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06Y1 -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 Google Patents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06Y1
KR920005706Y1 KR2019900006076U KR900006076U KR920005706Y1 KR 920005706 Y1 KR920005706 Y1 KR 920005706Y1 KR 2019900006076 U KR2019900006076 U KR 2019900006076U KR 900006076 U KR900006076 U KR 900006076U KR 920005706 Y1 KR920005706 Y1 KR 920005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lide core
reflector
rub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784U (ko
Inventor
서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706Y1/ko
Publication of KR910020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제1도는 종래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측면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를 절단한 리플렉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를 절단한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C-C'를 절단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분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동작 상태도.
본 고안은 시소(Seesaw)형 기능 노브(Knob)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 및 리플렉터(Ref1ector)를 포함한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에 있어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그 작동에 있어서, 노브(1)의 동작시증축(a)을 중심으로하여 원운동한다. 그로인하여 접촉돌출부(9)의 어느 한쪽이 전도성 접점물(도시하지 않았음)이 부착된 러버(Rubber)(4)를 눌러주므로써 인쇄회로기판(Printer Circuit Board : 이하 PCB라 칭함)(3)에 접촉하게 되어 작동의 목적을 이룬다.
상기 작동에 있어서, 종래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 바, 상기 문제점은 노브(1)의 원운동으로 인하여 접촉돌출부(9)가 전도성 접점물이 부착된 러버(4)를 누름에 있어 접촉면(접촉돌출부와 러버 접촉면)이 경사를 이루면서 동작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를 이루는 동작요소로 인하여 접촉불량, 즉 전도성 접점물이 부작된 러버(4)와 PCB(3)의 접촉성이 나빠져서 오동작 및 접촉감각의 불량으로 기존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설명하지 않은 부호(2)는 덮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브의 원운동으로 인하여 접촉돌부가 경사지게 동작하더라도 항상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인 슬라이드 코어 및 리플렉터를 접촉돌부와 러버 사이에 장작하므로써. 접촉성이 양호한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는 기본적으로 중축과 접촉돌출부를 포함한 노브, 전도성 접점물(도시하지 않았음)이 부착된 러버, 상기 러버에 인접한 PCB 및 전체의 윤곽을 형성하는 덮개와 프레임 섀시(Frame Chassis)로 구성하되, 상기 노브에 포함된 접촉돌출부와 러버 사이에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 및 리플렉터(Reflector)를 장착, 즉 상기 노브의 원운동으로 인한 상기 접촉돌출부의 경사동작요인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도성 접점물이 부착된 러버를 PCB상에 정확히 접촉시키는 슬라이드 코어 및 걸림턱 구조를 형성한 리플렉터(슬라이드 코어와 리플렉터 사이에 코어 안내부를 형성함)을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그 구성에 있어서, 중축(a') 및 접촉돌출부(9')를 포함한 중축(a')을 중심으로하여 원운동을 하는 노브(1'), 상기 노보(1')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슬라이드 코어(5), 상기 슬라이드 코어(5)의 직선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보조하는 걸림턱(10) 구조를 형성한 리플렉터(7), 상기 슬라이도 코어(5)와 리플렉터(7') 사이에 미소한 틈으로 형성된 코어 안내부(6), 전도성 접점물(도시하지 않았음)이 부착된 러버(4), 상기 러버(4)에 인접한 PCB(3) 및 전체 형상을 이루는 덮개(2)와 프레임 섀시(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하지 않은 부호(11)는 푸쉬 노브(Push Knob)이다.
상술한 제2도를 제3-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제2도의 A-A'를 절단한 단면도로써, 전면을 이루는 리플렉터(7)에 슬라이드 코어(5), 코어 안내부(6) 및 중축(a')의 위치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B-B'를 절단하여 리플렉터(7) 내부의 중축(a')을 도시했고, 제5도는 제3도의 C-C'를 절단하여 리플렉터(7) 내부의 슬라이드 코어(5), 코어 안내부(6) 및 걸림턱(10)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에 따른 슬라이드코어(5)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분해도로써, 각각의 부분품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바, 조립공정시 도시한 배열대로 인접시켜 접합시키면 본 고안의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가 된다.
상기 제7도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12)는 나사이고, 나머지 부호는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의 부호와 동일하다.
제8도는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써, 노브(1')가 중축(a')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 궤적을 그리며 작동하는 바, 이때 노브(1')의 접촉돌출부(9')는 슬라이드 코어(5)에 경사를 이루면서 동작을 하지만, 슬라이드 코어(5)는 리플렉터(7)의 보조를 받으며 리플렉터(7)에 형성된 걸림턱(l0)까지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직선운동으로 인하여 전도성 접점물(도시하지 않았음)이 부차된 러버(4)가 PCB(3)상에 정화하게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시소식 기능 노브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종래의 PCB상의 접점 불량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카 오디오(Car Audio) 및 시소형 기능 노보장치를 사용하는 모든전기, 전자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중축(a') 및 접촉돌출부(9')를 포함한 중축(a')을 중심으로하여 원운동하는 노브(1'), 전도성 접접물(도시하지 않았음)이 부착된 러버(4), 상기 러버(4)에 인접한 PCB(3) 및 전체 형상을 이루는 덮개(2)와 프레임 섀시(8)로 구성하되, 상기 노브(1')와 전도성 접점물이 부착된 러버(4) 사이에 상기 노브(1')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슬라이드 코어(5)와, 상기 슬라이도 코어(5)의 직선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보조하는 걸림턱(10) 구조를 형성한 리플렉터(7)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5)와 리플렉터(7)사이에 미소한 틈으로 형성된 코어 안내부(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KR2019900006076U 1990-05-10 1990-05-10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KR920005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076U KR920005706Y1 (ko) 1990-05-10 1990-05-10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076U KR920005706Y1 (ko) 1990-05-10 1990-05-10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84U KR910020784U (ko) 1991-12-20
KR920005706Y1 true KR920005706Y1 (ko) 1992-08-20

Family

ID=1929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076U KR920005706Y1 (ko) 1990-05-10 1990-05-10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84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0955A (en) Computer keyboard with cantilever switch design and improved PCB/switch membrane interface
US6218635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device
KR20010030452A (ko) 가압·회전 조작형 전자부품
KR920005706Y1 (ko) 시소형 기능 노브장치
JPH08129925A (ja) 防水スイッチ
US6756556B2 (en) Oscillating switch
JPS5915368Y2 (ja) 押釦スイツチ
JPH0231706Y2 (ko)
JP2550823Y2 (ja) スイッチ装置
KR940001629Y1 (ko) 캠코더의 줌 스타트/스톱 스위치장치
JP2590764Y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H09147652A (ja) 摺動スイッチの接点構造
JPH0755783Y2 (ja) 小形電気機器
JP2886744B2 (ja) 押しボタン構造
KR910009200Y1 (ko) 전자악기의 이중접점장치
JPH0414822Y2 (ko)
KR890000348Y1 (ko) 슬라이드 조작형 전기부품
KR0119412Y1 (ko) 카스테레오의 텍트스위치 작동구조
KR940003278Y1 (ko) 텍트(tact)스위치의 작동구조
JP3796814B2 (ja) シーソー型スイッチ機構
JPH07262872A (ja) 押圧スイッチ
KR930007825Y1 (ko) 전기, 전자제품의 택트버튼 작동구조
JPH0241597Y2 (ko)
JPH0143779Y2 (ko)
JPS63369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