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31B1 -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31B1
KR920006231B1 KR1019900012730A KR900012730A KR920006231B1 KR 920006231 B1 KR920006231 B1 KR 920006231B1 KR 1019900012730 A KR1019900012730 A KR 1019900012730A KR 900012730 A KR900012730 A KR 900012730A KR 920006231 B1 KR920006231 B1 KR 92000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spring
contact
stud p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231A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231B1/ko
Priority to US07/745,347 priority patent/US5218266A/en
Priority to JP3205854A priority patent/JPH04233135A/ja
Priority to CN91105708A priority patent/CN1036166C/zh
Publication of KR92000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제1도는 보라운관을 일부 절개한 종래의 내부구조 단면도.
제2도는 브라운관을 일부 절개한 본 발명의 내부구조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텍트 스프링의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텍트 스프링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핀넬
3 : 프리트(Frit) 4 : 형성막
5 : 알루미늄막 7 : 스터드핀
8 : 후크스프링 9 : 섀도우마스크
10 : 프레임 11 : 클립
12 : 인너실드 15 : 흑연막
50 : 콘텍트 스프링 51,51' : 접촉부
52, 53 : 지지펀 54 : 펀칭홀
55 : 엠보스부
본 발명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비임이 색선별 기능의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형광체에 교차될때 남아있게 되는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교량역할을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섀도우 마스크형 칼라브라운관은 전자총에서 방사된 각 전자비임이 섀도우 마스크에 관통된 수많은 구멍의 위치에서 교차한 다음 소정의 형광체에 충돌하여 3원색을 발광한다.
이의 전자비임 방사과정에서 도전층의 형광체는 전자총에서 방사된 전자비임의 강, 약에 따라 휘도의 명암이 결정되나, 형광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주변 또는 블루매트릭스 부근에 부딪치는 전자비임은 충돌함과 동시에 음전하 반발현상이 일어나 섀도우 마스크의 형광체간에 잔류전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잔류전자는 화면상태를 심하게 아른거리게 하며, 화면에서 밝고 어두운 원띠모양이 형성되어 발광정도가 일정치 않게되고. 또한 섀도우 마스크를 통과하는 비임경로를 굴절시키는 레그럽핑(Regrouping)현상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은 잔류전자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의 내벽에 일체로 고정시킨 스터드핀(7)과 그 패널(1)의 형광막(4)위에 도포한 알루미늄막(5) 사이로 띠상으로 된 도전성의 흑연막(6)을 형성하고, 섀도우 마스크(9)를 지지하는 프레임(10)은 후크스프링(8)을 통해 상기 스터드핀(7)에 고정되며, 브라운관내의 인너실드(12)는 상기 프레임(10)에 크립(11)으로 고정한 다음, 콘텍트 스프링(13) 의 일측을 스폿트 용접(14)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콘텍트 스프링(13)의 타측은 그 절곡된 부위로 하여금 펀넬(2) 내벽에 도포한 흑연막(15)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해서 섀도우 마스크(9)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전자는 섀도우 마스크(9)→프레임(10)→콘텍트 스프링(13)→흑연막(15)으로 흐르고, 스크린 형광막(4)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 전자는 형광막(4) →알루미늄막(5) →흑연막(6) →스터드핀 (7) →후크스프링 (8) →프레임 (10) →콘텍트 스프링 (13) →흑연막(15)을 통해 스크린 형광막(4)과, 섀도우 마스크(9)에서 각각으로 충돌하여 남은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와 같이, 콘텍트 스프링(l3)은 섀도우 마스크(9), 프레임(10) 및 인너실드(12)의 잔류전자를 외부로, 흑연막(6)은 스크린 형광막(4)의 잔류전자를 알루미늄막(5)을 통하여 흑연막(6), 후크스프링(8), 프레임(l0) 및 콘텍트 스프링(13)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방출시키는 교량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량역할의 흑연막(6)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형광막(4)위에 피복되어 있는 알루미늄막(5)과 패널(1) 내면에 고정시킨 스터드핀(7) 간에 액체 상태에서의 흑연액을 붓 또는 기타의 연장으로 칠(또는 도포)한 다음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써 칠공정을 수행하는 도중 흑연칠이 알루미늄막(5)의 형광 유효면적 안으로 침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붓의 부주의에 의한 흑연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텍트 스프링(13)의 고정방법에 있어서도 프레임(10)과 인너실드(12)을 클립(11)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콘텍트 스프링(13)을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4∼6점 정도의 스폿트 용접(14)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용접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불티가 브라운관 내에 잔존하게 되면서 섀도우 마스크(9)의 일부구멍(전자 비임이 통과하는 구멍)을 막는 현상이 일어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그 목적은 브라운관 제조시 형광막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교량역할하는 종래의 흑연막 형성공정을 생략하여 흑연틤으로 인한 불량율을 없애며, 또한 콘텍트 스프링을 고정할때에 다량의 불티가 발생하는 종래의 용접공정을 단축하여 고질적인 섀도우 마스크의 구멍막힘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고정방법에 의해 브라운관 조립에 따른 작업효율을 기할 수 있으며, 잔류전자의 전달 경로를 단축할 수 있도록한 칼라브라운관의 콘넥트 스프링울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칼라브라운관의 잔류전자 접지용 콘텍트 스프링은 형광막과 섀도우 마스크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토록 교량역할을 하는 콘텍트 스프링의 양종단 접속부를 패널 내면의 알루미늄막과 펜넬 내벽의 흑연막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절곡하고, 상기콘텍트 스프링의 중앙에는 스터드핀의 원주둘레와 같은 크기의 펀칭홀을 형성시키며, 프레임을 스터드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후크 스프링중 상기 스터드핀에 끼워지는 부위의 양면이 콘텍트 스프링과 견고하게 걸림 및 접촉되도록 펀칭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엠보스부와 지지편을 각각 형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을 고정하는 방법은, 콘텍트 스프링을 패널의 스터드핀에 끼움식으로 고정하고, 프레임을 탄지하기 위한 후크스프링은 상기 콘텍트 스프링의 지지편과, 엠보스부 사이에서 걸림이 이루어져 상기 콘텍트 스프링이 조립식으로 체결 고정되는 것이 특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고정방법에 의해서 콘텍트 스프링이 브라운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브라운관의 내부 단면도로서, 동도면에서의 (50)은 섀도우 마스크(9)와, 형광면(4)에서 발생한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교량역할을 하는 콘텍트 스프링이다.
