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236B1 -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236B1
KR0165236B1 KR1019920003329A KR920003329A KR0165236B1 KR 0165236 B1 KR0165236 B1 KR 0165236B1 KR 1019920003329 A KR1019920003329 A KR 1019920003329A KR 920003329 A KR920003329 A KR 920003329A KR 0165236 B1 KR0165236 B1 KR 016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
deletion
channel
information
a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058A (ko
Inventor
양진영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236B1/ko
Publication of KR93001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채널 가산/삭제방법은 가산/삭제기능을 갖는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해당 채널을 선국하지 않고도 가산/삭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키입력수단을 통해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체크하기 위한 키체크과정; 가산 또는 삭제하기를 원하는 방송채널정보가 인가되는 지를 체크하고, 방송채널정보가 인가되면 소정 메모리에 저장 또는 삭제하기 위한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 키체크과정에서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제어하는 신호가 인가될 때 이미 시스템자체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산 또는 삭제모드설정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제어부 20 : 수신부
30 : 시스템제어기 40 : 자막정보발생기
50 : 표시장치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채널 가산(ADD; Addition) 또는 삭제(ERASE)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산 또는 삭제모드 설정시 채널 튜닝과정을 거치지 않는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수신장치로는 TV수상기나 라디오, 튜너를 내장한 비디오카세트레코더(VCR; Video Cassette Recorder)를 예로 들 수 있다. 가산과 삭제기능은 이러한 방송수신장치에서 채널선택을 간편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즉 가산(이하 ADD라고 함)기능은 튜닝할 방송채널을 채널업/다운키만으로도 방송국의 채널이 바로 선국되도록 채널의 배열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현재 국내 방송채널중 6번과 7번, 9번, 11번을 채널선국시 선택할 수 있는 채널로 하고 싶을 경우 상술한 4개의 채널을 각각 선국한 뒤 ADD기능키를 인가하면 시스템제어기는 4개의 채널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영역에 저장한 뒤, 채널 업키로 채널선국을 제어할 경우에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6번채널이면 7번 채널이 선국되고 다시 채널 업키를 누르면 9번채널이 선국된다. 반면에 이 상태에서 채널 다운키를 누르면 9번채널에서 7번채널이 선국이 제어된다. 따라서 ADD모드가 설정된 다음에 채널 업/다운키만으로 손쉽게 채널을 선택할 뿐 아니라 빠른 채널선택이 이루어진다. 삭제(이한 ERASE라 함)기능은 ADD에 의하여 설정된 채널을 삭제하여 선국시 그대로 스킵(Skip)된다. 예를 들어서 상술한 ADD기능에 의하여 설정된 채널중 7번채널에 ERASE모드를 설정하면 시스템제어기의 소정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7번채널은 삭제되어 채널 업/다운키제어시 7번채널은 선국제어에서 제외된다. 즉 6번채널선국시 채널업키를 제어하면 상술한 ADD과정에서는 7번채널을 선국하도록 되어 있지만 ERASE기능에 의하여 9번 채널을 선국하게 된다. 그러나 이 ADD나 ERASE기능은 모드설정시 대상채널을 선국한 상태에서 제어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송채널을 ADD하고자 할 때, 우선 6번 채널을 선국하고 ADD기능키를 제어하고, 그 다음 7번 채널을 선국하고 ADD기능키를 제어하는 등 그 외의 방송채널에 대해서도 선국한 뒤 ADD기능키를 제어하여 ADD모드를 설정한다. 이 때 방송채널의 선국순서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DD이나 ERASE기능을 갖는 방송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ADD./ERASE모드 설정시 채널선국과정을 거치지 않고 채널번호와 ADD/ERASE 제어신호로 설정하기 위한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채널정보를 가산(ADD)또는 삭제(ERASE)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정보 및 명령을 인가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인가되는 지를 체크하기 위한 키체크과정;
상기 키체크과정에서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의 제어정보가 인가되면, 가산 또는 삭제하기를 원하는 방송채널정보가 인가되는 지를 체크하고, 방송채널정보가 인가되면 재차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 제어정보의 인가여부를 체크하고 인가된 경우 소정메모리영역에 저장 또는 상기 소정 메모리영역에서 삭제하기 위한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
상기 키체크과정에서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 제어정보가 인가될 때 상기 장치가 이미 가산 또는 삭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로서, 원격제어가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에 적용한 예이다.
