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244Y1 -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244Y1
KR920004244Y1 KR2019900004371U KR900004371U KR920004244Y1 KR 920004244 Y1 KR920004244 Y1 KR 920004244Y1 KR 2019900004371 U KR2019900004371 U KR 2019900004371U KR 900004371 U KR900004371 U KR 900004371U KR 920004244 Y1 KR920004244 Y1 KR 920004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fixing
support member
spi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964U (ko
Inventor
김창구
Original Assignee
김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구 filed Critical 김창구
Priority to KR2019900004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244Y1/ko
Publication of KR910017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 3 도는 종래 공작물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 2 : 지지부재
2a : 이송부 2b : 걸림부
3 : 받침부재 4 : 고정부재
4a : 누름부 5 : 안내부재
5b : 조임부 7 : 공작물
본 고안은 밀링머시인이나 드릴링머시인 등과 같은 공작기계에 있어서, 공작물과 테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받침부재를 나사식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작업성과 고정효율을 증대시킴을 목적으로 안출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밀링머시인이나 드릴링머시인등의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금속의 절삭, 드릴링과 같은 가공을 위하여 공작물을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일반적인 고정장치를 보면, u자형, 굽은 형, 판형등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모두는 고정부재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공작물의 높이를 감안한 별도의 받침부재를 구비하여 고정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도면 제 3 에서와 같은 휭거형 공작물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면, 몸체가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일측에 누름부(14a)와 타측에 받침부(13b)를 돌설되게 일체로 구성하고 이의 누름면과 수직되는 중앙부에는 통공부(14c)가 형성된 고정부재(14)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통공부에는 너트(15b)의 조임에 의해 상하로 이송되면서 공작물(17)의 표면을 눌러 체결시키는 지지부재(12)가 관통되게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은 나선이 형성된 이송부(12a)와 이의 하단부에 테이블(11)의 고정턱에 걸려 수직상태를 이루게 하는 걸림부(12b)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작물 고정장치는 공작물의 설치높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받침부재 설치가 요구되어 공작물의 수평고정유지의 어려움과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돌설된 누름부와 받침부의 단면적이 협소하여 공작물 표면과 테이블 표면을 손상시킴과 아울러 고정효율을 저하시키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부재와 받침부재를 나사식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작업성과 고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즉, 통상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이송부의 나선을 따라 승강 되면서 테이블과 체결되는 받침부재와, 내, 외주벽에 나선이 형성된 안내부재를 내설하여 상기 이송부의 나선을 따라 승강되면서 공작물의 표면을 눌러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갖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는 넓은 단면적으로 그 표면에 요철부를 구비한 누름부가 형성되고, 또한 중앙에 내설된 안내부재의 상단부에는 조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지지부재를 테이블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작물의 설치높이에 따라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승강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써 작업성은 물론 고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로써 2는 지지부재이고, 3은 받침부재이며, 4는 고정부재이다.
상기 지지부재(2)는 통상에서와 같이 나선이 형성된 이송부(2a)와 그 하단에 테이블(1)의 고정턱에 걸려 고정되어 이송부(2a)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부(2b)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3)는 조임부(3a)와 그 하부에 좀더 넓은 직경을 갖는 받침부(3b)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나선이 형성된 통공부(3c)를 관통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구성하되 일측 상부를 연장하여 그 저면에 요철면을 구비한 누름부(4a)를 형성하고 몸체 상부를 내삽한 요입부(4b)를 갖추며 그 중앙은 후술한 안내부재(5)의 이송부(5a)가 나사식으로 승강되도록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통공부(4c)를 관통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부재(4)의 통공부(4c)에는 상단에 조임부(5b)와 받침부(5c)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부(5a)를 구성시켜서 상기 지지부재(2)의 이송부(5a)를 따라 승강될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선을 형성한 통공부(5d)를 중앙에 관통시킨 안내부재(5)를 갖추어 체결부재(6)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의 통공부(4c)에 내설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안내부재(5)가 내설된 고정부재(4)를 나선이 형성된 이송부(2a)의 양단에 체결하여 여러 겹의 공작물(7')을 서로 직각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통상에서와 같이 지지부재(2)의 걸림부(2b)를 테이블(1)의 고정턱에 걸어 이송부(2a)의 하부로 받침부재(3)를 이송시켜 테이블(1)에 고정시킨 후 안내부재(5)가 내설된 고정부재(4)의 누름부(4a)가 받침대(8)에 의해 입설되어진 공작물(7)의 표면에 안착시킨 후 안내부재(5) 상단에 형성된 조임부(5b)를 스패너와 같은 조임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공작물 고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지부재를 테이블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작물이 설치된 높이에 따라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승강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써 작업성은 물론 공작물의 고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안출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밀링머시인이나 드릴링머시인 등과 같은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선이 형성된 이송부와 걸림부를 구비한 지지부재와, 공작물의 표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갖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나선을 따라 이송되면서 지지부재를 테이블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임부와 받침부가 일체로 구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이송부의 나선을 따라 이송되면서 공작물의 표면을 수평 상태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부상단에 조임부를 일체로 구비한 안내부재가 내설되고, 몸체상부를 일측으로 연장하여 그 하부에 요철면을 구비한 몸체와 직각 상태로 구성된 고정부재를 갖추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KR2019900004371U 1990-04-12 1990-04-12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KR920004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371U KR920004244Y1 (ko) 1990-04-12 1990-04-12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371U KR920004244Y1 (ko) 1990-04-12 1990-04-12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964U KR910017964U (ko) 1991-11-28
KR920004244Y1 true KR920004244Y1 (ko) 1992-06-25

Family

ID=1929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371U KR920004244Y1 (ko) 1990-04-12 1990-04-12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2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964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4554A (en) T-bolt assembly
US6041823A (en) Fitting for tightening steel pipe
US5720461A (en) Hanger support unit for ceiling fans
US4997320A (en) Tool for forming a circumferential projection in a pipe
DE59002892D1 (de) Schraubenmutter.
US20180306232A1 (en) Precision holding and locating pin
KR920004244Y1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US4699343A (en) Support for workpieces
US5641253A (en) Tube chamfering device
EP0290097B1 (en) Support leg joint construction with bracing
US5192063A (en) Clamp arm
US4684138A (en) Chuck for use in driving lag rods with a drill having a reversible motor
US4414715A (en) Wire grip hose clamp
US3687441A (en) Machine tools
US4289415A (en) Adjustable coupling device
KR970006547Y1 (ko) 공작물 가공용 고정장치
US5222837A (en) Mine roof channel clamp
JPS6230575Y2 (ko)
US20040187646A1 (en) Stud installation and stud removal tool set
KR920008606Y1 (ko) 급속장착용 티이보울트
JPH0810642Y2 (ja) 折戸のピボット受金具
JPS6335542U (ko)
JPS5938209Y2 (ja) 厨房台におけるスノコ等の取付装置
JPS5847615Y2 (ja) 回転式照明器具の固定装置
KR19980031748A (ko) 자기정렬 보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