상기 콘텍트 스프링(50)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동도면에서의 (54)는 내측 패널(1)의 스터드핀(7)에 끼워지는 펀칭홀이며, (55)는 섀도우 마스크(9)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 프래임(10)을 스터드핀(7)에 지지하기 의해 사용하는 후크스프링(8)의 일측면 (스터드핀(7)에 안착된 상태에서 패널(1) 내측벽과 마주보는면) 과 접촉되면서 탄지되도록한 엠보스부이고, (52) (53)은 상기 후크스프링(8)이 스터드핀(7)에안착된 상태에서 그 후크스프링(8)의 타측면(프레임측과 마주보는 면)에 걸림되면서 안측으로 밀려고하는 탄성을 가진 지지편이며, (51) (51')은 패널(1)과 펀넬(2)이 프리트(3)로 봉착되어 브라운관이 형성된 상태에서 패널(1) 내측면의 알루미늄막(5)과, 펀넬(2). 내측면의 흑연막(15)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콘텍트 스프링(50)의 양종단을 반달형상으로 절곡시킨 접촉부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콘텍트 스프링(50)의 조립 방법은 제2도에 도시한 조립단면도와 같이 먼저 패널(1)의 내측면에 형광막(4)과 알루미늄막(5)을 순차적으로 막공정 완료한 다음, 콘텍트 스프링(50)의 펀칭홀(54)을 통해 스터드핀(7)에 끼운다.
그러면, 콘텍트 스프링(50)의 일측접촉부(51)가 패널(1)의 알루미늄막(5)의 표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탄지되며, 또한 그 펀칭홀(54)의 구경크기와 동일한 스터드핀(7)의 외경부위에 고정된다.
그리고, 클립(11)으로 고정시킨 인너실드(12)와, 섀도우 마스크(9) 및 후크스프링(8)을 프레임(10)에 일체로 조립한 것을 상기 후크스프링(8)에 천공된 체결구를 스터드핀(7)에 정조준하여 손으로 잡고 있던 후크스프링(8)을 놓는다.
이때 후크스프링(8)은 이의 복원력에 의해 콘넥트 스프링(50)의 지지편(52) (53) 종단에 절곡되어 있는 경사면(52') (53')을 따라 내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그 콘텍트 스프링(50)의 지지편(52) (53)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그 후크스프링(8)이 스터드핀(7)에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10)을 지지하는 후크스프링(8)이 스터드핀(7)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는 콘텍트 스프링(50)의 지지편(52) (53)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서 안착되는 후크스프링(8)의 일측면(프레임측과 마주보는 면)을 스터드핀(7 )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탄지하게 되며, 또한 후크스프링(8)의 타측면(패널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은 콘텍트 스프링(50)의 각 엠보스부(55)와 접촉된다.
그리고 후크스프링(8)이 콘렉트 스프링(50)의 지지편(52) (53)과 엠보스부(55)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됨을 확인한 후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 공정의 상기 패널(1)과 펀넬(2)을 프리트(3)로 봉착시킨다.
