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633Y1 -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633Y1
KR920005633Y1 KR2019900014492U KR900014492U KR920005633Y1 KR 920005633 Y1 KR920005633 Y1 KR 920005633Y1 KR 2019900014492 U KR2019900014492 U KR 2019900014492U KR 900014492 U KR900014492 U KR 900014492U KR 920005633 Y1 KR920005633 Y1 KR 920005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panel
holding member
members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096U (ko
Inventor
안세흥
Original Assignee
안세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세흥 filed Critical 안세흥
Priority to KR2019900014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633Y1/ko
Priority to CN91100407A priority patent/CN1029253C/zh
Priority to US07/682,576 priority patent/US5102027A/en
Publication of KR920006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8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hree-dimensional form by connecting wire networks, e.g. by projecting wires through an insulat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reinforc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제조된 패널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보인 제조장치 중 상, 하부 와이어메쉬 및 단열심재를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4a도는 제3도에서 보인 컨베이어 중 패널의 모서리부분에서 상부 와이어메쉬 및 단열심재와 하부 와이어메쉬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시켜주는 스페이서 앵글의 사시도.
제4b도는 제3도에서 보인 컨베이어 중 패널의 중간부분에서 상부 와이어메쉬 및 단열심재와 하부 와이어메쉬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시켜 주는 스페이서앵글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장치 중 상부 와이어메쉬 및 단열심재와 하부 와이어메쉬를 관통하는 지주부재들의 급송 및 삽통부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에서 보인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송된 상부 와이어메쉬 및 단열심재와 하부 와이어메쉬에 제5도에서 보인 지주부재돌의 급송 및 삽통부로 지주부재를 삽통하는 상태를 예시한 부분절단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장치 중 하부 와이어메쉬와 지주부재를 용접하는 하부 용접부의 부분절단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 장치 중 상부 와이어메쉬와 지주부재를 용접하는 상부 용접부의 부분절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베이어 200 : 패널예비조립체
300 : 제1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
400 :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
500 : 하부용접부 600 : 상부용접부
본 고안은 와이어 또는 가늘은 봉으로 만들어지며,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보는 상, 하부 와이어메쉬사이에 평판상의 단열심재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메쉬들과 단열심재의 내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방향으로 가로지로는 지주부재들을 스포트용접하여서된 3차원적인 건축용 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 발포체 및 프라스틱 팽창물을 비롯한 경량 프라스틱재료는 건축물의 벽이나 지붕에서 요구되는 특성, 즉 가벼우면서도 극히 낮은 열전도율, 내마도성, 불투수성 및 방음성등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반면에 구조적 강도가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강도를 갖는 보강용골격과 결합시켜서 건축용 패널로 사용해 왔었다.
그 예로서는 와이스만의 미합중국특허 제3,305,991호 및 제3,515,131호와 제4,226,067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미합중국특허 제3,305,991호에는 입체골조를 따로 제조한 다음 성형틀에 물을 붓고 입체골조를 성형틀내에 담겨진 액체내로, 골조의 아래면과 형성시킬 폼의 아래면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생기도록 침수시키고, 이어서 물의 표면에 막 형성용 액체를 약간 부어서 막을 형성시킨 다음 액체폼 물질을 그 위에 부어서 경화시키도록 하는 보강된 건축용 발포 모듈 패널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고, 미합중국특허 제3,515,131호에는 이러한 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미합중국특허 제4,226,067호에는 트러스 모양의 좌,우2개의 측면골조사이에 프라스틱폼을 끼우고 이들을 여러개 횡방향으로 밀착되게 조립시킨 다음 측면골조들의 상부와 하부를 횡방향 와이어로 스포트용접시켜서 한 몸체로 고정하는 보강용 충전제를 사용한 조립식 패널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특허 제3,305,991호에 제시된 방법은 입체형골조를 제조하기 위한 고가이면서도 특수한 제조장치, 즉 미합중국특허 제13,515,131호에 제시된 제조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막대한 설비투자를 하여야만 하고, 또 성형틀 내에서 일일히 폼을 성형시켜야만 하므로 폼 패널을 기계적으로 양산할 수 없었고 발포된 폼과 입체골조의 외측표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폼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되며 그 위치도 부정확하게 되어 폼이 실제적으로 입체골조의 외부요소와 여러곳에서 접촉하여 시멘트몰탈로 마감처리한 때에 입체골조의 외부를 완전히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특허 제4,226,067호에 개시된 패널은 다수의 측방향으로 인접된 긴 충전요소인 단열심재들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기 마련이므로 단열 및 방음특성이 감소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자의 대한민국 특허 제21625호로 제시된 건축용 단열판재의 제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자의 대한민국 특허 제21625호에 제시된 제조장치는 판상의 단열심재를 사이에 두고 그 상, 하부에 단열심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 하부 와이어메쉬를 지그(jig)내부에 고정시킨 다음, 지그를 간헐적으로 일정거리 만큼씩 이동하면서 지그에 고정된 상, 하부 와이어메쉬와 단열심재에 지주부재를 이루는 와이어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경사지게 앤드리스로 공급, 삽통, 절단하고, 절단된 지주부재와 상, 하부 와이어메쉬의 접촉부위를 스포트용접하여서 3차원적인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것이었다.
