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91Y1 - 건물의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91Y1
KR920005991Y1 KR2019880015949U KR880015949U KR920005991Y1 KR 920005991 Y1 KR920005991 Y1 KR 920005991Y1 KR 2019880015949 U KR2019880015949 U KR 2019880015949U KR 880015949 U KR880015949 U KR 880015949U KR 920005991 Y1 KR920005991 Y1 KR 920005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uilding
vehicle
seal devi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990U (ko
Inventor
이에노리 하마나
Original Assignee
미스즈 마시나리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사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2093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739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52094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7394U/ja
Application filed by 미스즈 마시나리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사브로오 filed Critical 미스즈 마시나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8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by applying over- or under-pressure, e.g.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물의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씰장치를 배치한 건물의 개방부 정면도.
제2도는 건물 개방부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포대체 일부를 절취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에 따르는 단면도.
본 고안은 공장·창고등 건물의 개방부를 규제하는 벽과 차량의 사이에 씰(seal) 작용을 시키기 위하여 상기건물에 배치되는 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장·창고등의 건물에 설치된 출입구와 같은 개방부를 규제하는 벽에는 이 벽과 차량의 사이에 씰작용을 하는 씰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종류의 씰장치의 하나로서 스폰지등의 탄성부재를 충진시킨 쿠숀부재를 건물의 개방부가 설치된 벽에 부착시킨 것이있다. 이 씰장치는 쿠숀부재에 차량의 콘테이너를 갖다 대는 것에 의하여 콘테이너와 건물의 사이를 막아주고, 그것에 의하여 건물 및 콘테이너 내부로 먼지의 침입이나,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 소위 항온창고내의 온도변화를 막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씰장치는 콘테이너의 후면을 쿠숀부재에 밀어부치는 것에 의하여 벽과 콘테이너의 사이의 간격을 막는 구조이기 때문에 쿠숀부재에 의하여 규제되는 공간부의 크기 및 형상에 맞는 크기 및 헝상의 콘테이너 이외의 콘테이너에는 적용할 수 없고 또 쿠숀부재를 차량에 의하여 손상시키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크기 및 형상을 달리하는 각종 콘테이너에 적용할수 있고, 그 사용수명이 긴 씰장치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건물의 개방부를 규제하는 벽과 차량의 사이에 씰작용을 하게 건물에 배치되는 씰장치는 공기에 의하여 팽창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포대체와 이 포대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포대체는 팽창 되었을때 그 선단부가 상기 차량의 측면에 접촉하게끔 차량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은 콘테이너의 화물을 적제 또는 내릴때 차량이 건물의 개방부까지 이동되고, 그 위치에 정차된다. 그 상태에서 공기공급원이 작동되어서 포대체가 팽창된다. 이것에 의하여 포대체의 선단부가 콘테이너의 측면에 밀어부쳐지기 때문에 건물의 벽과 콘테이너 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은 포대체에 의하여 봉쇄된다.
이것에 대하여 공기공급원이 역전 또는 정지되면 포대체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가기 때문에 포대체는 수측되고, 콘테이너에서 떨어진다. 이때 차량은 출발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포대체를 팽창시켜서 포대체의 선단부를 콘테이너의 측면에 밀어부치는 것에 의하여 건물의 벽과 콘테이너 측면의 사이에 생긴 공간을 봉쇄하기 때문에 크기 및 형상이 다른 각종 콘테이너에 적용할수 있다. 또 차량이 출발할때는 포대체가 수축하여 콘테이너로 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포대체는 차량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한쌍의 포대체를 차량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둔 건물부위에 상기 포대체의 선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의하여 콘테이너 폭방향의 양측 공간을 확실히 봉쇄할수가 있다.
또한 포대체를 수축시키게끔 이 포대체의 작용하는 가세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포대체가 강제적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 또는 적하가 끝난 차량이 대기시간을 단축할수가 있고 또 포대체를 콘테이너에서 확실히 떨어지게 할 수 있다.
가세수단으로서는 포대체를 수축시키는 힘을 포대체에 항시 작용시키는 수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가세수단을 사용하면 송풍기를 역전 또는 정지시키는 것만으로서도 포대체가 즉시 수축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또는 적하가 끝난 차량이 대기시간이 더욱 짧아진다. 또 이 가세수단은 벽측에 부착시킨 활차와 이 활차에 걸어준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부착시킨 추(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와이어의 타단부는 포대체의 선단부측에 연결된다.
포대체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게끔 여러개의 씰부재를 봉합하여된 신축가능한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백으로서,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백과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게끔 배치시킨 배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배면판을 이용 그 포대체를 건물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에어백식 씰장치(10)는 보냉창고와 같은 건물(12)의 개방부(14)가 설치된 외벽(16)에 배치된다. 외벽(16)에는 개방부(14)를 규제하게 외벽(16)보다 앞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벽부(18)를 구비한다. 이 돌출벽부(18)의 선단부 내측에는 상기 개방부(14)의 양측높이와 같이 세워지는 한쌍의 프레임(20)이 부착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22)에 화물을 적재 또는 적하하기 위한 플랫폼(24)의 선단에는 고무제 차량정지판(26)이 설치되어있다.
