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031B1 -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031B1
KR920005031B1 KR1019900005443A KR900005443A KR920005031B1 KR 920005031 B1 KR920005031 B1 KR 920005031B1 KR 1019900005443 A KR1019900005443 A KR 1019900005443A KR 900005443 A KR900005443 A KR 900005443A KR 920005031 B1 KR920005031 B1 KR 920005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human body
infrared
signal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715A (ko
Inventor
이충열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 안전공단
정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 안전공단, 정동철 filed Critical 한국산업 안전공단
Priority to KR101990000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031B1/ko
Priority to PCT/KR1991/000011 priority patent/WO1991016569A1/en
Publication of KR91001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16P3/1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 F16P3/14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light gr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5/00Emergency means for rendering ineffective a coupling conveying reciprocating movement if the motion of the driven part is prematurely resis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제1도는 본 발명인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원적외선 스위칭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 집광계의 일실시예인 멀티미러의 단면도.
제4도는 집광계와 원적외선 검출기와 감지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에 있어서, 원적외선 검출부의 창(Window)재 필터의 특성도.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 비교판단부의 입, 출력신호와 기준전압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인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정장치가 설치된 프레스의 요부외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프레스 안전장치 202 : 원적외선 스위칭부
101 : 집광계 102 : 원적외선 검출부
103 : 신호여과 및 증폭부 104 : 비교판단부
105 : 타이머부 106 : 전원스위칭부
107 : 제1정전원부 108 : 제2정전원부
SOL : 솔레노이드 BRA : 브레이크
CLU : 클러치 SLI : 슬라이드
FIL : 창(Window)재 필터 DEC : 초전검출기
OP1, OP2: 연산증폭기 CO1, CO2: 비교기
IC1: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IC2, IC3: 전압레귤레이터
R1내지 R19: 저항 VR1, VR2: 가변저항
Tr1, Tr2: 트랜지스터 FET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LED1: 발광다이오드 SSR1: 무접점스위칭소자
T1: 트랜스 SW1, SW2: 스위치
F : 퓨우즈 F1, F2: 대역통과 필터
위험영역 : α INP : 차단판
본 발명은 프레스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일부위가 위험영역내에 있을 경우, 상기 원적외선을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구동함과 동시에, 클러치를 해제하여 하강되는 프레스의 슬라이드를 급정지시키는 원적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사한 프레스 안전장치로서는 발광하는 광원부와 빛을 받는 수광부로 이루어져 빛이 차단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액티브형 적외선 스위칭 방식 및 광전자 방식이 있으나, 이를 작동시 진동에 의한 광축의 빗나감과 설치위치의 부정확함에 따른 잦은 작동불량이 발생하고, 인체와 작업물 또는 보조기구와의 구별기능이 없으므로 인해 불필요한 경우에도 오동작이 발생되어 작동중단이 빈번하며, 비교적 제조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양수조작식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스위치를 수동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하게 되어 있어서, 작업물이 프레스와 떨어져 있는 경우, 작업물의 이동과 스위치조작을 별도로 수행해야 함에 따라, 이에 따른 위험과 불편함 및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가드식, 손쳐내기식, 수인식등이 있으나, 이들 역시 금형교체시마다 가드구조를 변화시켜야 하고, 일방향으로만 작업자의 손을 쳐내도록 되어 있어서, 완전한 방호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바 있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산업기계의 