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145B1 -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145B1
KR920004145B1 KR1019900010031A KR900010031A KR920004145B1 KR 920004145 B1 KR920004145 B1 KR 920004145B1 KR 1019900010031 A KR1019900010031 A KR 1019900010031A KR 900010031 A KR900010031 A KR 900010031A KR 920004145 B1 KR920004145 B1 KR 92000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s
filament
distance
screen surfa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399A (ko
Inventor
전석호
도한신
송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145B1/ko
Publication of KR92000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제 1 도는 종래 음극선관을 도시한 입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화상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필라멘트에서 발생되는 전지빔의 궤도를 가시화시킨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필라멘트 3 : 전극
2a : 유리판 4 : 수직련향전극
5 : 수평편향전극 6 : 스크린
d : (각 필라멘트 사이의)간격 V : (스크린면에 인가되는 전압)
S : (필라멘트와 스크린면 사이의)거리
본 발명은 음극선을 이용한 격자형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은 제 1 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패널(P)과 펀낼(F)이 봉착되어진 것으로서, 상기 패널(P)의 내부에는 그 내면에 형성된 스크린막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섀도우마스크(S)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펀낼(F)의 네크부(FH)에는 전자총(G)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FH)외주의 일측에는 전자총(G)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크(D)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칼라음극선관(C)은 전자총(G)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스크린면에 랜딩됨으로써 하나의 화소를 이루고 이 화소가 모여 화면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화면의 화질이 박판표시소자 즉, 액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형광표시장치 등에 비해 매우 우월하다. 그러나 상기 칼라음극선관(C)은 길이가 길어 부피가 매우 크고 유리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에 매우 무거우며 폭축등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어 40인치 이상의 초대형 음극선관의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격자형 화상표시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부터 다수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전극과,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어드레싱시키는 복수개의 수평, 수직편향전극과, 스크린막이 형성된 스크린이 순차적으로 배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격자형 화상표시장치는 각 필라멘트 사이의 간격과 필라멘트로부터 스크린면까지의 거리등 그 부품의 배열 상태에 따라 휘도특성이 좌우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화면의 휘도 및 해상도가 대폭 향상된 격자형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는 다수의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전극과, 상기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어드레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편향전극과, 스크린 면을 순차적으로 배열 설치하여 된 격자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필라멘트 사이의 간격을 d[mm]라 하고 상기 필라멘트와 스크린면까지의 거리를 S[mm]라 하여 상기 스크린면에 인가된 전압을V[kV]라 할 때 이들 값이 하기 식의 의해 설정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kpo0000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화상표시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유리판(2a)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라멘트(2)와, 상기 각 필라멘트(2)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렬로 다수의 전자빔통과공(3a)이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전극(3)과, 상기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어드레싱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3)의 전자빔통과공(3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자빔통과공(4a)이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편향전극(4)과, 상기 수직편향전극(4)의 출사측면에 의해 직각이 되도록 복수개 설치된 판상의 수평편향전극(5)과, 그 표면에 스크린면(6a)이 형성된 스크린(6)을 순차적으로 배열 설치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d,S,V는 각 필라멘트 사이의 간격, 필라멘트와 스크린면까지 거리, 스크린막에 인가된 전압이다. 이때에 간격 및 거리의 단위는 ㎜이고 전압의 단위는 kV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화상표시 장치(1)는 유리판(2a)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각 필라멘트(2)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상기 각 전극(3)에 의해 집속 및 가속되고 수평 및 수직편향전극(4)(5)에 의해 어드레싱되어 상기 각 필라멘트(2)에 해당하는 스크린면(6a)의 영역에 랜딩됨으로써 하나의 화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에 격자형 화상표시장치(1)의 휘도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각 필라멘트(2) 사이의 거리(d)와, 필라멘트(2)와 스크린면까지의 거리(S), 전자빔을 집속 및 가속시키는 애노우드전압 즉, 스크린면(6a)에 인가되는 전압(V)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요인들이 휘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판(2a)에 고정된 각 필라멘트(2)사이의 간격(d)이 휘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필라멘트(2) 사이의 간격(d)을 넓을때와 좁을때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제 3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라멘트(2)사이의 간격(d)을 넓게 하면 스크린면에 형성되는 격자 즉, R.G.B의 피치가 너무 커져 해상도가 저하 되었으며, 제 