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583B1 -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583B1
KR950001583B1 KR1019920013930A KR920013930A KR950001583B1 KR 950001583 B1 KR950001583 B1 KR 950001583B1 KR 1019920013930 A KR1019920013930 A KR 1019920013930A KR 920013930 A KR920013930 A KR 920013930A KR 950001583 B1 KR950001583 B1 KR 95000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sulation core
shaped
wave
low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160A (ko
Inventor
안세홍
Original Assignee
안세홍
안성호
안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세홍, 안성호, 안성일 filed Critical 안세홍
Priority to KR101992001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583B1/ko
Priority to CN92111268A priority patent/CN1082654A/zh
Priority to GB9221655A priority patent/GB2269408A/en
Priority to BR9205019A priority patent/BR9205019A/pt
Publication of KR94000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 wire netting, latti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패널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서 보인 판상의단열심재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에서 보인 물결모양지주부재들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서 보인 상, 하부와이어메쉬들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8도는 패널을 이루는 판상의단열심재 및 지주부재와 상, 하부와이어메쉬의 관계를 예시한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
제9도는 판상의단열심재에 끼워진 물결모양지주부재와, 상,하부와이어메쉬의 관계를 예시한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패널의 일부를 예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판상의단열심재 18 : 상부와이어메쉬
24 : 하부와이어메쉬 26 : 제1물결모양지주부재
28 : 제2물결모양지주부재 34 : 정사다리꼴슬리트
36 : 역사다리꼴슬리트
본 발명은 3차원적은 구조를 갖는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발포체 및 프라스틱팽창물을 비롯한 경량 프라스틱재료는 건축물의 벽이나 지붕에서 요구되는 특성, 즉 가벼우면서도 극히 낮은 열전도율, 내마모성, 불투수성 및 방음성등을 만복시켜줄 수 있는 반면에 구조적 강도가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강도를 갖는 보강용골격과 결합시켜서 건축용 패널로 사용해 왔었다.
그 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305,991호 및 제3,515,131호와 제4,226,067호 그리고 본 발명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5,102,027호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3,305,991호에는 일체골조를 따로 제조한 다음 성형틀에 물을 붓고 입체골조 성형틀내에 담겨진 액체내로, 골조의 아래면과 형성시킬 폼의 아래면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생기도록 침수시키고, 이어서 물의 표면에 막 형성용 액체를 약간 부어서 막을 형성시킨 다음 액체폼 물질을 그 위에 부어서 경화시키도록 하는 보강된 건축용 발포 모듈 패널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3,551,131호에는 이러한 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4,226,067호에는 트러스모양의 좌, 우 2개의 측면골조사이에 프라스틱폼을 끼우고 이들을 여러개 횡방향으로 밀착되게 조립시킨 다음 측면골조들의 상부와 하부를 횡방향와이어로 스포트용접시켜서 한 몸체로 고정하는 보강용 충전제를 사용한 조립식 패널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고, 본 발명의 미합중국 특허 제5,102,027호에는 스탭핑모터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 스페이서앵글들에 하부와이어메쉬와 단열심재 그리고 상부와이어메쉬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적층시켜서 된 패널 예비조립체를 소정의 길이로 미리 절단된 지주부재를 고정된 급송 및 삽통기구들쪽으로 이송시킨 다음 지주부재들을 급송 및 삽통기구로 상기 패널 예비조립체에 삽입시키고, 상기 급송 및 삽통기구들과 떨어진 곳에 배치된 전기용접기구로 상, 하부와이어메쉬들의 종방향 와어어들과 삽입된 지주부재들의 접촉부위를 스포트용접하여서 3차원적인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3,305,991호에 제시된 방법은 입체용골조를 제조하기 위한 고가이면서도 특수한 제조장치, 즉 미합중국 특허 제3,515,131호에 제시된 제조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막대한 설비투자를 하여야만 하고, 또 성형틀내에서 일일히 폼을 성형시켜야만 하므로 폼패널을 기계적으로 양산할 수 없었고, 발포된 폼과 입체골조의 외측표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가 매우 어려웠을 뿐 아니라 폼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되며, 그 위치도 부정확하게 되어 폼이 실제적으로 입체골조의 외부요소와 여러곳에서 접촉하여 시멘트몰탈로 마감처리할때 입체골조의 외부를 완전히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226,067호에 제시된 패널은 제조되는 패널과 같은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정사각형인 다수의 긴 충전요소들(filler elements)사이에, 지그재그형태로 굽혀진 물결모양막대(sinuous rod)의 위, 아래 꼭지점들과 한 쌍의 와이어 또는 막대를 평형하게 용접시켜 만든 단일격자구성요소(single lattice structure)들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물결모양막대가 긴 충전요소들 표면속으로 압입되게 한 다음 상기 긴 충전요소 밖으로 돌출되는 상기 물결모양 막대의 위, 아래 꼭지점들과 용접된 한 쌍의 와이어 또는 막대와, 패널의 길이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횡단막대들을 패널의 양쪽에서 스포트용접하여 상기 각 막대들을 고착시켜 만든 것이었다.