안전장치(특허출원 90-2538호)에 프레스에 구체적으로 적용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인체가, 위험 영역내에 들어올시 인체 스스로가 방사하는 적외선중 다른 물체 및 기타 잡음성분과의 구별이 뚜렷한 파장 영역의 원적외선만을 흡수감지하여 인체와 다른 물체와를 구별하고, 인체에서만 현저하게 방사되는 파장영역에 해당하는 원적외선을 흡수에 따른 신호에 의해서만 프레스를 급정지시키도록하여 잡음신호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고 경제적이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정장치를 제공하고자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인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정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따라 실린더로의 압축공기 출입이 통제되고,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제어되어, 슬라이드를 급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레스의 안전장치(201)에 있어서, 작업대 상측에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충분히 집중시키기 위한 집광계(101)와; 상기 집광계(101)를 통해 집광된 원적외선중 인체에서 방사되는 특정한 파장영역의 원적외선만을 여과하여 미세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원적외선 검출부(102)와;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중에서도 타잡음성분과의 구별이 뚜렷한 파장영역의 원적외선만을 여과시켜 처리용이한 값으로 증폭시키는 신호여과 및 증폭부(103)와; 상기 신호여과 및 증폭부(103)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의 정, 부 여부와 대소에 따라 인체가 위험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104)와; 상기 비교판단부(104)에서 소정신호가 출력될시 설정된 기간동안 "하이"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타이머부(105)와; 상기 타이머부(105)에서 소정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턴온"(turnon)되는 전원스위칭부(106)와; 상기 각 부(102) 내지 (106)와 솔레노이드에 일정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정 전원부(107), (108)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스위칭부(202)가 부시되고, 상기 솔레노이드(SOL)가 원적외선 스위칭부(2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져서 인체의 원적외선 감지시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동되고, 브레이크(BRA) 및 클러치(CLU)가 구동 및 해제되어 프레스의 슬라이드(SLI)가 급정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에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감지 영역내의 적외선을 충분히 흡수하기 위한 집광계(101)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원적외선 검출부(102)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하여 복수개의 오목형 미러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집광효율을 높인 것이고, 제4도는 소정각도(a, b, c)로 입사되는 원적외선이 집광계(101)에 의해 집광되어 원적외선 검출기(102)로 입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원적외선 스위칭부(202)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원적외선 검출부(102)는 상기 집광계(101)에 의해 집광되는 인체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소정의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서는 감도가 높고 인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는데는 최적인 열전변환기인 초전검출기(DEC)를 사용하되, 집광계(101)인 멀티세그먼트로미러로부터 집광되는 인체에서 방사된 10μm의 파장을 중심으로 하는 광역의 원적외선은 잡음성분(예로서 태양광선)으로 인해 혼합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원적외선성분과 타잡음성분과의 구별을 위해 타잡음성분과의 구별이 뚜렷한 7μm에서 15μm 파장에 해당하는 원적외선만을 투과시키도록 7μm 커트온광학필터(FIL)를 창(Window)재로하고, 또한 상기 초전검출기는 임피던스가 매우 높으므로 임피던스 변환용 트랜지스터(FET1)를 구비하며, 발진방지용 바이패스 콘덴서를 구비하고, 신호의 추출은 일반적인 소오스폴로워식인 초전검출기(일본국(주) 제작 P2LDF)를 역극성으로 하여 2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다.
즉, 그림 1 및 그림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초전검출기를 역극성으로 직렬 접속시키되 전면에 7μm 커트 온광학필터인 창재를 설치한 2개의 초전검출기중 일측의 초전검출기는 광선이 차폐될 수 있도록 막아주므로서, 일측의 초전검출기에서는 주위의 잡음신호들을 온도의 변화로 감지(그림 1에서 아래측의 초전검출기)하고, 주위의 잡음신호를 포함한 인체의 원적외선 방사신호는 타측의 초전검출기를 통해 감지(그림 1에서 상측의 초점검출기)하게 되므로 상호 역극성으로 직렬 연결된 2개의 초전검출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소정신호중 잡음성분에 해당되는 신호는 서로 역극성이면서 같은 크기의 전압이어서 상쇄되어 인체에서 방사되는 순수한 원적외선만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1]
