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403B1 - 도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403B1
KR920006403B1 KR1019840007426A KR840007426A KR920006403B1 KR 920006403 B1 KR920006403 B1 KR 920006403B1 KR 1019840007426 A KR1019840007426 A KR 1019840007426A KR 840007426 A KR840007426 A KR 840007426A KR 920006403 B1 KR920006403 B1 KR 92000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outer connector
ring
connection assembly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958A (ko
Inventor
폴 볼머드 로오렌스
제롬 포어던 로버어트
Original Assignee
아라이드 튜우브 앤드 콘딧트 코오포레이션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이드 튜우브 앤드 콘딧트 코오포레이션,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아라이드 튜우브 앤드 콘딧트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15M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4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Paper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관 연결 조립체
제1도는 2개의 도관의 나사 홈이 있는 단부들을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관 연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도관 열결 조립체의 외측 연결구의 나사홈이 있는 단부와 그 연결구에 의해 유지된 보유기와의 사이에서 접합링이 외측 연결구에 보유되어 있고, 그 접합링과 외측 연결구의 나사홈이 있는 단부 사이에 탄성 수단이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탄성 수단이 압축된 채 하나의 도관에 설치된 외측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동축으로 맞대어진 관계로 2개의 도관들을 접속하고 있는 연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도관 연결 조립체 24, 26 : 단부 부분
28, 30 : 도관 32, 34 : 외부 나사홈
36 : 접합링 38 : 외측 연결구
46 : 보어 52 : 환형홈
54 : 스냅링 56 : 0-링
본 발명은 도관 및 파이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1쌍의 소정 길이의 도관들의 나사홈이 있는 단부들을 동축으로 맞대어진 상태로 접속하기 위한 도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형태의 파이프 또는 도관 시스템, 특히 관형 도관을 이용하는 전기 시스템에서, 특정 용도에 필요한 연속적인 도관 시스템을 형성하기 의해 연결구들에 의해 소정 길이의 다수의 도관들을 단부끼리 맞대어진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도관이 큰 응력을 받지 않는 적용 분야에서 전기 케이블 또는 도선을 둘러싸기 위해 주로 이용되는 얇은 벽의 도관의 경우, 압축 부착구 또는 셋트 스크류 연결구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 도관은 통상 10피이트(3.048m)및 20피이트(6.096m)의 각기 다른 길이로 판매되는것이 보통이고, 각종의 구부리진 형상으로 매우 쉽게 성형되어 압축 연결구 또는 셋트 스크류 연결구들에 의해 단부끼리 연결될 수 있다.
상업적 및 공업적 적용분야에 특히 유용한 다른 형태의 도관은 강직한 파이프 또는 도관으로 불리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한 도관은 예를들어 2.5인치(6.35cm)이상의 외경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단부끼리 맞대어 연결하기 위해 각 도관의 양 단부에 외부 나사홈들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0.100인치(2.54mm)이상의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얇은 벽의 도관에서와 같이, 강직한 파이프 또는 도관 역시 10-20 피이트(3.048-6.096m)길이로 통상 만들어진다. 그들의 상대적인 중량에 기인하여, 강직한 파이프는 설치시 쉽게 조작되지 못하고, 각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매우 곤란할 수 있도록 접근이 비교적 제한되는 곳에 설치되는 일이 빈번하다.