패널은 통상적으로 4피트의 폭과 8∼14피트의 길이로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가 비교적 커서 많은 량의 패널을 원거리로 운송하는 것보다 패널의 최종수요지와 인접한 장소에서 공급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226,067호에 제시된 패널은 규모가 큰 제조설비와 비교적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패널의 최종수요지와 인접한 장소에서 공급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약 4피트의 폭을 갖는 패널을 제조할 경우 2인치 두께의 충전요소를 24개나 마련해야 할 뿐 아니라 물결모양막대들의 각 꼭지점들과 한 쌍의 와이어 또는 막대를 평행하게 용접시켜 단일격자구성요소를 만들고 이 단일격자구성요소들을 상기 다수의 충전요소들 사이에 물결모양막대들의 각 꼭지점이 다수의 충전요소들 밖으로 일정하게 돌출되게 정렬하면서 상기 물결모양막대를 충전요소들 표면속으로 압입시켜주기 위한 설비를 필요로 하고, 다시 단일격자구성요소를 이루는 한 쌍의 와이어 또는 막대와, 패널의 길이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횡단막대들을 스포트용접시켜 주어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비교적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완성된 패널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 창문을 만들어줌에 있어서는 패널을 구성하는 막대들과 충전요소들의 일부를 절단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다수의 충전요소들의 정열된 상태가 흐트러지기 쉬워 콘크리트몰탈과 같은 유동성 혼합물로 패널을 분무도장할 때 이 분무도장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주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상의단열심재에 지그재그형태로 굽혀진 물결모양지주부재들이 끼워져 있고, 단열심재의 표면밖으로 노출된 물결모양지주부재들의 위, 아래 꼭지점들과 한 쌍의 상, 하부와이어메쉬가 용접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3차원적인 구조를 갖는 본 발명 패널(10)이 표현되어 있다. 패널(10)은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발포체로 된 판상의단열심재(12)를 사이에 두고, 그 위, 아래에 종방향와이어(4) 및 횡방향와이어(16)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부와이어메쉬(18)와, 종방향와이어(20) 및 횡방향와이어(2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하부와이어메쉬(24)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와이어메쉬(18)와 하부와이어메쉬(24)는 상기 판상의단열심재(12)를 관통하며,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물결모양지주부재들로 연결되어 있다. 물결모양지주부재들은 상기 판상의단열심재(12)에 끼워지는 방향에 따라서 제1물결모양지주부재(26)와 제2물결모양지주부재(28)로 구분된다.
상기 판상의단열심재(12)의 표면밖으로 노출되는 제1물결모양지주부재(26)의 꼭지점(30)들과, 제2물결모양지주부재(28)의 꼭지점(32)들은 상기 상부와이어메쉬(18)의 종방향와이어(14)와, 하부와이어메쉬(24)의 종방향와이어(20)와 각각 스포트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으로 고착되어 있다.
제2도에는 제1도의 Ⅰ-Ⅰ선에서 바라본 패널(10)의 종단면도가 표현되어 있다.
제2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물결모양지주부재(26)는 판상의단열심재(12)의 정사다리꼴슬리트(34)에 끼워져 있고, 제1물결모양지주부재(26)의 꼭지점(30)들이 상기 단열심재(12)의 표면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 노출된 꼭지점(30)들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한 종방향와이어(14), (20)가 스포트용접되어 있다.
제3도에 제1도의 Ⅱ-Ⅱ선에서 바라본 패널(10)의 종단면도가 표현되어 있다.
제3도에는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물결모양지주부재(28)는 판상의단열심재(12)의 역사다리꼴슬리트(36)에 끼워져 있고, 제2물결모양지주부재(28)의 꼭지점(32)들이 상기 단열심재(12)의 표면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 노출된 꼭지점(32)들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다른 종방향와이어(14), (20)가 스포트용접되어 있다.