Figure kpo00001
[그림 2]
Figure kpo00002
또한, 신호여과 및 증폭부(103) 및 상기 원적외선 검출기(102)의 미세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연산증폭기(OP1, OP1)인 비반전 교류증폭기와 반전교류증폭기로 구성하되, 상기 미세신호중에는 검출하고자하는 파장 7μm 내지 15μm 영역외의 인체의 원적외선 성분 및 다른 잡음성분이 포함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연산증폭기(OP1, OP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R2)과 콘덴서(C2)로 이루어진 저역 컷트필터 및 저항(R3)과 콘덴서(C3)로 이루어진 고역컷트 필터로 구성되는 간이대역통과필터(F1)와 저항(R20)과 콘덴서(C7)로 이루어진 저역컷트필터 및 가변저항(VR1), 저항(R4)과 콘덴서(C6)로 이루어진 고역컷트필터로 구성되는 간이대역통과필터(F2)가 각각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간이대역통과필터(F1)(F2)는 초전검출기내의 임피던스 변환용 트랜지스터(FET1)에서 발생되는 잡음, 현장 주변에 설치된 각종기기내의 마그네트 및 릴레이등에서 발생되는 접점스파크로 인한 잡음, 현장 주변에 설치된 각종기기내의 마그네트 및 릴레이등에서 발생되는 접점스파크로 인한 잡음, 고압부에서의 전계형성으로 인한 잡음신호 및 전원부등을 통해 유입되는 각종잡음신호가 회로내에 유입된 것을 필터링시켜 인체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에 따른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연산증폭기(OP1, OP2)의 입력단에 인가시켜 준다.
여기서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파장은 본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 4μm에서 15μm까지 방축되었으나 7μm이하의 영역에서는 탄잡음이 많이 혼합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7μm이하의 원적외선은 창재를 통해 컷트시키고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7μm에서 15μm까지의 파장 영역만을 통과시켜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가변저항(VR1)을 대신하여 온도보상용 소자를 설치할 경우, 주위온도에 따라 고역컷트필터의 커트영역을 조절할 수도 있다.
비교판단부(104)는 인체의 위험상태를 정확히 포착하고,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적외선 검출기(102)는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역극성 초전검출기(DEC)가 직렬로 연결되어져서, 감지영역내의 주변온도의 변화 및 진동등의 잡음성분과 같은 정적인 신호에 대해서는 재로신호가 출력되나, 인체의 일부가(예로서 손)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역극성 초전검출기(DEC)에 순차적으로 입력신호를 주게되어 입력되는 원적외선의 입력방향에 따라 정 또는 부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정, 부의 어떤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감지영역 즉, 위험영역내의 인체가 들어온 걸로 간주하여 항상 "하이"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검출부(102)내에서 소정의 모우터(도시생략됨)에 의해 구동되는 날개편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인체의 일부가 위험지역내에 들어와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도 인체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원적외선 검출부(102)에 단속적으로 입력되어 원적외선 검출부(102)의 출력이 항상 "하이"가 되어 초전도 검출기(DEC)의 중화현상에 의한 인체 검지불능현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원적외선 검출부(102)는 상기 위험영역밖의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 신호가 거리에 반비례하여 미소치가 입력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위험영역내에서의 최소한계치에 해당하는 설정된 기준전압(VA, VB)를 비교기(CO1, CO2)의 반전 및 비반전단자에 각각 인가시켜 입력되는 상기 신호여과 및 증폭부(103)의 출력신호가 상기 기준전압(VA)보다 크거나 기준전압(VB)보다 작을 경우에만 "하이"신호를 출력시켜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원적외선 검출체인 초전재료는 자발분극(自發分極)을 가지고 있고 그 결정의 표면 대기중의 부하전하를 붙잡아 전기적 중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결정의 온도를 TK(T : 절대온도, K : 상수)에서 (T+△T)K로 변화시키면 그림 3과 같이되어 결정내부의 자발분극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때 표면전하는 자발분극만큼 빨리 온도변화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결정표면에서는 자발분극의 변화한 것(그림 3의 점선으로 에워싸여 있지 않는 전하)만큼 전하를 단시간 단측할 수 있으며, 이 현상을 초전계수라 하고 자발분극의 온도계수를 초전계수라 한다.