제1도에 있어서,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원격제어부(10)와, 원격제어부(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0)와, 수신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장치내의 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기(30)와, 시스템제어기(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막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자막정보발생기(40)와, 자막정보발생기(40)에서 출력된 자막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5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로서, 제101 ∼ 103단계는 제1키체크과정이고, 제104∼114단계는 ADD처리과정이고, 제115∼125단계는 ERASE처리과정이고, 제126단계는 ADD 및 ERASE제어신호외의 제어신호인가시 해당 기능 수행과정이다.
그러면 제1도와 제2도를 결부시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실시예는 원격제어되는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나 프론트패널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제1도의 원격제어부(10)와 수신부(20)는 프론트패널과 같은 키입력수단으로 대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정보를 인가하면(제101단계), 시스템제어기(30)는 인가된 제어정보의 용도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ADD제어정보가 인가되면(제102단계), 시스템제어기(30)는 현재 시스템에 ADD모드가 설정된 상태는 아닌지를 체크한다(제104단계). 체크결과 ADD모드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ADD모드를 설정하고(제105단계) 자막정보발생기(40)로 ADD문자를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자막정보발생기(40)는 표시장치(50)로 ADD 자막정보를 출력하고, 표시수단(50)는 ADD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106단계).
그 다음 원격제어부(10)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정보를 다시 체크한다.(107단계). 이 때 인가되는 정보가 채널정보인 경우에, ADD하기를 원하는 채널정보로 인식하고 상술한 ADD자막정보를 발생할 때와 마찬가지로 채널정보를 자막정보발생기(40) 및 표시장치(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제108,109단계). 여기서 채널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정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원격제어부(10)로부터 ADD제어키가 인가되면(제110단계), 디스플레이되던 채널정보를 시스템제어기(30)의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저장되고 있는 동안 ADD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채널정보를 점멸한다(제111단계). 제111단계 수행중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11단계에서 이루어졌던 점멸동작은 중지하고 디스플레이되던 채널정보는 ADD정보로 변환된다(제113단계). 여기서 소정시간은 약 3초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10단계에서 ADD정보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108단계로 귀환하여 또 다른 ADD를 원하는 채널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이와 같은 ADD모드 수행후 다시 원격제어부(10)를 통해 ADD정보가 인가되면, 시스템제어부(10)은 ADD모드를 해제하고(제114단계)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되던 ADD자막정보는 클리어한 뒤, 다른 제어정보의 인가에 대하여 대기상태가 된다. 이때 다른 제어정보가 인가되면 그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제126단계). 여기서 자막정보의 디스플레이상태는 임의의 채널을 선국한 상태일 경우 그 선국된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자막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제102단계에서 원격제어부(1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ERASE일 경우에, 시스템제어기(30)는 현재 시스템에 ERASE모드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제115단계). 제115단계에서 ERASE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면, ERASE모드를 설정한다(제116단계). 이와 동시에 상술한 ADD에서와 같이 자막정보발생기(40)와 표시장치(50)을 통해 ERASE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제117단계).
