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963B1 -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 Google Patents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963B1
KR920004963B1 KR1019880017969A KR880017969A KR920004963B1 KR 920004963 B1 KR920004963 B1 KR 920004963B1 KR 1019880017969 A KR1019880017969 A KR 1019880017969A KR 880017969 A KR880017969 A KR 880017969A KR 920004963 B1 KR920004963 B1 KR 92000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valve
line
supply system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914A (ko
Inventor
전치훈
김윤태
박성호
강봉구
김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 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88001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963B1/ko
Publication of KR90001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를 나타낸 관계통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서의 유독가스 라인의 관계통도.
제 3 도는 전원 차단시의 가스공급계 상태를 나타내는 관계통도.
제 4 도는 알곤(Ar)가스의 용도를 나타내는 반응기(A)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주판 4 : 분지관
5, 7, 8, 12 : 공압밸브 6 : 질량유량 조절기(MFC)
23 : 벨로우즈 9, 15, 17 : 수동밸브
10 : 벌크해드 유니언 11, 14, 20 : 역지밸브
13 : 질소유입라인 16 : 바이패스 라인
18 : 평상시 열린 상태(N, O)의 공압밸브 19 : 개폐 및 유량조절 겸용의 수동밸브
21 : 압력스위치 22 : 솔레노이드 밸브(3변 2방향)
23 : 벨로오즈 24 : 여분라인 연결단
25 : 자외광 투과창 26 : 가스주입창
27 : 가스 주입공간 28 : 기판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작시 실리콘(Si)이나 갈륨비소(GaAs)기판상에, 실리콘계 절연박막인 이산화규소(SiO2) 및 옥시나이트라이드(SiOXNy) 박막을 광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증착시키는 광화학 증착장치(Photo Chemical Vapor deposition)를 구성하는 여러 모듈중, 원료 및 분위기 가스인 실란(SiH4), 산화질소(N2O), 산소(O2), 암모니아(NH3), 질소(N2), 알곤(Ar)가스를 실제 증착의 화학반응이 발생하는 곳인 반응로까지 원하는 유량으로 안전하게 수송하는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 공급계에 관한 것이다. 광화학 증착법은 반응가스를 가스공급계를 통해 반응기로 전달하고 여기에서 자외광등의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50-25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화학반응을 유발시켜 기판상에 고체물질를 증착시키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때 반응에 소요되는 공정가스들을 광의 흡수파장이 각기 다르므로 낮은 광에너지에서도 쉽게 분해하는 가스를 선택하여 광의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 이 공정가스들은 대부분 유독성, 가연성, 부식성 등의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스공급계의 구성시 적절한 안전대책을 구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중 증착, 식각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장치에서는 증착대상 물질에 따라 원료가스들의 종류가 상이하다.
또 대부분의 원료가스들이 공기중에 유출시 유해한 반응이 일어나는 유독성 가스들이어서 안전을 위해서 가스들의 종류에 따라 그 가스공급 시스템의 구성이 달라진다. 특히 공급유량의 변동에 따라 증착박막의 두께가 미세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원료가스의 정확한 유량제어 및 공정순서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시킨 제어가 가능하여야 하며, 또 가스공급 시스템 구성부품을 교체한 후 관내에 공기가 남아 있으면 원료가스와 반응하여 질량유량 조절기(제 2 도 : 6)가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유지보수를 위한 대책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외에 종래의 광화학 증착장치(Tylan사 :PVD1000)에서는 증착의 에너지원인 자외광이 반응로에 부착된 자외선 투과창을 통해 유입되나 반응로내에서 원료가스가 투과창으로 확산되므로 투과창에 박막의 증착이 발생하여 공정시간에 따라 기판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강도는 점점 저하되어감과 함께 실리콘이나 칼륨 비소 기관(제 4 도 : 28)상의 단위시간당 증착량도 감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도와 같이 가스공급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N2), 암모니아(NH3), 산화질소(N2O), 실란(SiH4)라인은 주관(1)에 접속되어 공압밸브(5)를 거치고, 알곤(Ar)과 산소(O2)라인은 질량유량 조절기(6), 공압밸브(7), (8)을 통하여 주관(2), (3)을 거쳐 벨로우즈(23)에 접속된 반응기로 연결되도록 한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에 있어서, 상기 질소,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라인에는 수동밸브(9), 벌크헤드 유니언(10), 역지밸브(11) 및 공압밸브(12)를 설치하여 질량유량 조절기(6) 전단에 접속하되, 상기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라인에는 상기 질소라인으로부터 질소를 유입하는 분지관(13), 역지밸브(14), 수동밸브(15)를 설치함과 아울러 암모니아, 실란라인에는 바이패스 라인(16)과 수동밸브(17)을 설치하고, 상기 질소라인의 분지관(4)에는 평상시 열린 상태의 공압밸브(18)과 개폐 및 유량조절 겸용의 수동밸브(19)를 설치하여 역지밸브(20)를 통해 주관(1)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질소 및 공기(air)라인에는 압력스위치(21)을 설치하고, 또 공기라인 상에는 3변 2방향의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설치하여 상기 각각의 공압밸브에 접속하게 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한 관계통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총체적인 화학반응식이 이용된다.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hv는 광에너지(자외광)이다.