강직한 파이프 또는 도관을 단부끼리 맞대어 연결하기 위한 한 가지 공지의 기술은, 각 도관의 양 단부에 표준 크기의 대체로 V자형의 외부 나사홈들을 제공한 다음, 도관의 인접 단부들과 나사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내부 나사홈을 가진 연결구들에 의해 요구되는 수의 도관들을 단부끼리 맞대어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에서의 주요 결점은, 연결구가 하나의 도관에 나사결합된 다음, 이 도관과 축방향으로 정열되어 연결될 다른 도관과 상기 도관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행해져야 하는 것이다.이것은 대개 제2도관(상기 다른 도관)과 연결구가 나사 결합하도록 두 도관들 사이에 상대 회전을 시킴과 동시에 인접하는 두 도관들 사이에 상대적인 종방향 이동을 시키는 것을 요한다. 중간 도관을 교체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하나의 도관 또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중 어느 하나, 또는 도관과 연결구 모두가 분해를 위해 파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인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4,258,936호에 개시된 바와같은 최근 제안된 한 가지 도관 연결 조립체는 도관들을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다. 더욱이, 완성된 도관 시스템에서 일부를 교체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이 연결 조립체는, 인접하는 도관들 사이에 상대적인 종방향 이동을 행하지 않고 또한 도관들중 하나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도관 시스템을 분해할 수 있게 한다. 이 연결 조립체는 외측 연결구를 포함하며, 이 외측 연결구는 단부들과, 그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여 내측 환형 연결구, 즉, 접합링을 미끄럼 운동 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보어를 가지며, 상기 접합링은 그 접합링이 도관들중 하나의 단부 부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나사홈을 가진다. 이러한 나사 결합은 사실상 렌치로서 상기 외측 연결구를 사용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접합링은, 외측 연결구를 관통한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된 셋트 스크류의 내측연장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로트가 형성된 환형 립(lip)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외측연결구의 보어내에 배치된 접합링의 환형립의 상기 슬로트에 상기 셋트 스크류의 내측 연장부가 수용된채 하나의 도관의 단부 부분상에서 외측 연결구를 회전시키면, 상기 슬로트에의 셋트 스크류의 결합에 의해 외측 연결구에 대한 접합링의 상대적 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도관 단부 부분의 외부 나사홈에 접합링이 먼저 나사 결합하게 되고, 그 접합링의 설치후, 접합링에 대한 외측 연결구의 상대적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셋트 스크류를 외측 연결구에서 제거하거나 조정한 다음, 외측 연결구를 반대로 회전시켜 다른 도관(상기 도관과 정렬된)의 단부 부분의 외부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양 도관의 단부 부분들이 접속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시스템은 슬로트가 형성된 환형립을 접합링에 제공하는 것을 요하고 셋트 스크류를 조이고 푸는 것을 요한다. 이러한 연결 조립체의 구조 및 작동의 더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4,258,936호의 명세서로부터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소정 길이의 도관들을 그 도관들의 상대적인 회전없이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개량된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인접하는 도관들의 상대적인 종방향 이동없이 도관 시스템을 편리하게 부분적으로 분해할 수 있게 하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쉽게 제조되는 단순한 구조의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셋트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렌치로서 외측 연결구를 사용하여 접합링올 설치할 수 있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도관에 설치될 수 있고, 단지 외측 연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도관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긴 작동 수명을 가지며 사용에 있어서 신뢰성이 있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여, 본 발명의 도관 연결 조립체는, 소정 길이의 한 쌍의 도관들중 하나의 도관의 단부 부분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칫수의 내부 나사홈을 가진 접합링과,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며 그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접합링을 미끄럼 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보어를 가진 외측 연결구를 포함한다. 그 외측 연결구의 제1단부는 접합링이 제1단부를 지나쳐 이동할 수 없도록 그 접합링의 외부칫수보다 작은 내부 칫수를 가지며, 그 제1단부는 도관 단부들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것수의 내부 나사홈을 가지고 있다. 