패널은 통상적으로 1.22m(4피트)의 폭과 2.44∼4.27m(8∼14 피트)의 길이로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가 커서 많은량의 패널을 원거기로 운송하는 것보다 패널의 최종 수요지와 인접한 장소에서 공급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 제21625호에 기술된 제조장치는 단열성과 방음효과가 우수한 판상의 단열심재를 사이에 가진 패널을 자동적으로 연속하여 양산해 낼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지주부재를 이루는 와이어를 공급, 삽통, 절단시켜주는 수단들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에너지의 소모가 크며,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와 구성부품의 갯수가 많아서 제조장치를 패널의 최종 수요지와 인접한 장소로 운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지그에 상, 하부 와이어메쉬의 판상의 단열심재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조립하는 공정이 번잡하여서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 제조장치는 상기 본 고안자의 대한민국 특허 제21625호로 제시된 제조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컨베이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 스페이서 앵글로 판상의 단열심재와 2매의 상, 하부와이어메쉬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적층된 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단열심재와 와이어메쉬들을 간헐적으로 일정거리만큼씩 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상태로 투입되는 지주 부재용 와이어를, 로터리식 배출드럼을 가진 통상의 공급기와, 플런저(plunger)를 가진 삽통기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이동되는 상, 하부 와이어메쉬 및 판상의 단열심재에 삽입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제조장치로 만들어진 패널(10)은 3차원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패널(10)은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 발포체로 된 판상의 단열심재(12)를 사이에 두고, 그 상, 하부에 종방향 와이어(14) 및 힁방향 와이어(16)가 일정한간격으로 배열된 상부 와이어메쉬(18)와 종방향 와이어(20) 및 횡방향 와이어(2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하부 와이어메쉬(24)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와이어메쉬(18)및 단열심재(12)와 하부 와이어메쉬(24)에는 지주부재들이 각기 방향을 달리하면서 삽통되어 있다.
지주부재들은 경사방향에 의하여 제1지주부재(26)와 제2지주부재(28)로 구분되며, 제1 및 제2지주부재(26),(28)돌의 양 끝부분은 상,하부 와이어메쉬(18),(24)들의 종방향 와이어(14),(20)와 스포트용접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는 상부 와이어메쉬 및 단열심재와 하부 와이어메쉬가 소정의 간격으로 적층되는 패널에 조립체(200)를, 동일한 경사각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 제1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300)와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400)를 향하여 간헐적으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 제1 및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300), (400)의 아래에는 하부용접부(5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400)의 일측에는 상부용접부(600)가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100)는 통상의 체인식으로 된 것인바, 구동 스프로켓휘일(102)과 아이들러 스프로켓휘일(104)과의 사이에는 구동체인(106)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체인(106)은 스탭핑모터(108)와 전동체인(110)에 의해서 구동된다. 제3도에는 컨베이어(100)의 구체적인 한 실시예가 표현되어 있다.
구동체인(106)은 1조의 동기체인(Synchronous chain)으로 되어 있고, 구동체인(106)에는 제조되는 패널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모서리용 스페이서앵글(112)이 부착되어 있으며, 모서리용 스페이서앵글들 사이에는 중간용 스페이서앵글(114)이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는 모서리용 스페이서앵글(112) 및 중간용 스페이서앵글(114)의 구조가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모서리용 스페이서앵글(112)의 수직판부(116)에는 하부 와이어메쉬(24)가 지지되는 돌기(118) 및 관상의 단열심재(12)가 지지되는 돌기(120)와 상부 와이어메쉬(18)가 지지되는 돌기(122)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있고, 수평판부(124)에는 제3도에서 보인 구동체인(106)중 외측링크부재(126)의 수평으로 젖혀진 부분(128)에 뚫려진 구멍(표현이 생략되었음)과 맞닿는 구멍(130)이 뚫려 있다.
