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549Y1 -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 Google Patents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549Y1
KR920004549Y1 KR2019890011563U KR890011563U KR920004549Y1 KR 920004549 Y1 KR920004549 Y1 KR 920004549Y1 KR 2019890011563 U KR2019890011563 U KR 2019890011563U KR 890011563 U KR890011563 U KR 890011563U KR 920004549 Y1 KR920004549 Y1 KR 920004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parator
refrigerant
screw compressor
oi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502U (ko
Inventor
원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원세기
원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원세기, 원윤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원세기
Priority to KR2019890011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549Y1/ko
Publication of KR910004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오일분리기가 장착된 반밀폐형 스크류 압축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부분절개 단면도.
제 3a 도는 본 고안의 오일분리기의 사시도, (b)는 본 고안 오일분리기의 부분절개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 오일분리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키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분리기 13, 13 : 디미스터
15 : 방해판 131 : 다공판
151 : 간극
본 고안은 냉동, 냉장, 공기조화설비 등의 많은 산업분야에서 대용량 및 소용량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스크류 압축기에 일체로 적용설치할 수 있는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개방형 스크류 압축기에서 장치 계통내에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오일 및 오일냉각기 등의 부수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반밀폐형 스크류 압축기에 설치되어 압축기유니트를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종래의 압축기는 냉동, 공조 설비에 있어서, 저온, 저압의 냉매개스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상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압축과정중에는 몇가지 이유로 다량의 윤활유를 분사해주어야 하는 바, 그 이유는 작동부위의 마찰부분의 마모를 방지하고, 압축시 발생되는 열을 일부 냉각하려는 목적과 반복되는 응력으로 인한 금속부품의 피로를 분산시키는 한편, 실링라인(saling line)에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압축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함에서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해서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지만 이에 따른 몇몇문제점이 있는바, 이는 냉매개스가 분사된 윤활유에 혼합되므로해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즉, 윤활유가 냉매에 용해 또는 혼합된 상태로 장치내를 순환함으로해서 이들이 온도가 낮은 증발기내에 다달으면 오일이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증발기내에 고여 있거나, 냉매와 혼합된 상태로 증발기내에 혼재하게 됨으로해서 장치내의 오일보유량이 점차 감소한다는 문제점과 함께 냉매개스의 비등점이 올라가며 냉동능력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사된 오일이 작은 입자로되어 토출개스속에 혼재된 상태로 응축기에 보내지면 응축기의 냉각면이 유막으로 도포되어 방열성능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대두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통상의 왕복동에 압축기에 각각의 독립구성체인 오일분리기 및 오일냉각기등을 장치계통중에 부설한 것이 있으나, 각각 별개체인 압축기 오일분리기, 오일냉각기를 결합함에 따른 비대한 동체, 넓은 설치장소, 조립계통구조의 복잡성등의 문제점이 많은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통상의 반밀페형 스크류 압축기에 적용 설치하여 일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오일분리기를 안출한 것이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압축기본체(2)에 본 고안의 오일분리기(1)가 장착된 반밀폐형 스크류 압축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오일분리기(1)일측에 냉매출구커버(12)를 갖고 있다. 제 2 도의 종단면도에는 그 내부구조가 간략히 도시도어 있는바, 압축기 본체(2)는 한쌍의 암수로우터(Rotor)(3)가 내설되는 모우터케이싱(Rotor casing)의 기능을 가지며, 본체(2)의 좌단에는 상기의 로우터(3)를 구동시키는 모터(4) 및 모터케이싱(5)이 플랜지 접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압축기내로 유입된 냉매개스는 먼저 모터(4)를 냉각시킨 후 로우터(3)의 흡입구측으로 유입되어 모우터(3)의 치형공간과 로우터케이싱과의 공간용적 변화에 따라 압축되는데, 이때 축수 및 로우터(3) 치형공간으로 분사된 윤활유는 냉미개스와 함께 본체(2)의 우측단에 부설된 토출케이싱(6)의 토출구(61)를 통하여 본 고안 오일분리기(1)의 토출실(11)내로 유출된다.
본 고안의 오일분리기(1)는 이와 같이 고압축인 토출실(11)내로 유입된 냉매개스와 오일을 방해판(15)과 2중구조의 디미스터(Demister)(13), (13)를 이용하여 직접 분리시켜 냉매출구(14)를 통하여 냉매만을 장치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세부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극명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즉, 토출케이싱(6)의 토출구(61)를 통하여 고압으로 토출된 냉매와 윤활유의 혼합체는 반원형의 방해판(15)에 부딪쳐 비중차이 및 중력에 의해 1차적인 분리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방해판(15)에 형성한 간극(151)은 고압의 혼합체가 부딪침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반복적인 충격응력에 의한 방해판(15)의 피로를 방지하게 되며, 고정보강판(152)은 방해판(15)의 유동방지의 기능을 갖는다.