따라서 실란, 산화질소, 산소, 암모니아가 증착물질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되고, 반응기를 세척하거나 공정가스를 희석 또는 질량전달을 증진하기 위하여 질소, 알곤이 사용된다. 특히, 불활성 가스인 알곤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광 투과창(25)에의 박막증착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하부의 망사형(mesh)의 구멍이 뚫린 가스주입창(26) 사이의 공간(27)에 주입함으로써 반응기로부터의 자외광 투과창에로의 반응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위의 가스들은 주관(1), (2), (3)을 통하고 공압밸브(5), (6), (7) 부위를 거쳐 특정 공정에 따라 벨로우즈(23)에 접속된 반응기로 전달된다.
그리고 공기는 3변 2방향의 솔레노이드 밸브(22)를 통해 질량유량조절기(6)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한 공압밸브의 실린더에 공급되므로, 이로서 각 가스의 주입시간을 조절, 시컨스 제어를 할 수 있다.
또, 질소 및 공기라인에는 공급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스위치(2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전장치와 연동시킬 수 있고, 실란라인에는 역류방지를 위해, 그리고 질소라인의 경우에는 유틸리티(utility)에로의 공정가스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역지밸브(11)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여분라인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단(24)는 반응기를 건식식각 할 경우 공정가스의 공급처로도 이용할 수 있다. 가스공급계 전체를 유지, 보수하고자 할 때는 수동밸브(9)를 차단하고 벌크헤드 유니언(10)양단을 분리하면 장치가 전체 기기에서 완전히 격리되므로 간편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한편, 제 2 도는 본 발명의 암모니아와 실란라인의 관계통로로서, 질량유량 조절기(6)를 보수하려면 수동밸브(15), (17) 및 공압밸브(12)를 열어 잔류된 반응가스를 질소로 희석시키면서 바이패스 라인(16)을 통해 완전히 배기시킨 후 질량유량 조절기를 분리하여 보수할 수 있다.
이대 질소와 잔류가스가 순간적으로 완전히 혼합된다고 가정하면, 질소 유입시간은 다음 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t : 질소유입시간
Vp : 세척부위의 체적
Q : 질소가스의 유량
Co : 초기의 반응가스의 농도
Ct : t시간 후의 반응가스 농도
아울러 제 3 도의 상기 질소라인의 분지관(4)에는 평상시 열린 상태의 공압밸브(18)와 개폐 및 유량조절겸용의 수동밸브(19)를 설치하고 역지밸브(20)를 통해 주관(1)에 접속된다.
이것은 공정중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제 3 도와 같이 질소의 분지관(4)에 위치한 공압밸브(18)(평상시 열린 상태 N, O)를 제외한 모든 공압밸브가 차단되고 상기 공압밸브(18)를 통해서만 질소가 분지관(4)를 따라 메인파이프(1)를 거쳐 반응기로 유입되므로써 반응가스를 배기제로 강제 배출시킨다. 이때 가스공급계에 차있던 잔류가스는 공압밸브(5), (7), (8)가 닫히게 되므로 외부와 격리되어 안전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반응기에 구동부위가 부착되어 있거나 반응기의 밀봉을 진공과 대기압과의 압력차만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의 정전시 대책으로 인해 배기계 이외의 부분으로 유독가스를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이때는 공압밸브(18) 뒤쪽에 위치한 개폐 및 유량조절겸용의 수동식밸브(19)를 미리 차단시켜 놓으면 전원이 차단되기 전의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술한 질소 및 공기라인에는 공급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스위치(21)가 설치되어 별도의 안전장치와 연동시킬 수 있다.