이 연결 조립체는 또한, 외측 연결구의 보어로부터 접합링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연결구의 제2단부에 인접하여 외측 연결구의 내벽에 고정된 보유기 수단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도관에 접합링을 설치하기 위한 일방향 연결기구로 작용하도록 접합링과 외측 연결구의 제1단부 사이에 탄성수단이 배치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들에서, 소정 길이의 1쌍의 도관(28, 30)의 단부 부분들(24, 26)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관 연결조립체가 전체적으로 번호(20)으로 지시되어 있다. 각 도관의 단부 부분은 동일 칫수의 외부 나사홈(32, 34)을 가지고 있다. 이 도관 연결 조립체(20)는 도관들증 하나의 단부 부분상에 나사 결합되는 접합링(abutment ring)(36)과, 그 접합링(36)을 보유하기 위한 외측 연결구(38)와, 접합링(36)이 외측 연결구(38)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연결구(38)에 지탱된 보유기 수단 및, 도관들중 하나의 단부부분에 접합링을 설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접합링(36)은 도관(28)의 단부 부분(24)상에 나사 결합하는 크기의 내부 나사홈(40)을 가지고 있다. 외측 연결구(38)는 제1단부(42)와 제2단부(44)및, 그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접합링(36)을 미끄럼 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보어(46)을 가지고 있다. 외측 연결구의 제1단부(42)는 접합링이 외측 연결구의 제1단부를 지나쳐 이동할 수 없도록 접합링의 외부 칫수보다 작은 내부 칫수를 가지고 있고, 그 제1단부는 도관들의 단부 부분들(24, 26)에 나사 결합하는 크기의 내부 나사홈(48)을 가지고 있다. 접합링(36)은 그 접합링이 보어(46)내에 배치된 때 외측 연결구(38)의 축선에 대해 횡으로 회전할 수 없게 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연결구(38)는 보어(46)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50)을 가지고 있고, 그 내측 표면(50)은 외측 연결구의 제2단부(44)에 인접히 배치된 환형홈(52)을 가지고 있다. 그 환형홈(52)은 보어(46)로부터의 접합링(3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 접합링의 외부칫수보다 작은 내부 칫수를 가진 스냅링(54)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그리하여, 스냅링(54)이 전술한 보유기 수단을 구성한다.
도관(28)의 단부 부분(24)에 접합링(36)을 설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전술한 탄성 수단을 구성하는 0-링(56)(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이 접합링(36)과 외측 연결구(38)의 제1단부(42) 사이에서 외측 연결구(38)에 의해 보유되어 있다. 접합링(36)및 스냅링(54)이 강(鋼)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들은 서로에 대하여 쉽게 미끄럼 운동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다. 한편, 접합링(36)이 0-링(56)을 압착할 때, 그들은 비교적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낸다. 외측 연결구(38)는 환형의 내측 어깨부(58)를 가지고있고, 그 어깨부와 접합링(36)은 그들 사이에서 0-링(56)을 압착하기 위한 대향하는 표면(60, 62)을 각각 가지고 있다. 특히, 접합링(36)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접합링의 상기 표면(62)은 연결 조립체의 축선에 대해 45도 각도로 연장한다. 어깨부의 상기 표면(60)은 외측 연결구(38)의 나머지와 제1단부(42)의 합체부에 형성된 궁형의 내부표면과, 제1단부(42)의 내부 나사홈(48)까지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외측 연결구(38) 및 접합링(36)의 나사홈들의 끝은 도관의 단부 부분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로 작용하도록 모서리가 깍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연결구(38)는 그 외측 연결구가 실제에 있어서 도관(28)의 단부 부분(24)상에 접합링(36)을 설치하기 위한 렌치로 사용될 때 작업자의 파지성을 증대시키도록 홈부분(66)을 구비한 외측 표면(64)을 가지고있다(제1도 참조). 도관(28)의 단부 부분(24)은 그 단부 부분에 의해 접합링(36)이 내측 어깨부(58)쪽으로 이동되어 0-링(56)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외측 연결구(38)의 제2단부(44)를 통하여 삽입된다. 0-링(56)과 접합링(36)사이의 높은 마찰계수에 기인하여, 외측 연결구(38)의 회전시 접합링이 도관의 단부 부분(24)상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그 외측 연결구를 계속 회전시키면서 접합링이 도관의 단부 부분(24)의 나사홈에 계속 더 나사 결합되고, 따라서 그 단부 부분(24)이 외측 연결구의 제1단부(42)의 내부 나사홈(48)에 나사 결합된다. 0-링에 의해 제공되는 높은 마찰계수는 접합링과 외측 연결구가 도관(28)상에 나사 결합되는 동안 접합링과 외측 연결구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지 않게 작용한다. 단부 부분(24)상의 나사홈의 범위에 도달하여 접합링(36)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해될 때, 접합링(36)은 0-링(56)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여 어깨부(58)에 더 가깝게 이동하게 되고, 그결과, 그 어깨부(58)와의 사이에서 0-링(56)을 압축한다. 0-링(56)이 완전히 압축된 때, 외측 연결구(38)가 계속 더 회전하면 접합링(36)의 나사홈들이 도관의 단부 부분(24)상에 확고하게 체결된다. 