR 920006963 Y1 KR920006963 Y1 KR 920006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rail
present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362U (ko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2019900000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963Y1/ko
Publication of KR910014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틀 보조 레일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 (a)는 본 고안 창틀 상부레일과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b)는 본 고안 창틀 상부레일과 결합후 창호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협착편 2 : 곡면부
3, 3' : 보강편 4 : 창틀상부레일
5 : 창호샷시 6 : 홈
H : 높이
본 고안은 창틀의 상부레일에 결합하여 레일의 높이를 연장시켜주는 창틀 보조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내측에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형성되어 하부레일에는 창호샷시에 결합된 호차가 접면, 구동되고 상부레일은 창호샷시의 홈에 끼워져 창호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창틀과 창호의 결합수단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창호샷시의 상부홈을 깊게 형성하여 먼저 창틀의 상부레일을 창호샷시의 상부홈으로 깊게 삽입하여 창호를 창틀내측의 하부레일상에 수직으로 위치케한 다음 창호를 다시 그 저부의 호차가 창틀의 하부레일상면에 일치되게 하향 이동시키면 창호의 저부는 창틀의 하부레일에 의지되고 창호상부는 그 홈의 양 격벽이 창틀 상부레일에 의지되면서 창호는 저부호차에 의하여 창틀의 저부레일을 타고 좌,우 이동된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되는 창호는 결합시 그 상부의 홈이 깊게 형성되어 창틀의 상부레일을 깊이 수용하므로서 창호의 저부레일이 창틀 저부레일에 안치될때 창호전체가 하향되더라도 창호상부에 형성된 홈의 양 격벽이 창틀 상부레일에서 벗어나지 않고 계속 지지가 가능토록 되는바, 이때 창호샷시의 상부홈이 적정깊이를 유지하지 못한다던가, 창틀의 상부에 깊에 돌출되는 상부레일의 높이가 적정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창호의 결합후 창호샷시 상부에 형성된 홈의 양 격벽이 창틀 상부레일에서 이탈되므로서 창호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건물의 신축시 창틀의 구성 내지는 이에 부합되는 창호의 제작상에 따른 오차로 인하여 자주 발생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경우에 창틀 상부레일의 높이를 연장시켜 주기 위한 보조레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길게 형성되는 양 협착편(1),(1') 저부는 곡면부(2)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보강편(3),(3')을 일체로 형성하여된 것으로, 창틀의 상부레일(4) 저부로 부터 본 고안의 양 협착편(1),(1')이 상부레일(⑴ 양측면에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도면 부호중(5)는 창호샷시, (6)은 홈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보조레일은 약간의 연성을 갖는 P.V.C로 제작되며, 양 협착편(1),(1')은 그 상부가 저부보다 내측으로 오므라진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창틀 상부레일(4)과 결합할 때에는 양 협착편(1),(1')을 각각 외방으로 벌려준 다음 창틀 상부레일(4) 저부로 끼워주면 양 협착편(1),(1')은 그 내측으로 오므라지려는 탄성에 의하여 창틀 상부레일(4)양 측면에 견고히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협착편(1),(1') 저부에 일체로 형성된 곡면부(2)는 상부의 협작편(1),(1')이 외방으로 벌어진 상태가 됨에 따라 곡면부(2)도 외방으로 벌어지면서 거의 수평상태로 되며, 이때의 곡면부(2)도 최초의 곡면 상태로 복귀되려는 탄성에 의하여 양 협착편(1),(1')의 협착력을 강하게 보조하여 그 결합상태의 견고성을 일충 보강하게 되며 중앙의 보강편(3),(3)은 본 고안의 결합시 창틀 상부레일(4) 저면과의 밀착으로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감지하고 본 고안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은 제2도 (b)에서와 같이 창틀 상부레일(4)이 본 고안에 의하여 높이(H)만큼 연장된 효과를 가져옴에 따라 창호샷시(5)의 홈(6)이 기존의 창틀 상부레일(4)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창호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길게 형성되는 양 협착편(1),(1') 저부는 곡면부(2)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보강편(3),(3')을 일체로 형성하여된 창틀 보조레일.
KR2019900000011U 1990-01-03 1990-01-03 창틀 보조 레일 KR920006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011U KR920006963Y1 (ko) 1990-01-03 1990-01-03 창틀 보조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011U KR920006963Y1 (ko) 1990-01-03 1990-01-03 창틀 보조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362U KR910014362U (ko) 1991-08-31
KR920006963Y1 true KR920006963Y1 (ko) 1992-09-28

Family

ID=1929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011U KR920006963Y1 (ko) 1990-01-03 1990-01-03 창틀 보조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9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362U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4099A (en) Screen door assembly
CZ2793A3 (en) Refrigerator door
EP0841459A3 (en) Overhead storage cabinet
US4105233A (en) Window and door lock
KR920006963Y1 (ko) 창틀 보조 레일
EP0291107B1 (en) Door-assembly
KR20070041842A (ko) 냉장고
KR100441018B1 (ko) 김치냉장고
CN211370020U (zh) 一种门柱
ES1037516U (es) Disposicion perfeccionda aplicable sobre puertas acristaladas.
JPH10153067A (ja) 網戸及び窓
KR200323602Y1 (ko) 일체형 이중창틀
KR200145849Y1 (ko) 창문틀 레일 구조
JPS582857Y2 (ja) 金属製窓の下枠構造
JP2005083152A (ja) サッシ窓
JP3587728B2 (ja) 浴室折り戸
JPS5853427Y2 (ja)
JPS588855Y2 (ja) 組立物置
KR970004545Y1 (ko) 보강지지구를 갖는 절첩식 방범창용 입설대
KR200360373Y1 (ko) 합성수지 패널 도어
JP3610902B2 (ja) 片引き引戸の施工構造
KR0127436Y1 (ko) 창문용 정지장치
JPH0230634Y2 (ko)
KR19980061355U (ko) 자동개폐를 할수 있는 현관문과 그 문틀의 골조
KR200224115Y1 (ko) 가스 저장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