또, 공기라인에는 3변 2방향의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설치하여 이것을 통해 질량유량 조절기(6)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한 공압밸브의 실린더에 공급되므로 각 가스의 주입시간을 조절하여 시컨스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여분라인을 연결할 수 있는 메인파이프(1)의 연결단(24)은 반응기를 건식식각할 경우 공정가스의 공급처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제작시 실리콘계 절연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를 질소,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 알곤, 산소를 공정가스로 그리고 공기를 시컨스 제어용으로 사용하여 제 1 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박막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특히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라인 상에 질소유입 라인, 바이패스 라인, 역지밸브등을 설치하여 질량유량 조절기의 유지와 보수를 간편화시키고 안전대책을 구비하게 하고 있다. 또, 질소라인에는 공압밸브(평상시 열린상태)와 개폐 및 유량조절겸용의 수동밸브를 설치하여 주관의 끝단에 공압밸브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전원차단시 반응기가 자동으로 세척되고 잔류가스가 반응기와 격리되도록 안전대책을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Claims (2)

  1. 질소,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SiH4) 라인이 접속되어 반응기로 연결되도록 한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에있어서, 상기 질소,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라인에는 수동밸브(9), 벌크헤드 유니온(10), 역지밸브(11), 공압밸브(12)순으로 설치하고 질량유량 조절기(6)의 전단에 집속하여 주관(1)과 공압밸브(5)와 벨로우즈(23)에 설치되는 각기 동일한 구성을 갖되, 상기 질소라인에서 실란라인에 연결되는 질소유입 라인(13)을 구비하고 상기 질소유입 라인(13)상에서 역지밸브(14)와 수동밸브(15)가 상기 암모니아, 산화질소, 실란라인에 접속됨과 ; 수동 밸브(9)와 벌크헤드 유니온(10), 솔레노이드 밸브(22) 공압밸브가 설치되는 공기라인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라인은 역지밸브(11)와 공압밸브(12)사이에 공압밸브(18), 수동밸브(19), 역지밸브(20)가 설치되어 주관(1)에 연결되는 분기관(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KR1019880017969A 1988-12-30 1988-12-30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KR92000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969A KR920004963B1 (ko) 1988-12-30 1988-12-30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969A KR920004963B1 (ko) 1988-12-30 1988-12-30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14A KR900010914A (ko) 1990-07-11
KR920004963B1 true KR920004963B1 (ko) 1992-06-22

Family

ID=1928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969A KR920004963B1 (ko) 1988-12-30 1988-12-30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9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14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74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flammable effluent gases from manufacturing processes
US6376387B2 (en) Method of sealing an epitaxial silicon layer on a substrate
EP0473040A1 (en) System for delivery of reactive gases from a source of supply to a tool
EP2058843A2 (en) Multi-port pumping system for substrate processing chambers
US6810897B2 (en) Process gas supply mechanism for ALCVD systems
KR19990081918A (ko) 박판형 기판의 운송방법 및 운송장치
CN101460782A (zh) 具有安全、监测及控制特征的热衰减反应装置
KR920004963B1 (ko) 실리콘계 절연박막 형성을 위한 광화학 증착장치용 가스공급계
US4913192A (en) Gas flow control apparatus
KR100481182B1 (ko)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설비용 가스공급장치 및그 인터록 방법
WO1996034705A1 (en) Mfc-quick change method and apparatus
KR900000757B1 (ko) 내화금속용 저압화학증착장치의 가스공급계
KR910000274B1 (ko) 다결정실리콘용 저압화학 증착장치의 가스공급계
KR100270754B1 (ko)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KR0167240B1 (ko) 반도체절연막 증착장비의 가스공급장치
CN220770823U (zh) 气体管路
JP6174316B2 (ja) 除害装置
JP2022183058A (ja) 半導体処理システムにおいてガス流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60393B1 (ko) 유량조절방법
KR970004653Y1 (ko) 상압 화학 기상 증착 장비의 배기장치
KR0165383B1 (ko) 산화장치 및 산화방법
KR100234531B1 (ko) 반도체 저압화학기상증착설비의 배기장치
CN117127265A (zh) 扩散炉及其气体供应管路以及气体供应方法
JPH0128830B2 (ko)
CN116190279A (zh) 尾气排放装置及半导体热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