이것은, 완전히 압축된 0-링(56)에 의해 제공되는 높은 마찰계수가 외측 연결구(38)와 접합링(36) 사이의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도관(28)의 나사홈이 있는 단부부분(24)의 길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0-링(56)이 압축되고 접합링(36)이 설치된 때 도관(28)과 외측 연결구(38)의 끝들이 사실상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도관 연결 조립체(2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극 연결 조립체(20)는 어떤 간단한 수동 공구의 사용없이도 공장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고, 환형홈(52)내에 스냅링(54)을 끼우는 공구만이 요구된다. 0-링(56)은 외측 연결구(38)내에서 어깨부(58)에 내하여 접합된다. 다음, 접합링(36)이 외측 연결구의 보어(46)내에 배치된 후, 스냅링(54)이 환형홈(52)내에 배치되어 보어(46)내에 접합링(36)이 보유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0-링(56)이 압축되고 접합링(36)이 도관(28)의 단부 부분(24)상에 체결된 때, 도관(28)의 끝과 연결 조립체의 끝은 사실상 동일면에 위치한다(제3도 참조). 그 다음, 다른 도관(30)을 상기 도관(28)에 동축으로 정렬시킨후 도관(28)의 단부 부분(24)에 대하여 외측 연결구(38)의 나사 결합을 푸는 것에 의해, 도관(30)의 단부 부분(26)상에 외측 연결구(38)의 제1단부(42)가 나사 결합된다(제4도참조). 외측 연결구가 도관(28)의 단부 부분(24)으로부터 풀어지기 위해 초기에 회전될 때, 0-링(56)은 그의 압축된 상태로부터 회복하여 접합링과 외측 연결구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일어나게 한다. 그리하여, 0-링은 도관(28)상에 접합링(36)이 편리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일방향 연결기구로 작용한다. 작업자가 외측연결구를 계속 회전시키면, 그 외측 연결구가 접합링과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0-링을 이동시킨다. 외측 연결구를 더 계속 회전시키면, 스냅링(54)이 접합링(36)에 접촉할 때까지 전진한다. 2개의 링들, 즉, 스냅링과 접합링이 비교적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외측 연결구를 더 회전시켜도 단부 부분(24)로부터 접합링(36)의 나사 결합이 풀리지 않고 대신, 도관들의 단부 부분들(24, 26)이 확고하게 접촉 결합된다. 완성된 도관 연결 조립체(20)는 어떠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신속하게 도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도관 연결 조립체(20)는, 외측 연결구가 주조에 의해 성형되는 종래 기술의 연결 조립체보다 우수한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결 조립체의 외측 연결구(38)는 냉간 연신강으로 제조된다. 그리하여, 외측 연결구(38)가 높은 인장강도 성질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높은 당김 강도 및 비임(beam) 강도를 가진다. 외측 연결구(38)의 외경 역시 작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간결함은 도관 조립 및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한 작은 크기는 벽을 얇게 할 수 있는 외측 연결구의 높은 재료 강도에 기인하여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작은 크기는 0-링의 토오크 부여 특징을 사용하여 접합링(36)을 설치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외측 연결구에 어떤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요하지않고 또한 접합링에 환형립과 같은 연장부를 요하지 않아서, 접합링의 직경 및 외측 연결부 자체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관(28)의 단부 부분(24)상에 접합링(36)을 나사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특수한 공구 또는 렌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고무로 된 0-링(56)을 사용함으로써, 미끄럼 운동하는 접합링을 제위치에 나사 체결하는데 있어 직접적인 외부 접속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관(28)의 단부 부분(24)상에 접합링(36)을 나사 결합시키는데 요구되는 로오크는 외측 연결구(38)로부터 0-링(56)을 통하여 접합링(36)으로 전달된다. 어깨부(58)의 표면(60)과 접화링(36)의 표면(62)사이에서 0-링(56)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은 접합링(36)내부 나사홈(40)과 단부 부분(24)의 외부 나사홈(32) 사이의 마찰보다 더 크다. 이러한 상태에 의해 접합링(36)이 외측 연결구(38)와 함께 회전되어, 도관(28)의 단부 부분(24)상의 외부 나사홈(32)의 끝에 도달하고, 접합링이 그 단부부분에 체결될 때까지 도관(28)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마찰 상태는 또한, 접합링과 외측 연결구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방지한다. 그러한 상대 운동이 발생되는 경우, 접합링이 단부 부분(24)상의 나사홈의 끝(체결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단부 부분(24)의 나사홈상에서 외측 연결구와 접합링이 서로에 대하여 걸려 움직이지 않게 된다.
