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939Y1 -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939Y1
KR920004939Y1 KR2019890008576U KR890008576U KR920004939Y1 KR 920004939 Y1 KR920004939 Y1 KR 920004939Y1 KR 2019890008576 U KR2019890008576 U KR 2019890008576U KR 890008576 U KR890008576 U KR 890008576U KR 920004939 Y1 KR920004939 Y1 KR 920004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ylinder
coaxial cable
center conductor
prob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190U (ko
Inventor
히로시 노구찌
가즈오 가와다
Original Assignee
스탁꾸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다지마 미즈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탁꾸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다지마 미즈야 filed Critical 스탁꾸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72High frequency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8End pieces terminating in a pro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접속기구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셀 2 :프로브
3,4 : 절연재링 4 : 중심도체
6 : 환상홈 8,10,44 : 단차면
11,14 : 결합수단 13 : 동축케이블
12 : 통형상금구(金具) 15 : 개구부
16 : 탄성통체 17,43 : 칼라
18 : 핀 19 ; 중심도체
41 : 대경부 42 : 소경부
본 고안은 전기회로등의 전압파형의 측정에 사용되는 측정장치에 있어서,그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의 중심도체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 접속에는 납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납땜할 수 없는 것에 있어서 프로브의 중심도체를 편심 지지점을 갖는 판스프링에 도결(導結)하고,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끝부분을 통형상 금구중심에 합성수지 블록을 통하여 고정하고, 프로브의 슬리브와 통형상 금구의 나사결합시에 동축케이블 중심도체가 판스프링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납땜 작업을 부품이 작음으로 인하여 대단히 손이 많이가고 납땜이 불완전하면 전기도통에 지장을 초래한다.
판스프링형이면 판스프링의 지지점을 편심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조립이 번거롭고, 프로브를 장기간 사용하고 있으면, 판스프링의 탄력성이 약해져서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블록은 저온하에서 콜드블로우 즉, 수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것도 접속불량을 유발한다.
본 고안은 중심도체를 동심적으로 또 고정적으로 싸고 또 끝부분에 결합수단이 설치된 프로브의 셀과, 동축케이블 끝부분에 통상적으로 준비되고, 자신의 끝부분에 상기 결합수단과 협동하는 결합수단이 설치된 통형상금구를 가지고,이 통형성금구의 개구부에는 탄성통체가 끼워맞춤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이 탄성통체에 칼라가 부착되어 도전성 핀을 동심으로 압입관통하여 양자의 벽면에서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를 압지(壓持)하고,이들의 셀과 통형상 금구의 결합시, 셀의 중심도체끝의 핀간에 작용하는 누르는 힘으로 이 핀이 탄성통체를 왜곡시켜 밀어넣어지고, 그 복원력에 의해 양자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통체는 내면에 동축케이블의 내부절연체 끝부분을 수용하는 대경부와, 도전성 핀을 압입 관통시키는 소경부를 가지고 있다.
탄성통체를 절연성 물질로 구성한다.
절연성물질로서는 실리콘 고무를 들 수 있다.
탄성통체의 한쪽끝 바깥둘레에 칼라를 설치하고, 이 칼라의 측면과 통형성 금구 단면의 맞닿기로 탄성통체를 통형상 금구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통형상 금구의 개구부에 지름이 줄어든 단차면을 형성하고, 탄성통체의 끝면과 이 단차면의 맞닿기로 탄성통체를 통형상 금구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시켜도 좋다.
프로브의 셀과 동축케이블끝의 통형상 금구를 각각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한다. 결합수단으로서 일반적인 것은 암수나사이며, 또 바요네트(bayonet) 결합도 채용할 수 있다. 프로브의 중심도체와 통형상금구의 칼라부착으로 도전성의 핀은 각각 프로브와 통형상금구에 대하여 양자의 결합완료위치에서 각각 선단이 서로 상대쪽에 들어갈 위치를 점하고 있다. 따라서, 결합 완료전에 중심도체와 핀은 충돌하고, 완료시에는 탄성통체에 지지된 핀이 이 탄성통체를 왜곡시켜 후퇴하는 결과가 된다.
이 탄성통체의 복원력은 항상 핀과 중심도체와의 접속을 완전히 유지한다.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는 탄성통체를 관통하고 있으며, 핀을 탄성통체에 동심으로 압입관통함으로써 핀과 탄성통체의 양벽면에서 이 중심도체가 가압지지되므로 중심도체와 핀과는 완전하게 도통상태를 유지한다.
