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171B1 -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 Google Patents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171B1
KR920005171B1 KR1019900004837A KR900004837A KR920005171B1 KR 920005171 B1 KR920005171 B1 KR 920005171B1 KR 1019900004837 A KR1019900004837 A KR 1019900004837A KR 900004837 A KR900004837 A KR 900004837A KR 920005171 B1 KR920005171 B1 KR 92000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ock key
channel
video sour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416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171B1/ko
Publication of KR91001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흐름도.
제3도는 메모리의 맵 구성도.
제4도는 CRT의 표시형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보드 11 : 제 1 록키
20 : 마이컴 30 : 메모리
40 : OSD 50 : 튜너
60 : CRT 70 : 표시부
본 발명은 텔리비젼의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을 로킹시키거나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리비젼에서, 유, 무선 방송신호의 선국은 채널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임의의 방송국 신호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전면 키패널, 또는 리모콘등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국의 채널을 선택하면, 마이컴이 이를 인지하고 튜너(tuner)를 통해 해당 방송국의 주파수로 고정시켜 방송국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VTR(Video tape Recorder)을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TR의 영상 및 음성신호의 출력을 텔리비젼에 연결시킨 후, 텔리비젼을 VTR모드로 지정하고 VTR을 구동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텔리비젼 운용시 방송국의 채널선택이나 VTR의 사용은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누구나 텔리비젼의 방송국의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하거나 VTR을 운용할 수 있으므로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나 VTR운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해당 채널이나 비디오 소스를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리비젼에서 제1 및 제2록키와 숫자키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채널이나 비디오 소스를 로킹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텔레비젼에서 로킹된 채널이나 비디오 소스를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텔레비젼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로킹 또는 해제모드를 지정하는 제1록키(11)와, 제2록키(LK) 및 숫자키로 구성되어 로킹 및 해제상태 신호 및 채널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키보드(10)와, 상기 제1록키(11) 및 키보드(10)의 출력을 입력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하에 채널 및 비디오 소스의 로킹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30)와, 상기 마이컴(40)의 제어하에 로킹유무 상태를 CRT(60)상에 표시하는 OSD(On Screen Display) (40)와, 상기 마이컴(40)의 제어하에 로킹된 채널을 선국하지 않는 튜너(5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및 비디오 소스의 로킹 및 로킹해제 흐름도로서, 메모리(30)에 전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로킹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제1영역과, 각 비디오 소스의 로킹 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제2영역과, 각 채널의 로킹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제3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제1록키(11)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2록키(LK) 발생시 상기 메모리(30)의 제1-제3영역의 내용을 리드하여 CRT상에 온 스크린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온 스크린 표시중 소정 시간내에 제2록키(LK) 발생감지시 제2록키(LK)의 발생 횟수에 따라 제1영역의 상태를 로킹 또는 로킹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제2로킹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영역의 상태가 로킹 상태일시 상기 메모리(30)의 제1영역에 로킹상태를 기억시키고 종료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영역의 상태가 로킹해제 상태일시 제2록키(LK)의 발생횟수를 감지하여 토글식으로 비디오 소스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세트 또는 