3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필라멘트(2) 사이의 간격(d)을 좁게 하면 필라멘트(2)로부터 방출되어 스크린면(6a)에 랜딩되는 전자빔은 증가하였으나 상호간에 간섭이 매우 심하여 색간섭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이는 필라멘트(2)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손실 및 필라멘트(2)간의 온도를 상승시켜 필라멘트(2)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그리고 필라멘트(2)와 스크린면(6a)까지의 거리(S)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라멘트(2)와 스크린면(6a)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면 하나의 필라멘트(2)가 스크린면(6a)을 점유하는 점유 면적은 넓어지게 되나 휘도 특성이 저하되었고 수직 및 수평편향전극(4)(5)에 의한 어드레싱이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2)의 스크린면(6a)의 간격이 좁으면 필라멘트(2)로부터 방출되어 스크린면(6a)에 랜딩되는 유효전자빔수는 많아졌으나 어드레싱에 의해 국부적으로 밝고 어두운 현상이 나타나 화면균일도가 떨어졌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면(6a)에 인가되는 전압(V)은 필라멘트(2)로부터 방출되는 수직 및 수평편향전극(4)(5)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전자빔의 편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상기 전압(V)이 너무 높게 되면 어드레싱 전압에 영향을 끼쳐 어드레싱이 어려웠고 상기 애노우드 전압이 너무 낮으며 전자빔의 집속 및 가속력이 약화되었다. 상기와 같은 반복실험에 의하면 각 필라멘트 사이의 간격(d) 및 필라멘트(2)와 스크린면(6a)까지의 거리(S) 및 전압(V)이 하기 식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설정될 때 최상의 상태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kpo00002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V·d/S의 값이 0.5이하이면 전압(V) 및/또는 각 필라멘트(2) 사이의 간격(d)이 상기 필라멘트(2)와 스크린면(6a)사이의 거리 (S)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2)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 과열됨으로써 필라멘트(2)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며 전압(V)이 낮아 집속 및 가속력이 약화되어 휘도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V·d/S값이 3.0이상이면 상기 전압(V) 및/또는 각 필라멘트(2)사이의 간격(d)에 비해 상기 필라멘트(2)와 스크린면(6a)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필라멘트(2)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어드레싱이 어렵고 화면의 균일도가 떨어지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격자형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애노우드 전압과 각 필라멘트 사이의 거리 및 필라멘트와 스크린면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최상의 휘도특성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의 실현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는 다수의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전극과,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어드레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편향전극과, 스크린면을 순차적으로 배열 설치하여 된 격자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필라멘트간의 간격을 d[㎜]라 하고 상기 필라멘트와 스크린면까지의 간격을 S[㎜]라 하며 상기 스크린 면에 인가된 전압을 V[kV]라 할 때, 이들 값이 하기 식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Figure kpo00003
KR1019900010031A 1990-07-03 1990-07-03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KR92000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0031A KR920004145B1 (ko) 1990-07-03 1990-07-03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0031A KR920004145B1 (ko) 1990-07-03 1990-07-03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399A KR920003399A (ko) 1992-02-29
KR920004145B1 true KR920004145B1 (ko) 1992-05-25

Family

ID=1930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031A KR920004145B1 (ko) 1990-07-03 1990-07-03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1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399A (ko) 199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058A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5229691A (en) Electronic fluorescent display
KR920006174B1 (ko) 화상표시장치
US3663854A (en) Shadow-mask having rectangular apertures
KR920004145B1 (ko) 격자형 화상표시장치
JPS62150640A (ja) フラツトマトリクスcrt
US4193014A (en) Display arrangements
US6181061B1 (en) Image display device
JPH0452928Y2 (ko)
WO2001011646A2 (en) Cathodoluminescent flat panel displays with reduced electron scattering and improved luminance uniformity
KR100545713B1 (ko) 플랫 브라운관 구조체
KR200271018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음극지지체 구조
US5460559A (en) Cathode ray tube
KR940009191B1 (ko) 평면형 냉음극선관
KR100370251B1 (ko) 일정 단위 픽셀마다 지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일체형스페이서를 갖는 전계방출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93435Y1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과 섀도우마스크의 부착구조
KR100295791B1 (ko) 고휘도 칼라음극선관 및 그 노광방법
KR20040071448A (ko)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JPH01241742A (ja) 画像表示装置
JPH03110740A (ja) 陰極線画像表示装置
KR20000045833A (ko) 평면 crt 구조
JPH0322328A (ja) 平板型画像表示装置
JPH07335151A (ja) 平板型画像表示装置
US20010015616A1 (en) Temperature compensated grid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s
JPS60253145A (ja) カラ−蛍光発光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