탄성통체의 내면에 설치한 대경부에는 동축케이블의 내부절연체가 수용되고, 소경부에는 핀이 압입되어 이 소경부를 관통하고 있다. 핀은 탄성통체에 안정되어 지지된다. 또, 핀 압입시에 중심도체가 가압 복귀하고, 가늘기 때문에 변형하더라도 이 변형은 이 대경부내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변형부가 외부도체의 회전치수의 오차에 의해 내부절연체의 노출길이가 부족해서 생기는, 내부절연체와, 탄성통체의 단면 사이의 틈새에서 나와 통형상금구와 단락되는 일은 없다.
탄성통체를 절연성물질로 구성한다. 이 물질로서는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황성분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중심도체에 시공한 은도금의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다.
탄성통체의 한쪽끝 바깥둘레에 통형상 금구의 끝면과 맞닿는 칼라를 설치한다. 이 탄성통체를 통형상 금구의 개구부에 압입해 가면 이 칼라측면이 통형상 금구의 단면에 충돌하고, 이 이상 압입할 수 없게 되어 탄성통체가 통성상 금구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통형상 금구의 개구부 축경에 의한 단차면을 형성해두면 탄성통체를 이 개구부에 압입했을 때 그 선단면이 이 단차면에 충돌하여 그 이상 압입되지 않으므로 탄성통체가 통형상 금구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이 경우, 탄성통체에 상기와 같은 칼라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1은 프로브(2)의 셀, 즉 외부도체로서, 일체의 절연래링(3,4)을 통하여 중심도체(5)를 동심적으로 싸고 있다.
이 링(3)은 중심도체(5)의 한쪽끝 바깥둘레에 설치한 고리형상홈(6)에 끼워맞춤하여 중심도체(5)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또 링(4)은 이 중심도체(5)의 다른끝 바깥둘레의 축서직경부(7)에 끼워맞춤하여 그 측면이 단차면(8)에 맞닿고, 이 측면과 반대쪽 측면을 셀(2)의 내벽면에 축소직경(9)에 의해 나타난 단차면(10)에 맞닿는다.
이 링(4)과 차단면(8,10)에 의해 중심도체(5)는 그 축방향 하중에 의해 링(3)에 링(4)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고, 셀(1)이 중심도체(5)를 고정적으로 싸고 있다. 다시말하면 중심도체(5)에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중심도체(5)가 프로브(2)내에 그 이상 후퇴하는 일은 없고, 이 셀(1)의 끝부에는 결합수단(11)이 설치된다.
12는 도전성인 통형상 금구로서, 동축케이블(13) 끝부에 통상와 같이 준비된다. 이 통형상 금구(12)의 끝부에는 셀(1)의 결합수단(11)과 협동하는 결합수단(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상 금구(12)의 개구부(15)에는 탄성통체(16)가 끼워 맞춤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탄성통체(16)에 칼라(17)를 구비한 도전성핀(18)을 동심으로 압입하여 관통시킨다. 이때, 동축케이블(13)의 중심도체(19)를 탄성통체(16)를 통과시켜 반대쪽으로 돌출시키고, 핀(18)의 압입에 의해 핀과 탄성통체(16)의 양벽면에서 이 중심도체(19)를 가압지지시킨다. 이로서 중심도체(19)와 핀(18)간의 전기의 도통을 확실하게 한다.
여기서 셀(1)과 통형상 금구(12)를 결합수단(11,14)을 통하여 결합한다. 양자의 결합완료 상태에서는 중심도체(5)에 핀(18)의 선단부분이 중합하게되는데, 중심도체(5)는 셀(1)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결국 핀(18)이 탄성통체(16)를 휘게하여 후퇴한다. 따라서 이 결합종료상태에서 핀(18)에는 탄성통체(16)의 복원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으며, 핀(18)과 중심도체(5)는 압접을 유지한다.
20은 콘덴서등을 포함한 전기부품 블록으로서, 양단에 도선(21,22)이 돌출하고 있다. 도선(21)은 중심도체(5)와 접속되고, 도선(22)은 셀(1)의 끝부분을 통하여 끼워붙인 접촉침(24)과 접속된다.