[그림 3]
Figure kpo00003
또한, 그림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전체판의 양면에 전극을 증착하고, 전극간의 높은 임피던스의 부하를 접속하므로서 온도변화에 의한 전하를 출력전압으로서 검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초전검출기는 과도적인 온도변화를 검출하기 때문에 초전체판의 온도가 변화한 후 안정상태가 되면 출력을 검출할 수 없으므로 온도계로써 허용하는 경우에는 입사 적외선을 단속시켜 초전체판에 온도변화를 주는 것이 필요하고, 다만 최초의 온도변화만을 검출하는 장치에서는 원적외선을 단속시킬 필요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적외선 검출부(102)내에서 소정의 모우터(도시생략됨)에 의해 구동되는 날개편을 설치하여 주므로서, 상기 날개편이 원적외선을 단속시켜 인체의 일부가 위험지역내에 들어와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도 인체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원적외선 검출부(102)에 단속적으로 입력되어 원적외선 검출부(102)의 출력이 항상 "하이"가 되어 초전도 검출기(DEC)의 중화현상에 의한 인체 검지불능현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림 4]
Figure kpo00004
한편, 타이머부(105)는 상기 비교판단부(104)내의 비교기(CO1, CO2)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될시, 이 상태를 설정시간동안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타이머 회로는 저항 및 콘덴서로 이루어진 적분회로를 이용하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시간의 조절을 쉽게 하기 위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C14538B : IC1)를 사용하여 신호가 여러개 입력될 경우, 순차적으로 타임이 리셋트되고, 최종신호 입력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타이머가 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전원스위칭부(106)는 상기 비교판단부(104)의 출력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도통"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교류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하게는 스위칭소자로서 릴레이가 사용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레이에 비해 스위칭 속도가 빠르고, 잡음, 진동, 마모에 강하며, 위상제어가 가능한 통상의 포토커플러, 정류스택, 트라이액, 제로크로스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무접점 스위칭소자를 사용한 것이다.
제1 및 제2정전원부(107, 108)는 상기 각부(102 내지 106)와 솔레노이드에 필요한 전압과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무리한 작동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험영역 즉, 감지영역(α)내에 인체의 일부위가 들어오게 되면, 상기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일종의 열선인 원적외선은 집광계(101)인 멀티세그먼트 미러를 통해 집광되어지고, 초전검출기(DEC)의 7μm 커트온 창(Window)재 필터(FIL)를 통해 파장 7μm이하의 파장을 갖는 인체의 원적외선 및 기타 잡음성분에 해당하는 열선은 차단되어지며,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중 다른 잡음성분과의 구별이 뚜렷한 7μm이상의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 성분만이 투과된 후, 열전변환되어 미소 전기신호로 출력되어지며, 출력딘 신호는 바이어스 전압인 직류성분과 열전변환된 신호성분이 중첩된 형태이므로, 이중 직류성분은 다음의 교류신호여과 및 증폭부(104)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되어지고, 열전변환된 신호는 상기 간이 대역통과 필터(F1, F2) 및 연산증폭기(OP1, OP2)을 통해 잡음성분과 구별이 뚜렷한 7μm 내지 15μm 영역의 파장을 갖는 인체의 원적외선 성분만 여과된 후, 처리 용이한 값으로 증폭되어 비교판단부(104)인 비교기(CO1, CO2)의 비반전단자 및 반전단자에 각각 공통으로 입력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증폭신호는 원적외선 검출부(102)가 역극성인 2개의 초전검출기(DEC)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이어서, 주변 잡음신호와 같은 정적인 신호에 대해서는 출력신호가 그림 1의 파형도에서와 같이 서로 소거되어 제로값이 출력되나, 인체는 움직이는 상태로 감지되므로, 상기 역극성의 2개 초전검출기(DEC)에 차례로 원적외선 신호가 입력되어, 정 또는 부의 신호가 출력된 후 여과되고, 증폭된 상태이므로, 상기 비교판단부(104)는 상기 정 또는 부의 어떤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비교기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서 "로우"신호를 출력하되, 제7도에 도시된 위험 영역(α)밖에 있는 인체로부터 입사되는 7μm 내지 15μm 파장의 원적외선 성분인 경우에는 그 값이 미세하여 비교기(CO1, CO2)의 기준전압보다 낮으므로, 인체가 위험지역이 아닌 먼곳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비교기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서는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고,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기준전압(VA)보다는 높고 기준전압(VB)보다 낮은 전압으로 인체에서 방사되는 성분이 입력되었을시에만 즉, 인체의 일부위가 프레스의 위험영역(α)에 들어온 경우에만 위험한 상태로 판단하여 비교기에서 "하이"신호를 출력시키므로써 인체가 소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프레스가 급정지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에서 출력된 "하이"신호가 NPN형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1)를 도통시키게 되면, 컬렉터측이 "로우"(Low)상태가 되므로, 상기 "로우"신호가 타이머부(105)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IC1)에 입력되어, 이후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IC1)가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하며, 이 "하이"신호는 NPN형 트랜지스터(Tr2)를 도통시켜 무접점 스위칭소자(SSR1)내의 트라이액을 도통시키게 되므로, 제2정전원부(108)를 통해 상기 무접점 스위칭소자(SSR1)에 인가되어 있던 교류전원은 솔레노이드(SOL)에 인가되어진다.