리세트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 수행후 숫자키를 이용하여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세트 또는 리세트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수행후 제2록키(LK) 발생기 상기 제4, 제5과정에서 결정된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상태를 메모리(30)의 제2 및 제3영역으로 저장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메모리(30)의 맵 구성도로서, 두개의 비디오 소스 V1, V2와 3개의 채널에 대한 로킹 및 로킹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한 경우의 맵 구성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은 제1, 2, 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록키(11)는 텔레비젼 전면에 부착된 키로서, 열쇠를 사용하게 되며, 채널 또는 비디오 소스를 로킹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오픈(open)상태로 위치시켜, 텔리비젼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클로즈(close) 상태로 위치시킨다. 또한 제2록키(LK)는 전면 키보드(10)에 위치되어 있으며, 해당 비디오 소스 또는 채널을 로킹시키기 위한 토글스위치(toggle switch)로 동작된다. 또한 메모리(30)은 E2PROM으로서 채널 및 비디오 소스의 로킹 상태 유무를 기록하게 되는데, 제3도(a)와 같이 제1영역에는 전체의 비디오 소스 및 채널들을 모두 로킹시키는 경우에 세트되며, 제2영역에는 로킹시키고자 하는 비디오 소스의 수만큼 할당되어 해당 비디오 소스로킹시 세트되고, 로킹 해제시 리세트된다. 또한 제3영역에는 로킹시키고자 하는 채널 수만큼 할당되며, 해당 채널을 로킹시키고자 할 시에는 채널번호가 저장되며, 로킹 해제시에는 "øø"으로 리세트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3도(b)와 같이 로킹가능한 채널수가 3개이고, 비디오 소스가 2개로서 제1-제3영역이 총 6바이트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록키(11)가 "오픈"상태에서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마이컴(20)은 메모리(300의 제1-제3영역의 데이타를 리드하여 OSD(40)를 통해 CRT(60)상에 표시한다. 이때 제2록키(LK)가 다시 발생되면, OSD(40)를 제어하에 CRT(60)상에 "ALL"이라는 디지트를 깜박거리게 하고(binking), 이 상태가 3초 이상 유지되면 메모리(30)의 제1영역을 "FF"로 세트하고 루틴을 종료한다. 이 경우 제1록키(11)가 클로즈 상태로 위치되면, 마이컴(20)은 전원 "온"상태에서 임의 채널이 선택되거나 비디오 소스가 선택되더라도 튜너(50)를 제어하여 CRT(60)상으로 어떠한 영상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튜너(50)의 출력은 영상 및 음성신호로 분리되어 처리된 후 CRT(60)로 인가되는데, 여기서 영상처리부 및 음성처리부는 생략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CRT(60)상에 "ALL"이라는 디지트가 깜박거리는 상태(3초)동안에 제2록키가 다리 눌려지면 CRT(60)상에는 아무런 글자도 표시되지 않는다.
이 상태를 다시 3초이상 유지하면 마이컴(20)은 메모리(30)의 제1영역을 리세트시킨 후 비디오 소스의 로킹유무를 검사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2록키(LK)를 사용하여 로킹 또는 로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비디오 소스의 로킹유무 상태를 결정한 후, 채널의 로킹유무를 분석하는데, 채널 로킹시에는 로킹을 원하는 채널을 순차적으로 입력시킨 후, 제2록키(LK)를 발생하여 선택한 채널을 로킹시키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제2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같이 비디오 소스를 2개, 채널수는 3개를 로킹시킬 수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 1 록키(11)를 "오픈"상태를 위치시킨 후, 제2록키(LK)를 이용하여 로킹유무 상태를 변경한다.
이때 마이컴(20)은 (202)단계에서 제1록키(11)의 "오픈"상태를 감지하면, (204)단계에서 키보드(10)를 스캔하여 제2록키(LK)가 눌러졌는지 확인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제2록키(LK)의 눌림이 감지되면, (206)단계에서 메모리(30)의 제1-제3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로킹상태 유무 데이타를 리드한 후, OSD(40)를 통해 CRT(60)상에 표시한다. 이때 CRT(60)상에 표시되는 순서는 제1영역상태, 제2영역 상태 및 제3영역의 상태가 동시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표시상태에서 3초 이내에 제2록키(LK)가 발생되지 않으면, (210) (212)단계를 통해 CRT(60)상에 표시되고 있는 로킹상태 표시동작을 중단하고 종료한다. 이때의 상태는 제1록키(11)가 오픈된 상태에서 메모리(30)의 내용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제1록키(11)가 "오픈"된 상태이므로 채널 및 비디오 소스로 모두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206)단계에서 CRT(60)상에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로킹유무 상태를 표시할 시 3초 이내에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마이컴(20)은 (208)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214)단계에서 제1디지트의 상태를 블링킹(blinking) 상태로 표시한다. [이하 CRT(60)상에 표시되는 제1영역의 데이타를 제1디지트라 하고, 제2영역의 비디오 소스 V1, V2 데이타를 제2, 제3디지트라 하며, 제3영역의 3개 채널 데이타를 제4-제6디지트라 칭한다.