절연재(23)에는 칼라(25)가 형성되고, 이 칼라(25)의 측면이 셀(1)의 단면과 맞닿고 있다. 접촉침(24)에는 반대쪽에 축공(26)이 준비되고 이축공에 도선(22)의 선단에 고착한 분할홈(27)이 부착한 접속자(28)를 압입하여 접촉침(24)과 중심도체(5)가 전기적으로 도결된다. 통형상 금구(12)의 외주에는 칼라(29)가 형성되고, 소패너와 걸어맞춤하기 위한 평탄면(30)이 설치된다.
31은 동축케이블의 내부절연체, 32는 이 내부절연체(31)의 외주에 배치된 그물모양의 외부도체, 33은 외부도체(32)의 외주를 둘러싼 외부절연체이다.
이 외부절연체(33)의 한쪽끝 부분을 절제하여 외부도체(32)를 이 외부절연체(33)위에 되접고, 통형상 금구(12)의 축소직경 끝부분 바깥둘레에 외부도체(32)를 가압하여 끼운다.
그리고 죄임쇠(34)에 의해 외부도체(32)와 통형상 금구(12)를 압접시키고, 전기의 도통과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한다. 동축케이블(13)과 통형상 금구(12)의 이와 같은 부착방법은 이미 설명한대로 종래 보통 행해지고 있는 방법이다.
탄성통체(16)내면에 동축케이블(13)이 내부절연체(31)를 수용하는 대경부(41)와, 도전성의 핀(18)을 압입하여 관통시키는 소경부(42)가 형성되어있다.
핀(18)은 이 서경부(42)에서 이 탄성통체에(16) 튼튼하게 유지되고 내부절연체(31)가 대경부(41) 들어감으로써 절연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핀(10)의 압입시, 가느다란 중심도체(19)가 가압복귀되어 휘는 일이 있으나 이 변형은 대경부(41)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중심도체(19)가 통형상 금구(12)가 단락되거나 하지 않는다.
탄성통체(16)를 절연성 물질로 구성하면 피(18)과 통형상금구(12)와의 사이의 절연성이 확보된다. 이 물질로서 실리콘 고무를 채용하면 중심도체(19)에 시공된 은도금이 부식되지 않아도 된다.
탄성통체(16)는 한쪽끝 바깥둘레에 칼라(43)를 가지고 있다. 이 탄성통체(16)를 통형상 금구(12)에 압입하고, 이 칼라(43)측면이 금구(12)단면에 맞닿으면 통체(16)는 진입이 그쳐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통형상 금구(12)는 개구부(15)에 축소직경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단차면(44)을 가지고 있다. 탄성통체(16)를 이 개구부(15)에 압입하여 그 선단이 이 단차면(44)에 닿으면 통체(16)는 진입이 멎고,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본 고안에 위하면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을 그것들의 중심도체가 칼라부착의 또, 도전성의 핀과 이것을 소정위치에 유지하는 탄성통체를 통하여 이 탄성통체의 왜곡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항상 압접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접촉불량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칼라가 부착되고 도전성인 핀은 탄성통체의 소경부에의 압입에 의해 이 탄성통체에 안정되게 유지되고, 또 이 탄성통체와의 사이에서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를 가압 지지하고, 핀과 중심도체와의 사이의 전기적 도통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한다. 또 탄성통체의 대경부에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가 수용되므로 핀압입시에 일어날 수 있는 중심도체의 변형발생을 이 대경부내에 규제할 수 있고, 중심도체와 통형상금구가 단락되는 일은 없다.
탄성통체가 절연성 물질이면 별개의 절연체를 개장할 필요가 없다. 특히 이 물질로서 실리콘고무를 사용하면 황성분이 없으므로 중심도체에 시행한 은도금을 부식시키거나 하지 않는다.
탄성통체는 한쪽끝 바깥둘레의 칼라의 측면을 통형상 금구이 단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통형상 금구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핀에 가압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통체를 왜곡시킬 수가 있다.
통형상 금구의 개구부에 설치한 단차면은 탄성통체의 끝면과 맞닿으면 이 통체의 그 이상의 이동을 지지하고, 이 통체를 통형상 금구(12)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핀에 가압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통체를 왜곡시킬 수가 있다.