0-링(56)의 압축성과 탄력성에 의해, 외측 연결구와 접합링 사이에 쿠션이 형성되어 나사홈 위치와 칫수의 적은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한 흡수가 없으면 그 변동이 접합링의 설치중 외측 연결구(38)와 도관의 단부 부분(24)사이에 구속(bind)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완성된 연결 조립체(20)를 사용하여 도관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a) 0-링(56)에 대하여 접합링(36)이 압압될 때까지 외측 연결구(38)의 제2단부(44)로부터 보어(46)내로 도관(28)의 단부 부분(24)을 삽입하도록 외측 연결구(38)를 이동시킨다.
(b) 외측 연결구(38)의 제1단부(42)에서 접합링(36)과 어깨부(58)사이에서 0-링(56)이 압축된 채 도관의 단부 부분(24)이 접합링(36)을 통하여 외측 연결구의 제1단부(42)에 나사결합될때까지 외측 연결구(38)를 회전시킨다.
(c) 도관(30)의 외부 나사홈(34)이 있는 단부 부분(26)을 상기 도관(28)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이동시킨다.
(d) 외측 연결구(38)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도관(28)의 단부 부분(24)으로부터 나사 결합을 푸는 것과 동시에 도관(30)의 단부 부분(26)상에 나사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도관들(28, 30)을 접속한다.
전술한 바로 부터, 본 발명의 여러 목적들이 달성되고 다른 유익한 결과들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소정 길이의 1쌍의 관형 도관들(28,30)의 동일 칫수의 외부 나사홈들(32,34)을 가진 단부 부분(24,26)을 동축으로 맞대어진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도관 연결 조립체(20)로서, 상기 도관들증 하나의 단부 부분에 나사 결합하는 크기의 내부 나사홈(40)을 가진 접합링(36); 제1단부(42) 및 제2단부(44)와 그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접합링(36)을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보어(46)율 가지고 있고, 접합링이 상기 제1단부(42)를 지나쳐 이동할 수 없게 제1단부가 상기 접합링의 외측 칫수보다 작은 내측 칫수를 가지고 있고, 제1단부가 도관 단부 부분들 상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크기의 내부 나사홈(48)을 가진 외측연결구(38); 상기 보어(46)로부터의 접합링(3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 연결구의 제2단부(44)에 인접하여 외측 연결구(38)에 의해 지탱된 보유기 수단(54), 및 접합링(36)과 외측 연결구(38)의 제1단부(42) 사이에 배치되어, 하나의 도관(28)상에 접합링을 설치하도록 외측 연결구로부터 접합링에 힘을 전달하는 일방향 연결 기구로 작용하고, 상기 접합링(36)이 도관의 나사홈 끝에 있게될 때까지 접합링(36)과 외측 연결구(38)의 제1단부(42)를 하나의 도관(28)의 단부 부분(24)에 결합시킬 때 접합링과 상기 제1단부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외측 연결구(38)를 상기 하나의 도관(28)으로부터 풀음과 동시에, 도관들의 대향단부들(24, 26)이 접합때까지 그 외측 연결구(38)를 다른 도관(30)의 단부 부분(26)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도관들(28, 30)을 접속하도록 상기 하나의 도관(28)으로부터 외측 연결구(38)의 나사 결합을 풀 때 압축이 해제되어 접합링(36)으로부터 이탈되는 탄성 수단(56)으로 구성되는 도관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도관(28)의 단부부분(24)의 나사홈(32)의 길이는, 상기 접합링(36)이 상기 단부 부분의 나사홈의 끝에 있을 때 상기 탄성 수단(56)이 압축되도록 외측 연결구(38)가 상기 단부부분에 나사결합된 때 외측 연결구(38)의 끝과 상기 도관(28)의 끝이 동일면으로 배치되고 다른 도관(30)의 정렬후 상기 하나의 도관(28)으로부터 외측 연결구(38)의 나사 결합을 푸는 것에 의해 외측 연결구가 상기 다른 도관(3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길이로 선택되는 도관 연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56)이 0-링인 도관 연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 수단(54)이 스냅링인 도관 연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결구(38)가 상기 