상기(214)단계에서 제1디지트가 블링킹되는 동안 마이컴(20)은 (216)단계에서 제2록키(LK)의 발생유무를 확이하는데, 3초동안 제2록키(LK)가 발생되지 않으면, 마이컴(20)은 전상태의 제1디지트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216)단계에서 3초 이내에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전상태의 제1디지트를 토글시킨다. 따라서 제1디지트가 로킹해제 상태였으며, (218)단계에서 마이컴(20)은
Figure kpo00001
에라는 제1디지틀 상태를 표시하고, 전상태의 제1디지트가 로킹상태를 의미하는
Figure kpo00002
상태였으면 로킹해제 상태인□ 상태로 토글시킨다. 따라서 마이컴(20)은 (216)-(220)단계에서 3초가 경과되기 이전에 제2록키(LK)의 상태가 변화되면, 상기와 같은 토글상태가 반복된다. 따라서 상기 (218)단계에서 ALL이라는 상태로 제1디지트가 3초이상 표시되는 경우에는 (222)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메모리(30)의 제1영역을 "FF"초 세트시킨 후 종료한다. 이 경우 제1록키(11)가 클로즈 상태로 천이되면, 텔리비젼의 모든 비디오 소스 및 채널들을 로킹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222)단계에서 제1디지트가□ 상태일시에는 이후 각각의 비디오 소스 또는 채널들을 선택적으로 로킹시키게 된다. 먼저 비디오 소스를 로킹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즉, 제1디지트가 로킹 해제상태로 판명되면, 제2록키(LK)를 토글식으로 사용하여 CRT(60)상에 표시되는 상태를 확인하며, 해당 비디오 소스를 로킹 또는 로킹해제시킨다. 즉, (224)단계에서 제2디지트를 블링킹 상태로 표시하고 있을시, V1 비디오 소스를 로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226)-(230)단계를 통해 제2디지트 상태를 V1상태가 표시되도록 제2록키(LK)를 동작시킨 후, 이 상태를 3초이상 유지시키면 된다. 또한 V1 비디오소스를 로킹 해제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226)-(230)단계를 통해 제2디지트 상태를 상태가 되도록 제2록키(LK)를 동작시킨 후, 이 상태를 3초이상 유지시키면 된다. 또한 V1비디오 소스를 로킹 해제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226)-(230)단계를 통해 제2디지트 상태를 상태가 되도록 제2록키(LK)를 동작시킨 후, 이 상태를 3초이상 유지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V1 비디오 소스의 상태를 결정하면, (232)단계에서 마이컴(20)은 다시 OSD(40)를 통해 CRT(60)상의 제3디지트를 블링킹시킨다. 그러면 제2록키(LK)의 상태에 따라 (234)-(238)단계가 수행되어 V2 비디오 소스의 로킹유무 상태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비디오 소스 V1, V2의 로킹유무 상태가 결정되면, 마이컴(20)은 (240)단계에서 제4디지트를 블링킹시킨다. 이때 제4-제6디지트는 채널에 관계되는 기능이므로, 숫자키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240)단계에서 제4디지트가 블링킹되고 있을 시, (242)단계에서 숫자키 발생을 인지하면, (244)단계에서 마이컴(20)은 해당 숫자를 로킹 채널로 하기 위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OSD(40)를 통해 CRT(60)에 해당 숫자를 표시시킨다.
이때 상기 (242)단계에서 "øø"키가 입력되면, 로킹된 채널을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246)단계에서는 제2록키(LK)의 발생유무를 검사하는데, 채널 로킹 또는 로킹해제 모드에서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그때까지 수행된 비디오 소스 및 채널 로킹유무 상태를 메모리(30)의 각 해당 영역에 기록하고 종료된다. 따라서 채널 로킹유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제4디지트의 변경은 (240)-(248)단계에서 수행되고, 제5디지트의 변경은 (250)-(258)단계에서 수행되며, 제6디지트의 변경은 (260)-(268)단계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채널의 로킹유무 상태 변경 과정에서는, 임의 채널을 로킹시키고자 할 시 해당 채널에 대한 숫자키를 발생하여 저장하고, 로킹된 채널을 해제하고자 할 시에는 해당 채널을 표시하고 있는 디지트 위치에서 숫자키 "0"을 발생하여 저장하면 로킹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의 과정을 종합하면, 제1록키(11)를 "오픈"상태로 위치시킨 후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마이컴(20)은 메모리(30)의 제1-제3영역 데이타를 리드한 후 OSD(40)를 제어하여 제4도와 같이 제1-제6디지트를 CRT(60)상에 표시한다. 이때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마이컴(20)은 OSD(40)를 통해 제1디지트를 블링킹시킨다. 이때 제1디지트의 상태는 메모리(30)의 제1영역에 기록되어 있던 전상태의 제1영역 데이타로서, 제2록키(LK)발생시마다 토글되어 상태를 반전시킨다.