Claims (6)

  1. 중심도체를 동심으로 또한 고정적으로 둘러싸고,또 끝부에 결합수단이 설치된 프로브의 셀과 동축케이블의 끝부에 준비되고 자신의 끝부에 상기 결합수단과 협동하는 결합수단이 설치된 통형상 금구를 가지고,이 통형상 금구의 개구부에는 탄성통체가 끼워맞춤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이 탄성통체에 칼라가 부착되고 도전성인 핀을 동심으로 압입관통하여 양자의 벽면에서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를 가압 지지하고, 이들 셀과 통형상 금구의 결합시, 셀의 중심도체끝과 핀 사이에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이 핀이 탄성통체를 왜곡시켜 밀어넣어지고, 그 복원력에 의해 양자의 접속이 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이 탄성통체의 내면에는 동축케이블의 내부절연체 끝부를 수용하는 대경부와, 상기 핀을 압입 관통시키는 소경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 탄성통체는 절연체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이 절연성 물질이 실리콘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5. 제 1 항, 제 2 항,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이 탄성통체는 한쪽끝 바깥둘레에 칼라를 가지고, 이 칼라의 측면과 이 통형상 금구의 단면의 맞닿기에 의해 탄성통체의 이 통형상 금구에 대한 소정위치의 유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6. 제 1 항, 제 2 항,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이 통형상 금구는 이 개구부에 축소직경에 의한 단차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탄성통체의 끝면과 이 단차면이 맞닿기에 의해 탄성통체의 이 통형상 금구에 대한 소정위치의 유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KR2019890008576U 1989-04-26 1989-06-21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KR9200049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48316U JPH0527811Y2 (ko) 1989-04-26 1989-04-26
JP1-48316 198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0U KR910001190U (ko) 1991-01-24
KR920004939Y1 true KR920004939Y1 (ko) 1992-07-23

Family

ID=1280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576U KR920004939Y1 (ko) 1989-04-26 1989-06-21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06668A (ko)
JP (1) JPH0527811Y2 (ko)
KR (1) KR920004939Y1 (ko)
CN (1) CN205804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169A (ja) * 1999-04-16 2000-10-24 Maspro Denkoh Corp L形同軸プラグコネクタ
DE202007004296U1 (de) * 2007-03-23 2007-07-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alibrieradapter
KR102503437B1 (ko) * 2021-04-26 2023-02-24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인쇄회로기판 테스트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2482A (en) * 1956-06-12 1962-02-20 Bird Electronic Corp Coaxial line transition se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040288A (en) * 1958-02-27 1962-06-19 Phelps Dodge Copper Prod Means for connecting metal jacketed coaxial cable
US3070649A (en) * 1960-06-14 1962-12-25 Phelps Dodge Copper Prod Coaxial cable coupling
US3295076A (en) * 1964-08-17 1966-12-27 Bendix Corp Electrical connector means for coaxial cables and the like
US4321532A (en) * 1978-03-16 1982-03-23 Luna L Jack Repairable spring probe assembly
JPS5926539Y2 (ja) * 1978-08-22 1984-08-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ケ−ブル用接栓
JPS5940857A (ja) * 1982-08-31 1984-03-06 松下電工株式会社 按摩機用のもみ輪
US4764722A (en) * 1985-10-28 1988-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axial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0U (ko) 1991-01-24
US5006668A (en) 1991-04-09
JPH02138866U (ko) 1990-11-20
CN2058040U (zh) 1990-06-06
JPH0527811Y2 (ko) 199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762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circuit test probe and connector
US7153161B2 (en) Coaxial connector
US4659987A (en) Electrical circuit test probe and connector
US5790361A (en) Coaxial surge protector with impedance matching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US5037329A (en) Angular connector for a shielded coaxial cable
US5658171A (en) Sealed coaxial feedthrough connector
US6439925B1 (en) Radio frequency cable connector assembly
EP0592519A1 (en) Dual usage electrical/electronic pin terminal system
US3323098A (en) Sub-miniature coaxial connector
KR920004939Y1 (ko) 프로브와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의 접속기구
EP0133377A2 (en) miniature electrical terminal for low energy electronic circuits
JPH11307158A (ja) 同軸コネクタ
US3975077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5030878A (ja) 検査用プローブ
US3541480A (en) Butt diode contacting
CN217444649U (zh) 充电端子、充电座和电连接组件
JP3230972B2 (ja) 点火ケーブル用接続端子
JP2537567Y2 (ja) コネクタ
US3992077A (e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JPH0562863U (ja) スプリングプロ―ブ
JPH0590373U (ja) スプリングプロ―ブ
SU1026208A1 (ru) Герметич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JPH0512771Y2 (ko)
ES254323U (es) Ÿmanguito de anclaje para conductores electricos desnudos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