씰장치(10)는 개방부(14)의 양돌출벽(18) 내측에 세워진 프레임(20)에 부착시킨 신축가능한 에어백(32), 즉 한쌍의 포대체(28)와 이 포대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원인 정압송풍식의 송풍기(30)를 포함한다.
포대체(28)는 상하방향으로 길고, 측방향으로 벌어지는 신축가능한 백(32)과 이 백(32)의 일축 개구부(32a)가 폐쇄되게 고정시킨 배면판(34)을 포함한다. 또 백(32)은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서로를 봉합시킨 여러개의 씨이트 부재(36)로 된다. 포대체의 내부공간은 각각 인접하는 씨이트 부재(36)에 봉착된 여러개의 네트부재(38)에 의하여 백(32)의 신축방향으로 구획시킨 여러개의 공기실(40)로 분할되어 있다.
씨이트 부재(36)로서는 나일론의 생지에 러버코오팅을 한 포지가 적합하나, 가요성과 기밀성을 가지는 씨이트형상의 것이라면 된다. 배면판(34)은 도면의 예시에서는 목재이나, 단열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라도 좋다. 또 네트부재(38)로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대체(28)의 부착은 제1도 및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건물(12)의 개방부(14)를 규제하는 외벽(16)에 설치한 양돌출벽(18) 내측에 착설한 양 프레임(20)의 내측면(20a)에 부착한 배면판(34), 즉 포대체(28)의 선단면(28a)이 서로 대향하게끔 그리고 건물의 외벽(16)과 평행한 곳에서 상기 선단면(28a)이 서로 펼쳐졌다 떨어지는 방향으로 신축되게 상기 배면판(34)에 부착된다.
송풍기(30)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그 부착부(42)에서 건물(12)의 부착벽(44)에 고정되어 있다. 송풍기(30)의 송풍구(46)는 각 포대체(28)의 상부에 설치된 급배출구(48)에 파이프(50)로 연통시키고 있다.
개방부(14)의 상부에는 그 상부를 폐쇄하는 막, 즉 씨이트(52)와 씨이트(52)의 권출기구(54)가 배치되어 있다. 씨이트(52)는 권출기구(54)에 의하여 건물(12)의 외벽(16)과 평행한 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권출기구(54)는 씨이트(52)의 일단부를 감아올릴수 있게 개방부(1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샤프트(56)와 이 샤프트(56)를 회전시키는 모터(58)를 포함한다.
권출기구(54)는 샤프트(56)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또 씨이트(52)의 상단부를 부착벽(4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권출 기구(54)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씰장치(10)는 포대체(28)를 강제적으로 수축시키는 여러개의 가세기구(60)를 포대(28)마다 구비시키는 것이좋다. 가세기구(60)는 도시한 예에서는 포대체(28)의 전면측과 배면측의 상부, 중앙부,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세기구(60)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프레임(20)의 측면에 지승시킨 활차(62)와 이 활차에 걸어준 와이어(64)와 이 와이어의 일단측에 부착시킨 추(66)을 포함한다.
포대체(28)의 전면 일측에 배치된 각 가세기구(60)의 활차(62)는 그 축이 프레임(20)의 전면(20b)에 이것과 직각이 되게 부착시키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포대체(28)의 배면측에 배치된 각 가세기구(60)의 활차(62)는그 축이 프레임(20)의 배면(20c)에 직각이 되게 부착시키고 있다.
각 와이어(64)의 타단은 포대체(28)의 선단부근 측면(28b)에 부착된 금구(68)에 걸려있다. 각 추(66)의 중량은 씰장치(10)의 수축동작에 지장이 없는 무게로 선택되어 있다.
화물의 적제 또는 적하시 차량(22)은 콘테이너(70)의 백도어(72)가 건물(12)의 개방부(14)에 가까워지고 또 콘테이너(70)의 측면이 포대체(28)의 선단면(28b)과 대면할때까지 후진되어 그 위치에 정차된다.
이 상태에서 송풍기(30)가 동작된다. 송풍기(30)의 송풍압은 가세기구(60)에 의해 포대체(28)에 가해지는 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대체(28)가 가세기구(60)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팽창되고, 포대체(28)의 선단면(28b)의 콘테이너(70)의 측면에 압착된다. 이 결과 포대체(28)의 선단면(28b)이 콘테이너(70)의 측면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건물(12)의 외벽과 콘테이너(70)의 측면사이에 공간이 포대체(28)에 의하여 확실히 봉쇄된다.