보어(46)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50)을 가지고 있고, 상기 내측 표면(50)에는, 상기 스냅링(54)을 수용하기 위해 외측 연결구의 제2단부(44)에 인접하여 배치된 환형홈(52)이 있는 도관 연결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결구(38)가 상기 탄성수단(56)을 결합시키기 위해 제1단부(42)에 인접하여 배치된 환형의 내측 어깨부(58)를 가지고 있는 도관 연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58) 및 접합링(36)이 그돌 사이에서 탄성 수단(56)을 압축하기 위한 대향 표면들(60,62)을 각각 가지고 있는 도관 연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56)이 상기 내측 어깨부(58)에 접합된 도관 연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링(36)은 그가 상기 보어(46)내에 배치된 때 상기 외측 연결구(38)의 축선에 대해 횡으로 그 접합링이 회전할 수 없게 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도관 연결 조립체.
KR1019840007426A 1983-11-28 1984-11-27 도관 연결 조립체 KR920006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55,480 US4592574A (en) 1983-11-28 1983-11-28 Conduit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555480 1983-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58A KR850003958A (ko) 1985-06-29
KR920006403B1 true KR920006403B1 (ko) 1992-08-06

Family

ID=2421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426A KR920006403B1 (ko) 1983-11-28 1984-11-27 도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92574A (ko)
EP (1) EP0145364B1 (ko)
JP (1) JPS60184792A (ko)
KR (1) KR920006403B1 (ko)
AT (1) ATE24799T1 (ko)
DE (1) DE3461969D1 (ko)
IN (1) IN163135B (ko)
MX (1) MX1636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6616A (ja) * 1987-11-11 1989-05-18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における光学繊維束の組付け方法
US6852922B2 (en) * 2001-07-13 2005-02-08 Houston Wire & Ca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conduit
US6832790B2 (en) * 2002-12-09 2004-12-21 Mark H. Olson Water tight three piece coupling for electrical conduits
US7404582B2 (en) * 2002-12-23 2008-07-29 Allied Tube & Conduit Corporation Conduit coupling assembly
CN105333249B (zh) * 2008-12-10 2018-09-28 斯瓦戈洛克公司 具有径向负荷的卡套夹头
CN105546241B (zh) 2010-01-21 2019-04-05 世伟洛克公司 一种用于导管配件的配件及预装组件
US9879385B2 (en) 2010-03-26 2018-01-30 Ramin Tabibnia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paving a subsurface
US9284693B2 (en) * 2010-03-26 2016-03-15 Ramin Tabibnia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paving a subsurface
US9976682B2 (en) 2012-12-26 2018-05-22 Zekelman Industries, Inc. Swivel coupling
KR102398921B1 (ko) 2014-05-09 2022-05-16 스와겔로크 컴패니 조립을 촉진시키도록 적응된 부품을 구비한 도관 피팅
CN105020235B (zh) * 2015-07-10 2018-01-23 上海三菱电机·上菱空调机电器有限公司 防拆卸式接管螺母、接管螺母组件、空调器及接管螺母防拆卸的方法
CN108278414A (zh) * 2018-02-12 2018-07-13 黄赛华 龙头出水口内接转接套
KR20210003873A (ko) 2018-04-27 2021-01-12 스웨이지락 캄파니 도관 피팅용 페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70021A (en) * 1918-06-18 John J Delehanty Rigid pipe-union.