이때 메모리(30)의 상태는 전상태를 유지하며, CRT(60)상의 상태만 반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영역을 세트시키고자 할 시에는 제2록키(LK)를 이용하여 제1디지트가
Figure kpo00003
상태로 표시될 시, 이 상태를 3초이상 유지시키면 된다. 그러면 (222)단계에서 제1디지트가
Figure kpo00004
상태로 판명되므로, 마이컴(20)은 메모리(30)의 제1영역을 "FF"로 세트시키고 루틴을 종료한다. 이후 비디오 소스 및 채널 변경과정은 수행하지 않는데, 이는 이미 제1영역이 세트되어 텔리비젼의 모든 채널 및 비디오 소스들을 로킹시킬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디지트가 상태로 3초 이상 유지될 시에는 비디오 소스 및 채널들중 원하는 비디오 소스 및 채널들을 선택하여 변경한다.
먼저 비디오 소스의 변경시에는 순차적으로 비디오 소스에 관계되는 디지트가 블링킹될시 제2록키(LK)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트의 상태를
Figure kpo00005
상태 또는 □상태로 3초 이상 유지시키면 된다.
따라서
Figure kpo00006
상태로 3초이상 유지되면 해당 비디오 소스는 로킹상태로 마이컴(20)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되고, □상태로 3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튜너(50)를 제어하여 해당 채널을 통하는 방송신호나 비디오소스의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CRT(60)상에는 영상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3도(c)와 같이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을 로킹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제1록키(11)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제2록키(LK)를 발생하면, 마이컴(20)은 (202) (204)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메모리(30)의 제1-제3영역에 저장된 내용을 리드하여 내부 메모리로 옮긴 후 (206)단계에서 해당 내용을 제4도와 같은 제1-제6디지트 상태로 OSD(40)를 통해 CRT(60)상에 표시한다. 이때 3초 이내에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마이컴(20)은 (208)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14)단계에서 제1디지틀 블링킹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제1디지트가
Figure kpo00007
상태이면 제2록키(LK)를 1회 누르고, □상태이면 제2록키(LK)를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마이컴(20)은 해당 비디오 소스의 상태는 로킹 해제상태로 마이컴(20)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모든 비디오 소스에 대한 상태를 결정한 후 채널의 로킹유무를 결정하는데, 먼저 해당 디지트가 블링킹될 시, 원하는 채널 번호에 대한 숫자키를 입력하면 마이컴(20)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채널 번호가 기록되고, 블링킹되는 디지트의 채널보호를 00으로 입력하면 로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 채널번호의 로킹 유무 상태를 결정한 후 제2록키(LK)를 발생하면, 마이컴(20)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던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데이타를 메모리(30)의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종료된다.
이후 제1록키(11)를 클로즈 위치로 이동시킨후, 텔리비젼을 운용하면, 마이컴(20)은 메모리(30)의 내용을 억세스하면서 로킹된 채널이나 비디오 소스가 선택되는 (216)-(222)단계를 통해 CRT(60)상에 제1디지트를 □상태로 유지시켜, 이때 제1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디지트는 로킹 해제상태가 된다.
이후 마이컴(20)은 제2디지트를 블링킹 시키는데, 이때 제2디지트의 상태이면 제2록키(LK)를 누르고,
Figure kpo00008
상태이면 제2록키(LK)를 누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마이컴(20)은 (226)-(230)단계를 통해 제2디지트를
Figure kpo00009
상태로 유지하고, 내부 메모리의 V1영역에는 "FF"데이타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V1 비디오 소스를 결정한 후 마이컴(20)은 제3디지트를 블링킹하는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234)-(238)단계를 수행하여 제3디지트의 상태를 □상태로 하며, 내부메모리의 V2영역에 "0"데이타를 저장한다.