차량(22)을 발진시킬때에는 송풍기(30)를 역전 또는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포대체(28)의 선단면(28a)측이 가세기구(60)에 의하여 뒷쪽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포대체(28)내의 공기는 파이프(50) 및 송풍기(30)측으로 움직여지고, 포대체(28) 내부의 공기가 빠진다. 이와같이 포대체(28)는 급속하게 수축하고, 포대체(28)의 선단면(28b)은 콘테이너(70)에서 확실히 떨어진다.
포대체(28)를 좀더 급속하게 수축시킬때와 가세기구(60)를 설치하지 않을때 또는 송풍기(30)를 역전시키지않을 때에는 포대체(28)의 하부에 공기인출용 구멍을 설치하면 좋다.
씨이트(52)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포대체(28)와 같은 에어백, 즉 포대체(28)를 사용할수 있다. 이 포대체(28)는 상하방향으로 수축할수 있게 부착벽(44)에 부착되고, 송풍기(3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팽창되어 하단면 이 콘테이너(70)의 상면에 압착되는 것에 의하여 개방부(14)의 상부를 폐쇄한다. 이와같은 포대체(28)를 사용하는 때에도 포대체를 강재적으로 수축할 수 있게 앞에서와 같은 수의 가세기구(60)를 설치하는것이 좋다.

Claims (6)

  1. 건물(12)의 개방부(14)를 규제하는 돌출벽(18)과 차량(22)의 사이를 밀봉하게 건물에 배치되는 씰장치에 있어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가능한 포대체(28)와 이 포대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원(30)을 포함하고, 상기 포대체는 팽창되었을때 선단부(28a)가 상기 차량의 측면에 접촉되게끔 차량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에어 백식도어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한쌍의 상기 포대체(28)를 포함하고, 이 포대체는 차량(22)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생긴 간격에 놓여진 건물(12)의 부위에 상기 포대체의 선단부(28a)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포대체(28)를 수축시키게끔 이 포대체에 작용하는 가세장치(60)를 포함하는 에어백식도어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세장치(60)는 포대체(28)를 수축시키는 힘을 상기 포체에 항시 작용시키는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가세장치(60)는 돌출벽(8)내측의 프레임(20)에 부착된 활자(62)와 이 활차에 겉은 와이어(64)와 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부착시킨 추(66)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는 포대체의 선단부(28a)측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포대체(28)는 내부공간(40)을 형성하게 끔 여러개의 씨이드트부재(36)를 봉합하여 신축가능하며,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벽(32)으로서 일측에 개구부(32a)를 가진 백(32)과 상기 개구부(32a)를 폐쇄하게 끔 배치시킨 배면판(34)을 포함하는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KR2019880015949U 1987-10-02 1988-09-30 건물의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KR9200059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152094 1987-10-02
JP15209387U JPS6457393U (ko) 1987-10-02 1987-10-02
JP15209487U JPS6457394U (ko) 1987-10-02 1987-10-02
JP87-152093 1987-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990U KR890008990U (ko) 1989-05-29
KR920005991Y1 true KR920005991Y1 (ko) 1992-08-27

Family

ID=2648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949U KR920005991Y1 (ko) 1987-10-02 1988-09-30 건물의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364A (zh) * 2019-10-25 2020-03-24 浙江大学山东工业技术研究院 一种气囊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990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3969A (en) Inflatable seal
US5641076A (en) Storage rack for glass sheets
CA2035373C (en) Bulk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US3303615A (en) Inflatable dock seal
US3868042A (en) Bulk cargo handling system
US4422199A (en) Dockboard seal
US3714745A (en) Inflatable dock seal
US5059084A (en) Vacuum apparatus for installing a water proof liner
EP0415719A1 (en) Method for securing a water proof liner to the walls of a container
KR940703959A (ko) 팽창가능한 백을 사용한 도크 레벨링 장치(Pock Leveler Incorporationg an Inflatable Bag)
GB2204083A (en) Dock seal
US4015380A (en) Truck loading dock seal
US3391502A (en) Dock seal
US5333424A (en) Loading dock door seal extender
KR920005991Y1 (ko) 건물의 에어백식 도어씰장치
MXPA01005979A (es) Aparato para almacenar y transportar articulos planos.
JPH08112040A (ja) 農用樹脂膜被覆装置及び農用ソーラハウス
US4205461A (en) Sealing device
CA1066013A (en) Self-adjusting breather bag
JPH0633327Y2 (ja) ドックシェルタ
KR920005992Y1 (ko) 건물의 하역용 공간부를 위한 시일장치
JP2002054874A (ja) ドックシェルター
JP2001163453A (ja) ドックシェルタ
JPS63151782A (ja) エア−クツシヨンドツクシエルタ
JP3657292B2 (ja) 荷崩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