상기 무접점 스위칭소자(SSR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솔레노이드(SOL)은 밸브를(도시되지 않음) 구동시켜 실린더내의 압축공기를 빼내게 되므로, 브레이크 스프링에 의해 압축디스크가 복귀되고, 브레이크축의 라이닝과 디스크를 압축시켜 브레이크는 "온"상태가 되고, 구동축 및 디스크와 상기 라이닝은 떨어져서 클러치는 해제되고, 플라이휠은 공회전하게 되므로 프레스의 슬라이드는 하강이동을 급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위험영역(α)상측의 적절한 프레스 일부위에 프레스의 높이나 작업각도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단판(INP)을 구비함으로서 위험영역(α)밖의 잡음성분이 상기 집광계(101)로 입사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감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는 집광계 및 원적외선 검출부를 통해 신호를 감지하되,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중 타잡음성분과의 구별이 뚜렷한 파장영역의 성분만 여과하여 증폭하고, 또한 상기 여과 증폭된 신호의 대소에 따라 인체가 위험영역에 있는가 혹은 비위험영역에 있는가를 비교판단하여,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전원을 신속히 스위칭하여 프레스의 하강이동을 급정지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종래 기술인 광전자 방식이나 일반적인 적외선 방식등에서 나타나는 많은 오동작을 감소시켜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간단한 전자소자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에 따라 실린더내로의 압축공기 출입이 통제되고,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제어되어, 슬라이드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레스의 안정장치(201)에 있어서, 원적외선을 충분히 집중시키기 위한 집광계(101)와 ; 원적외선중 인체에서 방사되는 특정파장 이상의 원적외선만을 여과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원적외선검출부(102)와; 상기 전기신호중 타잡음 성분과의 구별이 뚜렷한 신호만을 여과하여 이를 증폭하는 신호여과 및 증폭부(103)와; 상기 신호여과 및 증폭부(103)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체의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104)와; 타이머부(105)와 전원스위칭부(106) 및 상기 각부(102 내지 106)와 솔레노이드(SOL)에 일정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정전원부(107, 108)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스위칭부(202)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SOL)가 상기 원적외선 스위칭부(202)에 접속되어져서 위험영역(α)내의 인체로부터 원적외선 입력시 솔레노이드(SOL)에 전원이 인가되고, 브레이크 및 클러치가 구동 및 해제되어 프레스의 슬라이드가 급정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험영역(α)상측의 적절한 프레스 일부위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단판(INP)을 설치하여 위험영역(α)외의 지역에서 잡음신호가 잡광계(101)에 입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
KR1019900005443A 1990-04-18 1990-04-18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KR92000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443A KR920005031B1 (ko) 1990-04-18 1990-04-18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PCT/KR1991/000011 WO1991016569A1 (en) 1990-04-18 1991-04-17 A safety device utilizing far infrared rays for use with a pr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443A KR920005031B1 (ko) 1990-04-18 1990-04-18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715A KR910018715A (ko) 1991-11-30
KR920005031B1 true KR920005031B1 (ko) 1992-06-25

Family

ID=1929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443A KR920005031B1 (ko) 1990-04-18 1990-04-18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20005031B1 (ko)
WO (1) WO19910165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20A (ko) * 2002-08-02 2002-09-11 김기식 프레스용 감응식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0841A1 (en) * 1992-12-04 1994-06-08 STEINEX S.r.l. Accident-preventing control device for oil-operated presses and the like, in particular for stone-breaking workings
FR2710172B1 (fr) * 1993-09-14 1995-11-17 Ind Entreprise Dispositif de détection infrarouge du franchissement d'une limite matérialisée par deux plans parallèles.