이후 마이컴(20)은 입력되는 숫자키 "9" 및 "11"에 의해 (240)-(248)단계 및 (250)-(258)단계를 통해 내부 메모리에 로킹 채널로 저장하며, CRT(60)상에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상태로 표시된다. 이때 (256)단계에서 제2록키(LK)가 발생되면, 마이컴(2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내용을 메모리(30)의 해당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메모리(30)에는 제3도(c)와 같이 기록되며, 제1록키(11)가 클로즈되면 마이컴(20)은 상기 메모리(30)의 내용을 검토하여 비디오 소스 V1, 채널 09 및 11 선택시 튜너(50)를 제어하여 로킹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텔레비젼 사용시 채널 및 비디오 소스를 로킹시킬 수 있으므로서, 텔리비젼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방송 및 비디오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열쇠에 의해 구동되는 제1록키(11)와 제2록키(LK) 및 숫자키로 구성된 키보드(10)와, 텔리비젼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0)와, 로킹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30)와, 온스크린 표시기능을 수행하는 OSD(40)와 채널 및 비디오 소스를 선국하는 튜너(50)를 구비하는 텔리비젼의 비디오소스 로킹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에 전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로킹 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제1영역과, 각 비디오 소스의 로킹 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제2영역과, 각 채널의 로킹유무 상태를 저장하는 제 3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제1록키(11)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2록키(LK) 발생시 상기 메모리(30)의 제1-제3영역의 내용을 리드하여 CRT상에 온 스크린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온 스크린 표시중 소정 시간내에 제2록키(LK) 발생감지시 제2록키(LK)의 발생 횟수에 따라 제1영역의 상태를 로킹 또는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영역의 상태가 로킹 상태일시 상기 메모리(30)의 제1영역에 로킹상태를 기억시키고 종료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영역의 상태가 로킹해제 상태일시 제2록키(LK)의 발생횟수를 감지하여 토글식으로 비디오 소스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세트 또는 리세트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 수행후 숫자키를 이용하여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세트 또는 리세트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 수행후 숫자키를 이용하여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세트 또는 리세트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 수행후 제2록키(LK) 발생시 상기 제4, 제5과정에서 결정된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의 상태를 메모리(30)의 제2 및 제3영역으로 저장하는 제6과정을 구비하여 제1록키(11)가 클로즈 상태일시 상기 메모리(30)의 내용에 따라 상기 튜너(50)를 제어하여 비디오 소스 및 채널을 로킹시킬 수 있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04837A 1990-04-09 1990-04-09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KR92000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837A KR920005171B1 (ko) 1990-04-09 1990-04-09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837A KR920005171B1 (ko) 1990-04-09 1990-04-09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16A KR910019416A (ko) 1991-11-30
KR920005171B1 true KR920005171B1 (ko) 1992-06-27

Family

ID=1929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837A KR920005171B1 (ko) 1990-04-09 1990-04-09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818B2 (ja) * 1993-12-14 2003-06-09 ソニー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信号送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16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265A (en) Display apparatus informing of programmed recording
US4996597A (en) User programmable switching arrangement
JPH0731649Y2 (ja) チャンネル選局装置
JP2909787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US4914516A (en) Fast response picture-in-picture circuitry
EP1016272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s
US5438377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US5828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n ID code using a microcomputer in a display device
KR920005171B1 (ko) 텔리비젼의 비디오 및 채널 로킹방법
JP2985933B2 (ja) 選局装置
KR100716160B1 (ko) 텔레비젼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030091588A (ko) 시청제한장치
KR0181917B1 (ko) 한국형 예약녹화시스템을 이용한 예약시청방법
KR100383129B1 (ko) 영상기기의초기채널지정장치와방법
KR100218013B1 (ko) 티브이의 비디오 채널 및 외부 비디오 입력 제어방법
KR960004822B1 (ko) 채널선국오류방지방법
KR0165236B1 (ko)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KR950012225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영상기록 재생시스템의 잠금방법
JPH02291713A (ja) 選局装置
KR960001149B1 (ko) 특정 채널의 잠금 방법
KR0146692B1 (ko) 실시간 예약 녹화방법
KR20000051456A (ko) 채널번호 자동 메모리장치
KR970007882B1 (ko) 방송국명에 의한 채널선국방법 및 장치
KR0157501B1 (ko) 예약녹화시스템
KR100640859B1 (ko) 방송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