모서리용 스페이서앵글(112)의 수직판부(116)에는 패널예비조립체(200)의 네모서리를 감쌀 수 있는 형태의 수직벽(132)이 연장되어 있다.
중간용 스페이서앵글(114)의 구조는 상기 모서리용 스페이서앵글(112)과 비교할 때 수직판부(116)로 부터 연장된 수직벽(132)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스페이서앵글(112),(114)에 있어서 돌기(118),(120),(l22)들의 간격은 제조되는 패널의 두께가 용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단열심재의 두께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돌기(118),(120),(122)들의 간격 또한 변화되어야만 하므로 스페이서앵글(112),(114)들은 구동체인(106)과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스페이서앵글(112),(114)들의 수평판부(124)와, 구동체인(106)에서 외측 링크부재 (126)의 수평으로 젖혀진 부분(128)과의 부착은 도면에서 표현이 생략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돌기(118),(120).(122)들의 간격이 다른 여벌의 스페이서앵글들을 구동체인(106)에 호환성있게 부착시킬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스페이서앵글들에 돌기(118),(120),(122)들의 간격을 자체적으로 가변시켜 줄 수 있는 구조의 것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구동체인(106)에 스페이서앵글들을 교체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제1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300)와 제2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400)는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일한 경사각도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메인프레임(700)에 설치되어 있다.
제1,2 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300),(400)는 아래부분이 메인프레임(700)에 지지축(704)과 베어링(706)으로 설치되는 아암(702)에 지지되어 있고, 아암(702)의 윗부분에는 유압실린더(708)로부터 신장되는 피스턴로드(710)의 한쪽 끝이 핀(712)으로 피봇팅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708)는 메인프레임(700)위에 핀(714)으로 고정되어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됨).
제1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300)와 제2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400)의 구조는 설치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것으로서, 이하 제1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30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제1지주부재의 급송 및 삽통부(300)는 다수개의 급송기(302)와 삽통기(304)로 이루어져 있다.
급송기(302)와 삽통기(304)는 제2도에서 보인 아암(702)내에 고정된 기판(716)위에 설치되어 있다.
급송기(302)는 소정의 길이로 미리 절단된 제1지주부재(26)가 담겨지는 호퍼(306)로 부터 제1지주부재(26)를 한개씩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아래쪽을 향하여서 배출시켜주는 배출드럼(308)을 포함하고 있다.
배출드럼(308)들의 회전축(310)의 한쪽 끝에는 베벨기어(312)가 고정되어 있고, 이 베벨기어(312)는 제2도에서 보인 아암(702)에 고청된 스탭핑모터(718)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축(720)에 고정된 베벨기어(314)와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호퍼(306)의 경사진 벽의 일부에는 움직일 수 있도록 된 진동판(3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진동판(316)은 진동기(318)에 의해서 진동되어 제1지주부재(26)들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삽통기(304)는 기판(716)위에 고정된 관체(320)와 에어실린더(322)를 포함하고 있다.
관체(320)는 제1지주부재(26)의 굵기보다 약간 큰 직경의 구멍(324)을 갖고 있으며, 이 구멍(324)의 한쪽으로는 에어실린더(322)의 피스턴과 연결된 플런저(326)가 끼워져 있고, 플런저(326)의 선단부에는 제1지주부재(26)가 자중에 의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자성을 자는 팁(tip)(328)이 고정되어 있다.
관체(320)의 선단부에는 구멍(324)을 개폐시켜주는 문(330)이 핀(332)으로 피봇팅되어 있고, 문(330)의 윗부분에는 압축코일스프링(334)의 한쪽끝이 지지되어 있으며, 압축코일스프링(334)의 다른 한쪽 끝은 관체(320)에 고정된 돌기(336)에 지지되어 있다.
급송기(302)와 삽통기(304)는 슈트(338)로 연결되어 있으며, 슈트(338)의 윗부분은 배출드럼(308)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배출구(340)와 맞닿아 있고, 슈트(338)의 아래부분은 관체(320)의 중간부위 상부에 형성된 슬로트(342)와 맞닿아 있다.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급송기(302) 및 슈트(338)와 관체(320)의 슬로트(342)를 통해 관체(320)내로 투입된 제1지주부재(26)는 에어실린더(322)로 부터 신장되는 플런저(326)의 선단부에 고정된 자성체인 팁(328)에 의해서 압축코일스프링(334)의 탄성으로 구멍(324)을 폐쇄하고 있던 문(330)을 밀어젖히면서 컨베이어(100)에 의해서 이송된 패널예비조립체(200)의 상부 와이어메쉬(18) 및 단열심재(12)와 하부 와이어메쉬(24)에 끼워진다.