WO2003031167A1 (en) * 2001-10-05 2003-04-17 Risoda Pty. Limited Open top finger baler
WO2005068896A1 (en) * 2004-01-12 2005-07-28 Michael Alexander Trzecieski Operator safety device for a machine having sharp implements
ITMI20051381A1 (it) * 2005-07-20 2007-01-21 Ecoassistenza S R L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 nastro di alimentazione e una pressa destinata alla compressione di rifiuti
US7439512B2 (en) * 2006-06-26 2008-10-21 Qualex Manufactu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safe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2197A1 (de) * 1964-10-13 1969-01-30 Sick Erwin Elektrisch-hydraulische Pressensteuerung
DE3601251C2 (de) * 1986-01-17 1997-02-13 Bosch Gmbh Robert Rollenprüfstand zur Leistungsmessung und/oder Funktionsprüfung von Kraftfahrzeugen
DE3643060A1 (de) * 1986-04-22 1987-11-19 Peiniger Ernst Gmbh Sicherheitseinrichtung
DE3629651A1 (de) * 1986-08-30 1988-03-17 Wolfgang Weiss Geraet zur erfassung der von lebenden koerpern ausgehenden waermestrahlung
DE3922218A1 (de) * 1989-07-06 1991-01-17 Johann Hufen Personenschutzanlage psa 12 zur erkennung von personen aufgrund ihrer emmi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20A (ko) * 2002-08-02 2002-09-11 김기식 프레스용 감응식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1016569A1 (en) 1991-10-31
KR910018715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031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레스 안전장치(f.d.p)
US5128654A (en) Preset light controller including infrared sensor operable in multiple modes
US3742474A (en) Flame detector
CN206742687U (zh) 自关门配电柜
CA1240762A (en) Electrical controller having a window discriminator
GB2319080A (en) Infra red detector
US4759608A (en) Automatic liquid crystal light-shutter
JPS61502372A (ja) 過熱警報器
WO1993007511A1 (en) Method in an optically operated proximity switch
US5245196A (en) Infrared flame sensor responsive to infrared radiation
US7781735B2 (en) Sun detection sensor
SE452664B (sv) Anordning for overvakning av elektriska anordningar med avseende pa uppkomsten av en eller flera ljusbagar
CA1183236A (en) Self-checking flame failure controls
EP0353259B1 (en) Motion sensor
US3181035A (en) Electronic control circuit
JP3333646B2 (ja) 赤外線式人体検知装置
EP0068019B1 (en) Control device responsive to infrared radiation
CN218763896U (zh) 一种用于空调的基于室内无人时自动关机节能装置
ATE112112T1 (de)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n lüfter.
GB2231954A (en) A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s in a room
JPH031784Y2 (ko)
JPS622486B2 (ko)
JPH01253095A (ja) 在室センサ
KR20010001673A (ko) 인체 감지 장치
BRMU8801231U2 (pt) detector de metal qu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