이와 같이 튜브 형태로 봉착된 상태에서의 콘텍트 스프링(50)은 그의 접촉부(51')가 펀넬(2)의 깔대기와 같은 곡률형태에 의해 인너실드(1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펀넬(2) 내벽의 흑연막(15)과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조립된 브라운관의 동작시 형광면(4)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전자는 일루미늄막(5)→콘텍트 스프링(50)→흑연막(15)으로, 그리고 섀도우 마스크(9)에서 형성된 잔류전자는 프레임(10)→후크 스프링(8)→콘텍트 스프링(50)→흑연막(15)으로 유도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형광면과 섀도우 마스크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교량역할을 하는 콘텍트 스프링을 스터드핀에 조립하는 방법으로 체결고정하므로써 브라운관 조립에 따른 작업 효율을 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잔류전자의 전달경로를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또한, 잔류전자의 전달경로를 위한 종래의 용접공정과 흑연칠 공정을 생략하므로써 원가절감 및 이에따른제반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등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브라운관의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교량역할을 하는 통상의 콘텍트 스프링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텍트 스프링(50)을 패널(1)의 스터드핀(7)에 끼움식으로 고정하고, 프레임(10)을 탄지하기위한 후크스프링(8)은 상기 콘텍트 스프링(50)의 지지편(52) (53)과, 엠보스부(55) 사이에서 걸림이 이루어져 상기 콘텍트 스프링(50)이 조립식으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고정방법.
  2. 형광막(4)과 섀도우 마스크(9)에서 충돌하고 남은 잔류전자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교량역할하는 콘텍트 스프링(50)의 양종단 접촉부(51) (51')를 패널(1) 내벽의 알루미늄막(5)과 펀넬(2) 내벽의 흑연막(15)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절곡하고, 상기 콘텍트 스프링(50)의 중앙에는 스터드핀(7)의 원주돌레와 같은크기의 펀칭홀(54)을 형성시키며, 프레임(10)을 스터드핀(7)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후크스프링(8)중 상기 스터드핀(7)에 끼위지는 부위의 양면이 콘텍트 스프링(50)과 견고하게 걸림 및 접촉되도록 상기 펀칭홀(54)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엠보싱부(55)와 지지편(52) (53)을 각각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KR1019900012730A 1990-08-18 1990-08-18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KR92000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2730A KR920006231B1 (ko) 1990-08-18 1990-08-18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US07/745,347 US5218266A (en) 1990-08-18 1991-08-15 Color picture tube having residue electron removing assembly
JP3205854A JPH04233135A (ja) 1990-08-18 1991-08-16 残留電子除去装置
CN91105708A CN1036166C (zh) 1990-08-18 1991-08-17 带残余电子消除装置的彩色布朗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2730A KR920006231B1 (ko) 1990-08-18 1990-08-18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231A KR920005231A (ko) 1992-03-28
KR920006231B1 true KR920006231B1 (ko) 1992-08-01

Family

ID=1930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730A KR920006231B1 (ko) 1990-08-18 1990-08-18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18266A (ko)
JP (1) JPH04233135A (ko)
KR (1) KR920006231B1 (ko)
CN (1) CN103616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112Y1 (ko) * 1991-07-13 1996-11-22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336545B1 (ko) * 1993-07-02 2002-11-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차폐기-애노드코팅부접촉기를구비한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2695A1 (de) * 1976-05-21 1977-12-01 Licentia Gmbh Farbbildkathodenstrahlroehre
JPS57168452A (en) * 1981-04-10 1982-10-16 Hitachi Ltd Color cathode-ray tube
JPS6070640A (ja) * 1983-09-28 1985-04-22 Hitachi Ltd カラ−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
JPS61237339A (ja) * 1985-04-15 1986-10-22 Hitachi Ltd カラ−受像管
US4739215A (en) * 1986-12-30 1988-04-1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duction means for use in tension mask color cathode ray tubes
NL8701031A (nl) * 1987-05-01 1988-12-01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231A (ko) 1992-03-28
CN1059991A (zh) 1992-04-01
JPH04233135A (ja) 1992-08-21
CN1036166C (zh) 1997-10-15
US5218266A (en) 199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231B1 (ko) 칼라브라운관의 콘텍트 스프링 및 그 고정방법
MY1184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hadow mask.
JPS5857858B2 (ja) カラ−受像管
KR0123993Y1 (ko) 칼라브라운관의 클립겸용 콘택트스프링
KR0123995Y1 (ko) 칼라 브라운관의 후크스프링과 일체로된 콘택트 스프링
KR0157394B1 (ko) 칼라필터가 구비된 음극선관
KR100224740B1 (ko) 음극선관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KR0181741B1 (ko) 음극선관용 형광면 형성 방법
KR0139407B1 (ko) 칼라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결합방법
KR900002901B1 (ko) 컬러 수상관
KR0113524Y1 (ko) 음극선관의 스터드핀
KR200266305Y1 (ko) 음극선관용패널
JP3275071B2 (ja) 磁気遮蔽装置を備えた平面カラー陰極線管
KR100238164B1 (ko) 음극선관의 대전방지막과 방폭밴드의 접속용 테이프
KR10041803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GB2305775A (en) Cathode ray tube
KR100294495B1 (ko) 칼러 음극선관
KR100225432B1 (ko) 음양각 코팅 음극선관 판넬
KR100189418B1 (ko) 패널의 알루미늄막 증착방법
KR200162814Y1 (ko) 음극선관의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0228786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면
KR016601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2867Y1 (ko) 음극선관용 콘택트스프링
KR100258916B1 (ko) 칼라음극선관과 그 형광막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