그 다음 원격제어부(10)로부터 제어정보가 인가되는지를 다시 체크한다(제118단계). 체크결과 채널정보가 송출되면 ERASE를 하고자 하는 채널로 인식하고 인가된 채널정보를 상술한 ADD에서와 같이 표시장치(50)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120단계). 그리고 다시 원격제어부(10)로부터 ERASE정보가 인가되는지를 체크한다(제121단계). ERASE정보가 인가되면 ADD에서와 같이 시스템제어부(30)내의 소정의 메모리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정보를 삭제하면서 동시에 해당채널정보를 점멸한다(제122단계). 삭제과정 및 점멸동작이 수행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점멸동작은 중지하고 디스플레이되던 채널정보를 ERASE정보로 변환한다(제123,124단계). 이 때 소정시간에 대한 기간은 ADD 모드시와 동일하고 자막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조건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ERASE모드수행중 제115단계에서 원격제어부(10)에서 ERASE모드가 수행중인 경우에 시스템제어부(30)은 ERASE모드를 해제하는 명령으로 인식하여 ERASE모드를 해제한다(제125단계). 또한 제119단계에서 원격제어부(10)에서 인가된 정보가 채널정보가 아닌 다른 기능에 대한 제어정보인 경우에는 그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제126단계). 그리고 제121단계에서 ERASE정보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19단계로 귀환하여 또 다른 ERASE를 원하는 채널정보인가에 대한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ADD/ERASE제어기능을 갖는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ADD/ERASE모드 설정을 원하는 채널을 채널번호와 ADD/ERASE모드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함으로써, 채널을 선국하지 않고도 설정할 수 있어 ADD/ERASE모드설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채널정보를 가산(ADD)또는 삭제(ERASE)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정보 및 명령을 인가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인가되는 지를 체크하기 위한 키체크과정; 상기 키체크과정에서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의 제어정보가 인가되면, 가산 또는 삭제하기를 원하는 방송채널정보가 인가되는 지를 체크하고, 방송채널정보가 인가되면 재차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 제어정보의 인가여부를 체크하고 인가된 경우 소정메모리영역에 저장 또는 상기 소정 메모리영역에서 삭제하기 위한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 상기 키체크과정에서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 제어정보가 인가될 때 상기 장치가 이미 가산 또는 삭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가산 또는 삭제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산 또는 삭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은 상기 방송채널정보저장시 상기 방송채널정보인가 후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가산 또는 삭제모드 제어신호가 인가되어야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산 또는 삭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은 상기 방송채널정보저장과 동시에 표시장치를 통해 해당 방송채널정보를 소정시간동안 점멸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산 또는 삭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은 상기 재차 인가되는 가산 도는 삭제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또 다른 가산 또는 삭제를 원하는 채널정보가 인가되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가산 또는 삭제처리과정을 반복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산 또는 삭제방법.
KR1019920003329A 1992-02-29 1992-02-29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KR016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29A KR0165236B1 (ko) 1992-02-29 1992-02-29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29A KR0165236B1 (ko) 1992-02-29 1992-02-29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058A KR930019058A (ko) 1993-09-22
KR0165236B1 true KR0165236B1 (ko) 1999-02-01

Family

ID=1932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29A KR0165236B1 (ko) 1992-02-29 1992-02-29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591B1 (ko) * 1998-01-30 2001-04-02 전주범 복합방송수신기의채널안내화면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058A (ko) 199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4954A (en) Automatic channel sampling picture-in-picture circuitry
KR100276949B1 (ko) 자동 프로그래밍 채널 매핑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100282785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RU21152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означения канала в телевизионном приемнике
JP3157167B2 (ja) テーマによってチャンネルを走査する装置及び方法
US5285265A (en) Display apparatus informing of programmed recording
KR940006130A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10029184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프로그래밍 장치
GB2222048A (en) Multichannel picture-in-picture television controller
KR0138746B1 (ko) 메모리된 채널 표시방법
KR0165236B1 (ko) 채널 가산 또는 삭제방법
JPH02185180A (ja) テレビ・テキスト・デコーダを有するビデオレコーダ
JP2985933B2 (ja) 選局装置
KR200149137Y1 (ko) 채널복귀 장치
JP4566293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外部入力端子切り換え制御方法
KR0133455Y1 (ko) 텔레비전의 기억채널 자동소거장치
KR960004822B1 (ko) 채널선국오류방지방법
KR960005020Y1 (ko) 텍스트모드에 의한 온-타이머 예약설정 장치
KR100246794B1 (ko) 프로그램 안내방법
KR960043797A (ko) 텔레비전의 방송시청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70005137B1 (ko) 학습방식의 텔레비전채널절환제어방법
KR0157558B1 (ko) Pip기능을 이용한 기억채널 제어방법
KR0163715B1 (ko)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의 채널등록 및 채널설정방법
KR0154002B1 (ko) 브이씨알의 채널을 자동으로 메모리하는 방법
KR0130636B1 (ko) 파일럿신호를 이용한 선호방송프로그램 자동선국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