제4도에는 제1도의 Ⅲ-Ⅲ선에서 바라본 패널(10)의 횡단면도가 표현되어 있다.
제4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패널(10)을 구성하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이 판상의단열심재(12)에 형성된 정사다리꼴슬리트(34)와 역사다리꼴슬리트(36)에 삽입방향을 달리하면서 억지끼워맞춤되는 형태로 밀착된채 판상의단열심재(12)를 관통하고, 이 단열심재(12) 표면밖으로 노출되는 꼭지점(30), (32)들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종방향와이어(14), (20)들이 스포트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패널(10)은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와 용접되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가 판상의단열심재(12)에 밀착된 상태로 끼워진 것이기 때문에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 스스로도 판상의단열심재(12)로부터 흩트러짐이 방지될 뿐 아니라 완성된 패널(10)은 종, 횡방향쪽에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큰 응력을 갖게 되며, 운반 또는 시공시 단열심재(12)가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들 사이에서 움직일 우려가 없어 콘크리트몰탈과 같은 유동성혼합물로 패널(10)을 분무도장할때 분무도장층의 균일한 두께를 유지시켜 주기가 수월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패널(10)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창문설치부위를 만들어 주기 위하여 패널을 구성하는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와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을 일부 절단한 다음 단열심재(12)를 창문크기에 해당하는 크기로 잘라내었을때 단열심재(12)가 흐트러지면서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쪽으로 치우쳐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절단되는 부분의 시공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본 발명 패널(10)은 제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판상의단열심재(12)와, 제6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반복하여 절곡된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와, 제7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종방향와이어(14) 및 횡방향와이어(16)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부와이어메쉬(18)와, 종방향와이어(20) 및 횡방향와이어(2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하부와이어메쉬(24)를 순차적으로 조립, 용접함으로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 패널(10)은 제5도와 제8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단열심재(12)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사다리꼴슬리트(34)와 역사다리꼴슬리트(36)를 형상하는 공정과, 제9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을 상기 단열심재(12)의 정,역사다리꼴슬리트(36), (38)에 위, 아래에서 삽입하는 공정과, 제10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열심재(12)의 표면밖으로 노출되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의 꼭지점(30), (32)들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종방향와이어(14), (20)들의 접촉부위를 스포트용접하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 패널(10)을 제조함에 있어서, 정사다리꼴슬리트(34)와 역사다리꼴슬리트(36)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처럼 정삼각형 또는 역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칼날모양의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슬리트(34), (36)의 폭이 지주부재(26), (28)의 굵기보다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주부재(26), (28)들이 끼워질 수만 있다면 최대한 슬리트(34), (36)의 폭을 좁게 만드는 것이 단열심재(12)의 제반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 패널(10)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또 상기 칼날모양의 펀칭수단은 가열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열수단은 온도제어가 손쉬운 니크롬선과 같은 전기발열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리트(34), (36)의 펀칭수단들을 일정한 간격과 범위내에서만 작동할 수 있도록 반복되는 여러개의 안내구멍을 가진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슬리트(34), (36)를 균일하게 형성시켜 줄 수 있어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패널(10)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단열심재(12)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사이에서 정중앙의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어 건축물시공시 콘크리트몰탈과 같은 유동성혼합물의 분무도장층 두께를 균일하게 만들어 주기가 쉽고, 패널(10)을 절단하면서 시공할 때도 단열심재(12)를 관통하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에 의해서 단열심재(12)가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절단되는 부분의 시공상태가 매우 양호한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제조공정이 판상의단열심재(12)에 정,역사다리꼴슬리트(34), (36)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를 상기 단열심재(12)의 역사다리꼴슬리트(34), (36)에 관통시키는 공정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종방향와이어(14), (20)와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의 꼭지점(30), (32)들을 스포트용접하는 공정, 즉 3개의 비교적 단순한 공정만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최종수요지와 인접한 장소에서 규모가 작은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합성수지발포체로 되어 있는 판상의단열심재(1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 정,역사다리꼴슬리트(34), (36)에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이 관통되어 있고, 단열심재(12) 표면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의 꼭지점(30), (32)들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종방향와이어(14), (20)들의 접촉부위를 용접시켜서 된 건축용 패널.