제7도에는 제1지주부재(26)와 하부 와이어메쉬(24)의 종방향 와이어(20)를 스포트용접하는 하부용접부(500)의 구조와 작동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작동판(502)의 양쪽 끝부분은 양측의 지지프래임(504)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506)내에 끼워져 있고, 작동판(502)의 양측 아래에는 에어실린더(508)의 피스터로드(510)가 고정되어 있으며, 에어실린더(508)는 양측의 지지프래임(504)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판(502)의 한면에는 제5도에서 보인 삽통기(304)들의 설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스포트용접기(512)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포트용접기(510)는 솔레노이드(514)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8도에는 제2도에서 보인 패널예비조립체(200)가 제1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300)와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400)를 지나면서 제1및 제2지주부재(26),(28)가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와이어메쉬(18)의 종방향와이어(20)와 제1및 제2지주부재(26),(28)들을 스포트용접하는 상부용접부(600)의 구조와 작동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작동판(602)의 양쪽 끝부분은 양측의 지지프레임(604)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606)내에 끼워져 있고, 작동판(502)의 양측 위에는 에어실린더(608)의 피스터로드(610)가 고정되어 있으며, 에어실린더(610)는 양측의 지지프레임(604)의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판(602)의 양면에는 제2도에 보인 제1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300)와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400)들이 갖고 있는 삽통기들을 겹쳐 놓았을 때의 간격,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2지주부재(26),(28)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스포트용접기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작동판(602)의 한면에는 제1지주부재(26)와 상부 와이어메쉬(18)의 종방향 와이어(20)를 용접하는 스포트용접기(612)가, 다른 한면에는 제2지주부재(28)와 상부 와이어메쉬(18)의 종방향 와이어(20)를 용접하는 스포트용접기(6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포트용접기(612),(614)는 솔레노이드(618)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포트용접기(512),(612),(614)의 작동수단은 도면에서 예시한 솔레노이드(514),(618)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형의 에어실린더로 대체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탭핑모터(108)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1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 스페이서앵글(112),(114)들에 하부 와이어메쉬(24) 및 단열심재(12)와 상부 와이어메쉬(18)를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시켜서 된 패널예비조립체(200)를 이송하고, 제1및 제2지주부재의 급송부 및 삽통부(300),(400)를 통해 소정의 길이로 미리 절단된 재1 및 제2지주부재(26),(28)를 상기 패널예비조립체(200)에 삽입시키고, 하부 및 상부용접부(500),(600)에서 상, 하부 와이어메쉬(18),(24)의 종방향 와이어(14),(20)와 제1 및 제2지주부재(26),(28)들을 스포트용접하여 제1도에서 보인 패널(10)을 제조하는 것인바, 패널에 비조립체(200)를 컨베이어(100)상에서 바로 만들어 줄 수 있고, 제1및 제2지주부재(26),(28)를 미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패널예비조립체(200)에 지주부재돌(26)(28)을 삽입하는 수단들의 구조를 단순화시켜줌과 아울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지주부재돌(26),(28)의 삽입공정을 간략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와 중량을 대폭 감소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최종수요지와 인접한 장소로 운반하여 설치하기가 편리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판상의 단열심재를 사이에 두고 그 상, 하부에서 단열심재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상, 하부 와이어메쉬에 제1 및 제2지주부재들을 측면상 경사방향으로 엇갈리게 삽입하고 제1및 제2지주부재들과 상, 하부 와이어메쉬의 종반향 와이어들과의 접촉부위를 스포트용접하여 3차원적인 건축용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탭핑모터(108)에 의해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100)가 하부 와이어메쉬(24) 및 판상의 단열심재(12)와 상부 와이어메쉬(18)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고정시키서 패널예비조립체(200)를 만들 수 있는 스페이서앵글(112),(114)를 갖고 있으며, 메임프레임(700)에서 동일한 경사각도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아암(702)에 고정된 기판(716)위에 제1 및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300),(400)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제1및 제2지주부재 급송 및 삽통부(300),(400)가 소정의 길이로 미리 절단된 제1 및 제2지주부재(26),(28)들을 한개씩 배출시켜주는 호퍼(306)와 배출드럼(308)을 포함하는 급송기(302)와, 상기 지주부재돌(26),(28)의 굵기보다 약간 큰 직경의 구멍(324)을 가진 관체(330) 및 플런저(326)를 가진 에어실린더(322)를 포함하는 삽통기(30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삽통기(304)의 플런저(326) 선단부에 자성체인 팁(38)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패널(Panel)이 제조장치.