이후, 1차 중력분리된 혼합체는 2단계의 디미스터(13)를 거쳐 재차 분리되어 정제된 냉매만이 냉매출구(14)를 통하여 장치내로 유출되는바, 디미스터(13)는 양면이 다공판(131)으로 지지된 내면에 약 45℃의 각도 및 10㎜정도의 웨이브를 가지는 금속망(132)을 일정한 두께로 적층하여 형성한 것으로 1차 분리된 냉매와 윤활유의 혼합체가 디미스터(13)에 도달하면 금속망(132)의 무수한 선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잔존 윤활유는 금속망(132)에 흡착되고, 흡착된 윤활유는 표면장력과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계속 성장하면서 오일분리기(1)내측 하단에 집적된 후, 오일경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압축기본체(2)로 환수되어 재활용 되는 것이다.
한편, 2단계의 디미스터(13) 사이에는 스페이서(16)가 내삽되어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게하고, 오일분리기(1)는 그 전단의 플랜지(17)를 이용하여 본체(2)에 밀폐 장착시키며 디미스터(13)는 지지링(18)을 이용하여 오일분리기(1)내측일단에 고착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오일분리기(1)는 고압축의 토출실(11)내에 방해판(15)과 2중구조의 디미스터(13)를 설치하여 오일을 냉매개스와 직접분리함으로써 장치내에 오일분리기를 별도로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니트를 간단히 단일체로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한쌍의 로우터(3)가 내장된 압축기본체(2)의 일측에는 로우터구동용모터(4)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냉매와 윤활유 혼합체의 분리를 위한 오일분리기(1)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압축기본체(2)에 일체로 체결한 오일분리기(1)의 내측에 간극(151)을 가지는 반원형의 방해판(15)을 토출구(61) 근접위치에 설치하고 그 뒷쪽에는 혼합체의 분리정제를 위한 2조의 디미스터(13)를 스페이셔(16) 및 지지링(18)에 의해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설하여 정제된 냉매가 냉매출구(14)로 유출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디미스터(13)를 양면이 다공판(131)으로 지지된 내측에 금속망(132)을 일정두께로 적층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KR2019890011563U 1989-08-02 1989-08-02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KR920004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563U KR920004549Y1 (ko) 1989-08-02 1989-08-02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563U KR920004549Y1 (ko) 1989-08-02 1989-08-02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502U KR910004502U (ko) 1991-03-19
KR920004549Y1 true KR920004549Y1 (ko) 1992-07-03

Family

ID=1928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563U KR920004549Y1 (ko) 1989-08-02 1989-08-02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5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88B1 (ko) * 2001-10-27 2004-03-09 엘지전선 주식회사 스크류 냉매 압축기의 오일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502U (ko) 199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061A (en) Screw compressor with integral oil cooling
US8512429B2 (en) Coalescing filter element with drainage mechanism
US7674099B2 (en) Compressor with oil bypass
US3684412A (en) Oil separator for rotary compressor
US20080184733A1 (en) Scroll compressor with refrigerant injection system
US7082785B2 (en) Oil separator for vapor compression system compressor
US6807821B2 (en) Compressor with internal accumulator for use in split compressor
US4236876A (en) Multiple compressor system
US394521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electrical motors for compressors
US3130902A (en) Refrigerator compressor
US6637216B1 (en) Compressor with internal accumulator for use in split compressor
US3258198A (en) Rotary compressor
KR920004549Y1 (ko) 스크류 압축기용 일체형 오일분리기
JP2012132435A (ja) 空気調和機
CN2878733Y (zh) 一种机体外设气体消声冷却器的封闭式压缩机
US3478957A (en) Oil separator for rotary compressor
CN112444012B (zh) 储液器、压缩机组件和制冷系统
JP3541110B2 (ja) スクリュ式冷凍機
JP2002202059A (ja)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用コンプレッサ
KR100542150B1 (ko) 오일분리기
US11162495B2 (en) Oil circulation in a scroll compressor
CN101956709A (zh) 密闭型压缩机的上侧面排气结构
USRE27691E (en) Oil separator for rotary compressor
JPS6350695A (ja) ロ−タリコンプレツサ
JPH06300368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