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152Y1 - 소성물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소성물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152Y1
KR920004152Y1 KR2019890013980U KR890013980U KR920004152Y1 KR 920004152 Y1 KR920004152 Y1 KR 920004152Y1 KR 2019890013980 U KR2019890013980 U KR 2019890013980U KR 890013980 U KR890013980 U KR 890013980U KR 920004152 Y1 KR920004152 Y1 KR 920004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d
firebrick
fired material
refractory
support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843U (ko
Inventor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이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열 filed Critical 이창열
Priority to KR2019890013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152Y1/ko
Publication of KR910005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2005/0081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송물 받침장치
제 1 도는 본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고안 장치에 의해 대차위에 소성물을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제 3 도는 소성물의 적재한 상태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소성물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화벽돌 2 : 관통구멍
3 : 통기홈 4 : 연결바
5 : 스토퍼 5a : 경사면
본고안은 세라마스톤이나 타일등의 요업제품을 고온의 로(爐)에서 소성하기 위해 소성물을 대차위에 적재할때 사용되는 소성물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정크기(30㎝×30㎝×2㎝)이상의 대형타일을 경사지게 세워서 소성시킬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업재료로된 평판형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요업재료를 소정의 크기로 성형하여 로용대차에 적재한 후 로의 내부를 통과시키게 되며, 대차에 적재된 소성물은 로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건조, 예열, 소성, 냉각 과정을 거쳐 완제품이 된다.
따라서 소성물을 대차에 적재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종래에는 측면에서 볼때 대략 "H"자 형상으로된 내화판(소성물 받침)위에 소성물을 얹고 다시 소송물위에 내화판과 소성물을 차례로 얹는 방법에 의해 대차위에 소성물을 여러층으로 적재시켰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H자형 내화판에 의해 타일을 적재하는 경우 하나의 소성물의 적재를 위해 하나의 내화판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대형의 소성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내화판의 크기도 대형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내화물로된 내화판의 대형화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일정크기 이상의 소성물은 소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내화판에 의해 소성물을 여러층으로 적재하였을때 상부에 위치한 소성물과 내화판의 하중이 하부에 위치한 소성물에 그대로 전달되어 하부에 위치한 소성물이 파손될 우려가 많으며, 더욱이 소성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소성물과 내화판 사이의 공간이 많이 밀폐되어 통기성이 불량하게 되므로 소성도중 소성물이 열전달의 불균일로 인해 소성변형을 일으켜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소성물을 내화판에 의해 수평상으로 적재시키던 종래의 장치와는 달리 소성물을 경사지게 적층시켜 대형의 소성물도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와 본고안 장치에 의해 소성물을 적재시킨 상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본고안 장치는 소성물(6)을 기대어 경사지게 세우기 위한 내화벽돌(1)과 각 내화벽돌(1)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내화물제의 연결바(4) 및 소성물(6)의 하단부를 받쳐주기 위한 내화물제의 스토퍼(5)로 구성되어 있다.
내화벽돌(1)은 수개(첨부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단위편으로 분할형성된 후 돌기와 홈에 의해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등변사다리꼴 형을 이루며, 최하단의 내화벽돌에는 연결바(4)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내화벽돌의 양측벽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통기홈(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내화벽돌(1)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후 관통구멍(2) 사이에 연결바(4)를 끼워 고정시키면 각 내화벽돌(1)의 양측벽에 소성물(6)을 기대어 경사지게 세울수 있게된다.
또 인접 설치된 내화벽돌(1)의 사이사이에는 경사면(5a)을 가진 대략자 형상의 스토퍼(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5)는 소성물(6)을 하단부를 받쳐 소성물 (6)이 내화벽돌(1)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소성물(6)이 대차(7)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 장치는 내화벽돌(1)에는 소성물(6)을 기대어 세우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성시 내화벽돌(1)의 측벽에 형성된 통기홈(3) 사이로 열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대형 소성물도 소성변형이 없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되며, 내화벽돌(1)을 연결바(4)에 의해 연결하여 각 내화벽돌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대형 소성물의 소성시 내화벽돌이 소성물의 크기에 따라 대형화 되어야 했던 종래 장치에 비해 고가의 내화물이 절약되고 이에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개로 적층된 등변 사다리꼴 형의 내화벽돌(1)의 경사벽면에 일정간격의 통기홈(3)을 형성함과 함께 최하 내화벽돌의 중심부에 사각 관통구멍(2)을 형성하고 적층된 내화벽돌(1)을 연결바(4)로 연결 지지시키며 적층된 내화벽돌(1)의 경사면 하단에 소성물의 고정을 위한 스토퍼(5)를 설치하여 소성물을 내화벽돌의 경사벽면에 기대어 소성할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물받침장치.
KR2019890013980U 1989-09-26 1989-09-26 소성물 받침장치 KR920004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980U KR920004152Y1 (ko) 1989-09-26 1989-09-26 소성물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980U KR920004152Y1 (ko) 1989-09-26 1989-09-26 소성물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43U KR910005843U (ko) 1991-04-24
KR920004152Y1 true KR920004152Y1 (ko) 1992-06-22

Family

ID=1929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980U KR920004152Y1 (ko) 1989-09-26 1989-09-26 소성물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1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43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3049B1 (en) Modular refractory support system
ZA200601945B (en) System and method for firing bricks
JPH0428991B2 (ko)
KR920004152Y1 (ko) 소성물 받침장치
KR920005598Y1 (ko) 소성물 받침장치
US4330270A (en) Ceramic greenware support
JP6113272B2 (ja) 棚システム用のセラミックの板
KR910005119Y1 (ko) 로용 내화벽돌의 구조
US4424022A (en) Method of using ceramic greenware support
EP0470261B1 (en) Method of firing ceramic building materials
US3553799A (en) Kiln floor
US6267588B1 (en) Longitudinal continuous furnace applicable to construction ceramic material
JPS5835998Y2 (ja) 瓦焼成用治具
JP2508040Y2 (ja) トンネル炉
US3623713A (en) Kiln car deck stool
HUT70791A (en) Method for drieing and burning out row brick form and tool to realize the method
JPH0814770A (ja) 焼成用台車の棚組
JPS6330954Y2 (ko)
JPH0327280Y2 (ko)
JPS5930400Y2 (ja) 瓦焼成棚用瓦受材
JPH0636475Y2 (ja) 役物タイル焼成用の敷台
JPH02293589A (ja) 小型曲がりタイルの積み重ね焼成用匣鉢と、小型曲がりタイルの積み重ね焼成装置及び焼成方法
KR900010928Y1 (ko) 돌출부 절단식 대형타일의 구조
JPH0528477Y2 (ko)
JP2564805Y2 (ja) 役物タイル焼成用の焼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