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92Y1 -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92Y1
KR920005592Y1 KR2019900016479U KR900016479U KR920005592Y1 KR 920005592 Y1 KR920005592 Y1 KR 920005592Y1 KR 2019900016479 U KR2019900016479 U KR 2019900016479U KR 900016479 U KR900016479 U KR 900016479U KR 920005592 Y1 KR920005592 Y1 KR 920005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heel shaft
axle box
box
bogi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856U (ko
Inventor
곽진석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6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592Y1/ko
Publication of KR920007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5/00Axle-boxes
    • B61F15/12Axle-boxes with roller, needle, or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5/00Axle-boxes
    • B61F15/20Details
    • B61F15/26Covers; Sea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대차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엑슬박스 어셈블리를 부분절개하여 조립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륜축 2 : 대차프레임
3 : 1차현가장장치 4 : 로울러베어링
5 : 저어널박스 5a : 하우징삽착부
6 : 베이킹링 8 : 커버
10 : 로크너트 12 : 상부하우징
14 : 보울트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차륜축에 결합설치 되면서 대차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1차현가장치를 지지해주게되는 엑슬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엑슬박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1차현가장치로 부터의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차륜축상에 저어널박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차륜삭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된 분리가능한 엑슬박스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작되고 있는 각종철도차량은 차륜 또는 대차로 부터 전달되는 충격하중을 차단 또는 감쇠시켜 주기위해 차륜축과 대차프레임사이에 1차현가장치를 장착시켜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원통축상 안내방식의 구조를 갖는 통상의 엑슬박스를 차륜축상에 결합설치하고, 상기 엑슬박스와 대차프레임 사이에 1차현가장치를 연결설치해주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통례다.
이와같은 상태로 종래의 엑슬박스가 결합설치된 상태에서 차륜마모분의 보상을 위한 차륜삭정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엑슬박스의 내부구성체인 베어링 하우징과 저어널박스(Journal Box)등을 모두 분해하여 대차프레임에 연결된 1차현가장치로 부터 엑슬박스를 해체시킨 상태에서 차륜을 분리시켜 소정의 삭정작업을 진행한후 엑슬박스를 재차결합시켜 주어야만 했던 관계로 그 작업과정이 매우 힘들고 번거로웠음은 물론 차륜축 상에서 저어널박스 및 베어링하우징을 분리시킨 후 재차결합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배어링에 이물질이 끼이게 될 우려가 높았던 등, (* 베어링의 분해조립 과정에서 이물질이 끼이게되면 베어링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함)여러가지의 폐단이 노출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인바, 대칭형태의 상, 하부하우징을 분리형성하여 차륜축에 결합되는 엑슬박스의 외측에 분해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대차프레임에 연결설치된 1차현가장치를 결합설치해 주도록 된 엑슬박스 어셈블리를 구축하여 필요시에는 엑슬박스를 대차프레임에 연결된 1차현가장치로부터 간편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엑를박스를 분해할 필요없이 차륜측에 연결된 상태로 차륜을 분리시켜주면서 신소 간편하게 삭정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륜축(1)에 결합설치되면서 대차프레임(2)에 연결설치되는 1차한가장치(3)를 지지하게되는 엑슬박스 어셈블리(100)를 구축함에 있어서, 차륜축(1)의 외경에 억지끼워 맞춤상태로 끼워지는 1쌍의 로울러베어링(4)이 내측에 삽설된 적정형태의 저어널박스(5) 외경에 하우징삽착부(5a)를 요설형성하고, 일측부에는 요철형의 결합부(5b)를 형성하여 비틀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이킹링(6)(BACAINGRING)을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타측단에는 플랜지부(5c)를 상향으로 돌출형성하여 다수의 보울트(7)로서 커버(8)를 조립설치하되, 차륜축(1) 끝단에는 보울트(9)로서 로크너트(10)를 고정설치 함으로서. 로울러베어링(4)의 이타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는 한편, 상부중앙에 안내봉(12a)이 돌출된 반원형의 상부하우징(12)과 하부에 돌출부(13a)를 갖는 하부하우징(1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저어널박스(5) 외경에 형성된 하우징삽착부(5a)의 상, 하부에 결합하되, 각각의 상, 하부하우징(12,13) 접속부위에는 체결부(12b,13b)를 형성하여 보울트(14)및 너트(15)로서 견고히 조립결합시킴과 동시에 상부하우징(12)에는 대차프레임(2)에 연결설치된 1차현가장치(3)를 연결설치하도록하여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16은 와셔를, 17은 씰링을 18은 주행안정화장치를 연결시키게 되는 연결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저어널박스(5)의 내측에 삽설된 로울러 베어링(4) 내경과, 일측의 결합부(5b)에 끼워진 상태인 베이킹링(6)의 내경이 차륜축(1)의 외경에 공히 압축고정되는 상태로 결합설치되게되며. 이때 저어널박스(5)의 하우징삽착부(5a)에 결합된 각각의 상, 하부하우징(12,13)은 보울트(14)및 너트(15)에 의해 견고한 상태로 조립결합 되면서 저어널박스(5)를 압압하여 결합부(5b)에 끼워진 베이킹링(6)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상부하우징(12)은 1차현가 장치(3)에 조립결합시켜 차륜(1')으로부터 대차프레임(2)측으로. 또는 대차프레임(2)으로부터 차륜(1')측으로 전달되려하는 충격하중이 효과적으로 감쇠되도록한다.