  2. 합성수지발포체로 되어 있는 판상의단열심재(12)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역사다리꼴슬리트(34), (36)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을 상기 정,역사다리꼴슬리트(34), (36)의 위, 아래로부터 삽입하는 공정과, 상, 하부와이어메쉬(18), (24)의 종방향와이어(14), (20)와 상기 제1, 2물결모양지주부재(26), (28)들의 꼭지점(30), (32)들을 용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19920013930A 1992-08-03 1992-08-03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KR95000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930A KR950001583B1 (ko) 1992-08-03 1992-08-03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CN92111268A CN1082654A (zh) 1992-08-03 1992-09-29 建筑用构件板及其制造方法
GB9221655A GB2269408A (en) 1992-08-03 1992-10-15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BR9205019A BR9205019A (pt) 1992-08-03 1992-12-15 Painel de construcao e seu processo de fabricaca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930A KR950001583B1 (ko) 1992-08-03 1992-08-03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160A KR940004160A (ko) 1994-03-14
KR950001583B1 true KR950001583B1 (ko) 1995-02-27

Family

ID=1933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930A KR950001583B1 (ko) 1992-08-03 1992-08-03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950001583B1 (ko)
CN (1) CN1082654A (ko)
BR (1) BR9205019A (ko)
GB (1) GB22694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0898A1 (en) * 2007-03-30 2008-10-09 Kwi Bok Lee Micro panel
KR20160117016A (ko) * 2015-03-31 2016-10-10 윤현복 단열 와이어 패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09B1 (ko) * 2002-10-16 2005-03-10 이한웅 건축용 단열패널
DE102006046311A1 (de) * 2006-09-29 2008-04-03 Xella Baustoffe Gmbh Verfahren und Bewehrungsmittel zur Herstellung bewehrter Poren- oder Schaumbetonkörper und Bewehrungshalterahmen zur Verwendung für ein derartiges Verfahren
IT1403096B1 (it) * 2010-12-14 2013-10-04 Marpo S R L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un pannello autoportante reticolato.
ITVR20120004A1 (it) * 2012-01-09 2013-07-10 Lucio Maioli Pannello per la formazione di murature
US11959277B1 (en) * 2019-01-28 2024-04-16 William E. Smith Pre-stressed sinusoidal member in assembly and applications
CN113454301B (zh) * 2019-02-06 2023-05-23 乌鲁·乌森库尔·乔波纳利 建筑节能三维面板,设备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345A (en) * 1990-07-17 1991-10-22 Martinez Manuel J Reinforced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0898A1 (en) * 2007-03-30 2008-10-09 Kwi Bok Lee Micro panel
KR20160117016A (ko) * 2015-03-31 2016-10-10 윤현복 단열 와이어 패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654A (zh) 1994-02-23
BR9205019A (pt) 1994-03-01
GB9221655D0 (en) 1992-11-25
KR940004160A (ko) 1994-03-14
GB2269408A (en) 199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5019A (en) Method of forming construction panel
US5058345A (en) Reinforced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71648A (en) Foam form concrete system
KR950001583B1 (ko) 건축용 패널(Panel) 및 그 제조방법
US7067588B2 (en) Building element
EP0615035A2 (en) Composite modular building panel
US6321497B1 (en) Web for insulated concrete form
JPS6055658B2 (ja) 構造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6009450A1 (en) Block forms for receiving concrete
EP1583873B1 (en) Thermal insulated building element
KR101868955B1 (ko) 에너지 및 질량 효율적 빌딩 블록, 그 제조 및 적용 방법
RU2059774C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GB2291900A (en) Building panel comprising phenolic resin foam
DE2658620C3 (de) Bleibendes Schalungselement mit einer Isolierschicht
JP2005335389A (ja) 多層モード構造の軽量建築構造体用のコア材料
CN113454301B (zh) 建筑节能三维面板,设备及其制造方法
GB2123048A (en) Building board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JP2548362Y2 (ja) 壁芯材
KR0180078B1 (ko) 철근 콘크리트 단열벽의 배근패널
JPH1046713A (ja) コンクリート壁用または基礎用型枠
JP4689095B2 (ja) 床スラブの構造、パネル・ブロック組立体およびブロック
JP343711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スラ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830002608Y1 (ko) 거푸집 없는 콘트리트 벽체
JPH07217073A (ja) 補強配筋及び建築用などの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0849342A (ja) 建築用などの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