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138Y1 - 회전의자용 다리 - Google Patents

회전의자용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138Y1
KR920005138Y1 KR2019900002031U KR900002031U KR920005138Y1 KR 920005138 Y1 KR920005138 Y1 KR 920005138Y1 KR 2019900002031 U KR2019900002031 U KR 2019900002031U KR 900002031 U KR900002031 U KR 900002031U KR 920005138 Y1 KR920005138 Y1 KR 920005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ib
chair
bos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045U (ko
Inventor
손동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손동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손동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Priority to KR2019900002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138Y1/ko
Publication of KR910015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0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의자용 다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 2 도는 일부를 절결한 아암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발과 바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4 도는 바퀴의 회전 개시를 위한 다리의 탈중심현상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아암 3 : 발
4 : 바퀴 5 : 1차보스
6,6',6" :외피 7 : 2차보스
8 : 보강리브 9,15,15' : 리브
10 : 바퀴축 16,16' : 보스
17 : 봉돌기
본 고안은 바퀴가 장착되는 회전의자의 다리, 특히 5개의 아암과 발로 이루어지고 바퀴를 포함하는 회전의자용 다리의 형상과 구조에 관한 것이다.
회전의자의 다리에 있어서 바퀴가 부착된 경우 의자를 이동시키면 바퀴는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일정한 포물선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종래의 회전의자용 다리는 프라스틱재질로서 아암을 중공형 또는 봉형으로 구성하고 아암단부에는 축결합공을 가진 발을 형성시켜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2개의 축, 즉 편심된 이중축을 이용한 바퀴를 장착시킨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아암이 중공형 또는 봉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균 체중 이상의 하중을 받게 되면 인장강도가 약해 축부분이 파열되기 쉽고 자체중량이 커 의자의 위치이동시 힘이 들뿐만 아니라 바퀴가 이중축으로 되어 있어 다리의 발에서 종축을 기준으로 본다면 바퀴가 발의 축방으로 뛰어나와 있기 때문에 이 바퀴에 신발뒷부분이 자주 부딪혀 신발의 외피가 손상되고, 의자의 이동방향과 상치되는 방향으로 바퀴가 틀어져 있을 때에는 항시 이 바퀴를 의자의 이동 방향으로 가지런히 정열한 후 이동시켜야 하므로 이의 정열에 비교적 많은 힘이 소요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대부분의 회전의자는 손으로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의 다리힘으로 밀게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이중축에 의하여 일정회전반경을 가지고 이동방향으로 정열시켜야 하는 바퀴는 전기한 바 있는 지면상의 이동포물선이 급곡을 이뤄야 하므로 이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 또는 다리에 많은 힘이 부여되어야 했던 것이다.
또한 종래 이중축에 의한 회전의자는 설계시등 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의자가 약간의 힘에 의하여도 이동하게 되므로 정위치에서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리중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보스와 리브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결합된 아암과 발로 구성하여 경량화를 기하면서 인장강도 및 휨강도를 높이고, 바퀴는 하나의 축을 사용하여 이동시 탈중심력의 작용에 의하여 완만한 이동 포물선을 그리면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정위치에서 설계 등의 작업을 해야할 경우에는 바퀴가 지면과 밀착하여 정치된 상태에 있게 하므로써 신발을 손상시키지 않고 가벼운 이동조작 및 정치 상태의 유지를 할 수 있는 회전의자용 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축설치공(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있는 아암(2)과, 이 아암(2)의 단부에 형성된 발(3)에 장착되는 바퀴(4)로 구성된다.
상기 축설치공(1)에는 1차보스(5)가 형성되고 아암(2)의 외부는 반구형의 외피(6)로 형성되며 상기 1차보스(5)의 주변부와 외피(6)간에는 둥근 2차보스(7)가 형성된다.
아암(2)과 1차보스(5) 및 2차보스(7)간에는 단부가 아알(R)을 이루는 보강리브(8)가 1차보스(5)에 부여되는 집중하중을 아암(2)의 중앙으로 1차분산하기 위해 아암(2)의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2차보스(7)와 발(3)간에는 트러스형식의 리브(9)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9)는 저면에서 보아 꼭지점이 2차보스(7) 단부에서 시작하여 보강리브(8)를 가로질러 3차에 걸쳐 외피(6)와 만나고 마지막 꼭지점은 발(3)의 횡축부분에서 만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리브(9)의 꼭지점을 P1, P2, ..., P6라 한다면 P1에서부터 P6까지는 2차에 걸친 일정기울기를 갖는다.
즉, 꼭지점 P1과 P4는 동일하게 외피(6)의 단부 또는 2차보스(7)의 단부에서 시작되고, P1, P2, P3와 P4, P5, P6가 각각 같은 기울기로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리브(9)를 트러스형식으로 하면서 2차에 걸친 기울기를 갖게 한 것을 축설치공(1)에 부여되는 집중하중을 발(3)까지 고르게 2차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발(3)은 제 1 도 및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퀴축(10)을 끼울 수 있는 축결합공(11)이 형성되고 이 축결합공(11)내에는 링(12)이 삽착될 수 있는 링 삽착홈(14)이 오목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공(11)의 외부에는 방사상의 리브(15)가 외피(6')와 보스(16)간에 형성되어 축결합공(11)에 부여되는 하중을 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3)의 축결합공(11)에 끼워지는 바퀴(4)는 저면 중앙이 평면을 이루다가 모서리에서 완만한 아알(R)을 형성하는 외피(6")와, 이 외피(6")의 중앙에 위치하며 바퀴축(10)이 회전 자재하게 축설치된 보스(16') 및 보강을 위한 봉돌기(17)가 일부 형성된 방사상의 리브(15')가 형성되고, 바퀴(4)의 중앙에는 상기 축결합공(11)의 링삽착홈(14)에 삽착되어 바퀴(4)가 발(3)상에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링(12)이 삽입된 바퀴축(10)이 회전자재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축설치공(1)에 의자의 중심봉(미도시)이 끼워진 상태에서 축설치공(1)에 수직으로 집중하중(정하중)이 부여되면 이 집중하중은 각각의 아암(2)의 외피(6)와 2차보스(7) 및 보강리브(8)에 의하여 1차분산되고 리브(9)에 의하여 2차 분산된다.
상기 리브(9)에서도 P1에 작용받는 하중이 아암(2)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P3지점에 1차확산되었다가 외피(6)와 연계하여 P4에서 다시 P6지점까지 2차확산시키므로써 인장 강도 및 휨강도를 높여준다.
이와 같이 아암(2)상에 고르게 분산된 분포하중이 발(3)에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각각의 발(3)에 형성된 리브(15)와 보스(16)는 상기한 분포하중을 바퀴축(10)에 전달하기 위한 보강역할도 하지만 의자의 위치이동시 지면과의 충돌 또는 마찰에 의하여 축결합공(11)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충격 및 편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발(3)에 전달된 분포하중은 바퀴축(10)을 따라 보스(16')와 봉돌기(17)를 가진 리브(15')를 거쳐 바퀴(4)저면에 도달하게 된다.
바퀴(4)는 평상시 지면(18)과 밀착되어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는다.
바퀴(4)의 회전은 바퀴(4)저면에 미칠 수 있는 편하중, 즉 탈중심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 4 도는 이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를 이동시킬 때 다리힘이나 손힘을 사용하게 된다는 점과 이와 같은 조작시 일반적으로 의자의 중심이 일측으로 기운다는 점,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의자의 중심이 기울면 바퀴에 의자자체 또는 체중을 일부 포함하는 하중이 중심을 잃은채 작용되고 바퀴가 2차원적인 지면상에서의 이동을 시작하면 상기 탈중심력에 의하여 일정함 포물선을 그리며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는 경험상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제 4 도에서 의자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할 때 아암(2)과 바퀴(4)는 화살표 방향으로 중심을 잃게 되고, 이때 백터는 바퀴(4) 저면의 f지점에 작용하게 되며 다시 계속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게 되면 바퀴(4)는 지면(18)상에서 매우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f지점을 정점으로 바퀴(4)저면과 지면(18)과의 각도 A는 통상 2°이상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리중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 분산할 수 있는 아암과 발로 구성하므로써 경량화와 높은 인장강도 및 휨강도를 부여할 수 있고, 바퀴를 하나의 축을 사용하여 회전하거나 정치시킬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와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할 수 있고 탈중심력을 이용 의자를 가볍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등 정밀작업을 요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지면에서 이동되지 않게 되고 바퀴가 발과 일치되는 형상이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종래와 같은 신발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5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부에 회전바퀴가 장착될 수 있는 발을 가진 회전의자용 다리에 있어서, 축설치공(1)에 형성된 1차보스(5)와 아암(2)의 외부에 형성된 외피(6)간에 2차보스(7)와 보강리브(8) 및 트러스형식의 2차기울기를 갖는 리브(9)를 형성하고, 축결합공(11)주위에 방사상의 리브(15)가 형성된 발(3)에, 외피(6")내에 봉돌기(17)를 갖는 방사상의 리브(15')가 형성되고 탈중심력에 의하여 회전과 정지가 가능하도록 중앙에 하나의 바퀴축(10)이 설치되고 저면 중앙이 평편한 바퀴(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용 다리.
KR2019900002031U 1990-02-24 1990-02-24 회전의자용 다리 KR920005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031U KR920005138Y1 (ko) 1990-02-24 1990-02-24 회전의자용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031U KR920005138Y1 (ko) 1990-02-24 1990-02-24 회전의자용 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045U KR910015045U (ko) 1991-09-25
KR920005138Y1 true KR920005138Y1 (ko) 1992-07-27