이러한 상태로 차륜축(1)과 대차프레임(2)상에 본 고안을 결합설치하여 철도차량을 운행하던중 차륜(1)이 마모되어 상대적 균형을 상실하게되면 소정의 차륜삭정작업을 행하게되는바, 이때는 상,하부하우징(12,13)의 체결부(12b,13b)에 결합된 보울트(14)및 너트(15)를 풀어내면서 하부하우징(12)을 간단히 선분리시킨 다음, 적정수단으로 대차프레임(2)을 들어올려주면서 1차현가장치(3)에 연결된 상태인 상부하우징(13)이 저어널박스(5)상부측으로 벗어나 이탈되도록 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차륜축(1)에 결합된 상태인 차륜(1')을 분리시켜 소정의 삭정장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차륜축(1)에는 저어널박스(5)가 그대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되나 차륜(1') 삭정작업의 진행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게된다.
이와같은 단순과정으로 차륜삭정작업을 신속간편하게 행한후에는 분리과정의 역순으로 간단히 조립결합하여 엑슬박스 어셈블리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준후 차량운행에 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원통축상 안내방식형 엑슬박스를 적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고 있던 차륜삭정작업시의 어려움 및 베어링의 수명단축 우려를 효과적으로 해소시킨 것인바, 엑슬박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로울러 베어링이 내입설치된 저어널박스를 분해시킬 필요없이 차륜축에 그대로 결합되어있는 상태에서 차륜삭정작업을 신속간편하게 행할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효율 향상효과 및 편리성을 증대시켰음은 물론 저어널박스 분해작업으로 인한 로울러베어링의 수명단축 우려를 완전히 배제시킨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차륜축(1)에 결합설치되면서 대차프레임(2)에 연결설치되는 1차현가장치(3)를 지지하게되는 엑슬박스 어셈블리(100)를 구축함에 있어서, 차륜축(1)의 외경에 끼워지는 1쌍의 로울러 베어링(4)이 내측에 삽설된 적정형태의 저어널박스(5) 외경에 하우징삽착부(5a)를 요설형성하고, 일측부에는 요철형의 결합부(5b)를 형성하여 비틀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이킹링(6)을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타측단에는 플랜지부(5c)를 상향으로 돌출형성하여 보울트(7)로서 커버(8)를 조립설치하되, 차륜축(1) 끝단에는 로크너트(10)를 고정설치하는 한편, 상부중앙에 안내봉(12a)이 돌출된 반원형의 상부하우징(12)과 하부에 돌출부(13a)를 갖는 하부하우징(1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저어널박스(5)의 하우징삽착부(5a)에 결합하되, 각각의 상, 하부하우징(12,13) 접촉부위에는 체결부(12b,13b)를 형성하여 보울트(14)및 너트(15)로서 견고히 조립결합시킴과 동시에 상부하우징(12)에는 대차프레임(2)에 연결설치된 1차현가장치(3)를 연결설치하도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KR2019900016479U 1990-10-30 1990-10-30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KR920005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479U KR920005592Y1 (ko) 1990-10-30 1990-10-30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479U KR920005592Y1 (ko) 1990-10-30 1990-10-30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56U KR920007856U (ko) 1992-05-19
KR920005592Y1 true KR920005592Y1 (ko) 1992-08-17

Family

ID=1930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479U KR920005592Y1 (ko) 1990-10-30 1990-10-30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56U (ko) 199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54261A (en) Motor vehicle
US20040222030A1 (en) Vehicle rear suspension support assembly with integrated electric drive
CH633228A5 (fr) Bogie de wagon de chemin de fer.
EP0808264B1 (de) Antriebseinheit für elektrische schienenfahrzeuge
US5433287A (en) Axle assembly for vehicles in portal arrangement
EP0599293A1 (en) Axle assembly for vehicles in portal arrangement
US3041890A (en) Frame type axle
KR920005592Y1 (ko) 분리가능한 엑슬박스 어셈블리
US3974780A (en) Changeable gauge railing truck
US5943959A (en) Partially sprung drive, in particular for electric traction vehicles
US4697527A (en) Drive unit for a rail vehicle
US2962311A (en) Resilient bushing for connecting machine elements
KR100373309B1 (ko) 가이드 휠 조립체
JPH04243662A (ja) 軸箱支持装置
US2501307A (en) Suspension of axle-hung electric traction motors
US3124369A (en) Vehicle idler arm mounting
KR100657621B1 (ko) 철도차량용 견인링크장치
US4527916A (en) Means for mounting a hub bearing unit to a vehicle
US2496615A (en) Wheel and wheel mounting
KR100581185B1 (ko) 철도차량용 중심피봇 장치
JPS6329606Y2 (ko)
KR910000410A (ko) 전기적 리타더가 장치된 차량전동장치
US977002A (en) Independent car-axle.
US1832991A (en) Gear guard
KR910002394Y1 (ko) 철도차량의 아답터취부형 축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