KR2019900014492U 1990-09-20 1990-09-20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KR920005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492U KR920005633Y1 (ko) 1990-09-20 1990-09-20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CN91100407A CN1029253C (zh) 1990-09-20 1991-01-24 制造建筑用构件板的机械
US07/682,576 US5102027A (en) 1990-09-20 1991-04-08 Machine for manufacturing construction pa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492U KR920005633Y1 (ko) 1990-09-20 1990-09-20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096U KR920006096U (ko) 1992-04-21
KR920005633Y1 true KR920005633Y1 (ko) 1992-08-18

Family

ID=1930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492U KR920005633Y1 (ko) 1990-09-20 1990-09-20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02027A (ko)
KR (1) KR920005633Y1 (ko)
CN (1) CN10292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133B1 (ko) * 1992-07-22 1994-10-22 안세홍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KR950009438Y1 (ko) * 1993-03-06 1995-10-31 안세홍 건축용 패널(Panel)의 지주부재 급송장치
AT405621B (de) 1994-07-28 1999-10-25 Evg Entwicklung Verwert Ges Anlage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bauelementen
GR960100210A (el) * 1996-06-21 1998-02-27 Μηχανη κατασκευης οικοδομικου στοιχειου δυο μεταλλικων πλεγματων με ενδιαμεση θερμομονωτικη πλακα.
ITPS20050015A1 (it) * 2005-06-15 2006-12-16 Angelo Candiracci Macchina automatica semplificata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edili prefabbricati in sandwich di reti metalliche e materiale plastico espanso
KR100771248B1 (ko) * 2007-03-30 2007-10-29 이귀복 건물용 조립 유닛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10981149B2 (en) 2019-03-18 2021-04-20 Uop Llc Dehydrogenation catalyst with optimum modifier profile index
ES2942221A1 (es) * 2021-11-30 2023-05-30 Xpanel Building Tech Europe S L Maquina ensambladora automatica de paneles espaciales con conectores inclinados bidirecciona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2886B (de) * 1981-05-14 1983-11-25 Evg Entwicklung Verwert 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geschweisster gitterkoerper
DE3475487D1 (en) * 1984-04-24 1989-01-12 Sismo Int Method of assembling three-dimensional metal wire structures,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IT1189561B (it) * 1986-06-16 1988-02-04 R E In S P 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curve a partire da un pannello prefabbricato piano formato da una rete metallica tridimensionale con riempimento di materiale plastico espanso
IT1213688B (it) * 1987-09-22 1989-12-29 Monolite Srl Apparecchiatura per realizzare pannelli per la costruzione di pareti con caratteristiche antisismiche edi isolamento termoacust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096U (ko) 1992-04-21
CN1029253C (zh) 1995-07-05
CN1059950A (zh) 1992-04-01
US5102027A (en) 199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33Y1 (ko)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KR940010133B1 (ko) 건축용 패널(Panel)의 제조장치
KR100220991B1 (ko) 몰드요소
US6948289B2 (en) Method and means for prefabrication of 3D construction forms
CA2422365C (en) Insulated formwork panel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US6622444B2 (en) Synthetic core construction panel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WO2008048619A2 (en) Interlocking system for building wall, floors, and roofs
KR950001583B1 (ko)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KR100236558B1 (ko) 건축용 패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566729B1 (ko) 와이어로 구성된 3차원 다공질 경량 구조재와 그 제조장치
KR19980076538A (ko) 차량용 범퍼 빔 성형장치
MXPA01003621A (es) Metodo y planta para producir de forma continua elementos de construccion.
US10099410B2 (en) Method of making a panel
KR860000538B1 (ko) 건축용 단열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2006028391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fabricated sandwiched building panels
SU121280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формовани длинномерных пустотелых изделий из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CN115284416B (zh) 一种可变角度的钢筋定位模板及其施工方式
KR20110015878A (ko) 조립식 철골 구조체용 와이어판넬 생산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하여 생산한 와이어판넬
KR830002608Y1 (ko) 거푸집 없는 콘트리트 벽체
CN215211898U (zh) 折曲连排立体钢筋桁架
IL418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hree-dimensional welded wire matrix
KR19980057601A (ko)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RU2002102591A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920006960Y1 (ko) 철골 구조 건축물의 플로어(floor) 받침판
KR20160125186A (ko) 이동 설치 가능한 발포 우레탄 블록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