Family

ID=1929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031U KR920005138Y1 (ko) 1990-02-24 1990-02-24 회전의자용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1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5817B2 (en) * 2019-04-04 2022-07-05 Medway Plast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understructure of a chair b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5817B2 (en) * 2019-04-04 2022-07-05 Medway Plast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understructure of a chair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045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31422A1 (en) Control structure of supporting foot for collapsible furniture
US5613695A (en) Skate board combination
US20040079849A1 (en) Support device for a liquid crystal flat screen
US3977040A (en) Castor
GB2073121A (en) Helicopter rotor comprising elastomer joints
CA1215827A (en) Ski boot
US5529286A (en) Jack
US5412838A (en) Caster for baggage
KR920005138Y1 (ko) 회전의자용 다리
JPH02255033A (ja) リール固定装置
US5628689A (en) Leg support structure for child's swing
CA2292220C (en) Rod end bearing
US5212893A (en) Flexibility adjustment fastener particularly for ski boots
JPS6141590B2 (ko)
JP2003533303A (ja) 運動及びあるいは娯楽用具
KR100357128B1 (ko) 영상표시기기의 모니터 받침대
KR920006452Y1 (ko) 회전의자용 다리
CA2307662A1 (en) Lightweight handle
KR970705425A (ko) 구형상 바퀴를 갖는 롤러 스케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improved roller skate)
KR100699082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295981Y1 (ko) 엘씨디 모니터의 이중힌지의 연동구조
KR200266697Y1 (ko) 회전의자용 다리
JPH0430858Y2 (ko)
WO2024014109A1 (ja) 模型玩具、及び可動構造体
KR950002635Y1 (ko) 아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