GB189610085A (en) * 1896-05-12 1896-06-13 Arie Willem Frederik Bennik An Improved Pipe Coupling.
US675320A (en) * 1900-06-07 1901-05-28 Edward A Boyne Coupling for tubes or pipes.
US1036684A (en) * 1911-03-24 1912-08-27 Mueller Mfg Co H Adjustable screw-joint coupling for supply-pipes.
US1119752A (en) * 1912-08-31 1914-12-01 Fritz William Bock Coupling for pipes, conduits, &c.
FR870756A (fr) * 1941-03-11 1942-03-24 Perfectionnements aux joints sur canalisations tubulaires
US2445963A (en) * 1945-07-10 1948-07-27 Nat Clay Pipe Res Corp Flexible joint construction for ceramic pipe
US2711171A (en) * 1953-10-14 1955-06-21 Becton Dickinson Co Hypodermic syringe
US2857176A (en) * 1956-02-06 1958-10-21 Weatherhead Co Tube coupling with nut-actuated clamping and sealing means
US3218096A (en) * 1960-05-19 1965-11-16 Resistoflex Corp Fluid coupling assembly
US3549177A (en) * 1968-11-29 1970-12-22 Thomas & Betts Corp Flexible conduit fitting
US3984130A (en) * 1975-03-17 1976-10-05 Berger Industries, Inc. Pipe joint for an intermediate metal conduit
US4082319A (en) * 1976-07-06 1978-04-04 Berger Industries, Inc. Coupling sleeve
US4258936A (en) * 1980-01-07 1981-03-31 Allied Tube & Conduit Corporation Coupling
EP0040714A1 (en) * 1980-05-08 1981-12-02 Thomas & Bett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having a tapered sleeve insert for large diameter, metallic sheathed cable
DE3109583A1 (de) * 1981-03-13 1982-10-07 Jacob GmbH Elektrotechnische Fabrik, 7053 Kernen Kabelverschraub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84792A (ja) 1985-09-20
EP0145364B1 (en) 1987-01-07
ATE24799T1 (de) 1987-01-15
DE3461969D1 (en) 1987-02-12
IN163135B (ko) 1988-08-13
US4592574A (en) 1986-06-03
MX163637B (es) 1992-06-08
EP0145364A1 (en) 1985-06-19
KR850003958A (ko) 198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403B1 (ko) 도관 연결 조립체
US5466173A (en) Longitudinally compressible coaxial cable connector
US4050722A (en) Joint for conduit
CA2038897C (en) Nonmetallic conduit fitting
US4037864A (en) Pipe coupling
KR100894664B1 (ko) 신속 연결 커플링
US6988746B2 (en) Nut type raintight threadless couplings and connectors for electrical conduits
US5226682A (en) Coupling assembly
US6916200B2 (en) Sealed coaxial cable connector and related method
US4154466A (en) Pipe section and coupling
JP2875889B2 (ja) 軸線方向にスエージ加工された管継手用スエージ工具
EP0121610B1 (en) Coupling system, especially for a connector
US7658655B2 (en) Electrical splice connector
US4412693A (en) Swivel hose coupling with threaded nipple
US6007112A (en) Pipe coupling apparatus for use in air conditioners
JPH05149491A (ja) 管継手
EP0485437B1 (en) Abdichtungsvorrichtung für eine unter Druck stehende Leitung
US4764131A (en) Electrical connector
US4435005A (en) Joint for conduit with single threaded end
US2749154A (en) Tube locking and sealing construction
US4406483A (en) Universal connector
US3984130A (en) Pipe joint for an intermediate metal conduit
US4957314A (en) Conduit coupling assembly
WO2000066852A1 (en) A mechanical jointing method of two reinforcing rods and an apparatus therefor
JP2012100475A (ja) 電力ケーブル用接続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