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023Y1 -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023Y1
KR920004023Y1 KR2019890021485U KR890021485U KR920004023Y1 KR 920004023 Y1 KR920004023 Y1 KR 920004023Y1 KR 2019890021485 U KR2019890021485 U KR 2019890021485U KR 890021485 U KR890021485 U KR 890021485U KR 920004023 Y1 KR920004023 Y1 KR 920004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ed
wire
printing
emboss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1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82U (ko
Inventor
김남천
이홍구
안동성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홍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홍종선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1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023Y1/ko
Publication of KR910011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wires, hoses, tubes, ya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2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embossing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예시 요부 확대도.
제5도는 종래 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
제6도는 종래 장치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2 : 선재
3 : 보빈 4 : 압출기 헤드
5 : 압출다이 6 : 제1 냉각수조
7 : 에어와이퍼 8 : 제2 냉각수조
9 : 입구 가이드롤러 10 : 가열버너
12 : 엠보싱 인쇄롤러 15 : 출구가이드롤러
17 : 고정축 18 : 스프링
19 : 전선
본 고안은 압출기헤드(HEAD)에서 피복층이 도포되어 연속 인출되는 피복된 전선(Cable)의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전선의 품명과 규격등을 연속적으로 엠보싱하여 양각으로 인쇄 하여주는 피복전선(Cable)의 엠보싱 양각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복전선의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전선의 품명과 규격등을 엠보싱하여 양각으로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압출기헤드와 제1 냉각수조 다음에 설치하고, 상기 인쇄 장치의 내부에는 예열가스버너와 미세조정 가능한 엠보싱 인쇄롤러(ROLLER) 및 잉크 인쇄롤러를 설치하여, 압출기 헤드에서 피복층이 도포되어 연속 인출되는 피복전선의 외층에 엠보싱 양각 인쇄할 때 피복층이 엠보싱 인쇄롤러 표면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고, 엠보싱 인쇄롤러에 의해 전선의 피복층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양각 인쇄를 정확히 하여줄 수 있도록 한 피복전선(Cable)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제조할때 다수의 공정을 거친다음, 마지막 공정으로 쉬이즈(SHEATH)공정, 일명 자켓팅(JACke-ting)공정이 이루어지는데, 이 공정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선재의 외주에 P.V.C 피복층을 연소적으로 도포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공정 다음으로는 피복된 전선의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전선의 품명과 규격등을 연속해서 인쇄하는 엠보싱 양각 인쇄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피복전선 외층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를 보면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통상적으로 피복전 선재 권취보빈(A) 다음에 순차적으로 압출다이(B)를 갖는 압출기헤드(C)와 제1냉각수조(D) 및 에어와이퍼(E) 그리고 제2 냉각수조(F)가 설치되는 피복층 도포장치의 제1 냉각수조(D) 선단으로 상. 하측에 엠보싱 인쇄롤러(G)가 누름 조절용추(H)에 의해서 발란스(Balance)유지되로록 브라켓트(J)와 지렛대(K)에 고정되어, 지지봉(L)의 중심에 베어링(M)으로 연결 설치되는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N)가 설치구성되어 압출기헤드(B)에 의해서 P.V.C 피복층이 도포되어 인출되는 전선(O)의 외층에 엠보싱 인쇄롤러(G)가 누름조절용추(H)의 무게에 의해서 압압되어,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전선의 품명과 규격등을 엠보싱 양각 인쇄해서 주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압출기헤드(B)에서 연화된 P.V.C가 선재(P) 외층에 인락(引落)되어 도포되는데, 이때 피복전 선재(P)는 상온(18-20℃)상태이고, 압출된 P.V.C는 고온(150℃) 상태이므로, 압출된 P.V.C와 피복전선재(P)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서 급격한 열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압출된 P.V.C가 피복전선재에 급격히 달라붙게되어, 피복된 전선(O) 외층에 피복전선재(P)외관 자국이 나타나게되고, 특히 피복전선재(P)가 테이프로 감겨 있을 때에는 테이프 자국이 있거나, 외장 선재인 경우에는 상기와같은 달라붙음 현상에 의해서 전선외관이 울퉁불퉁하여 외관이 불량하게 된 상태로 피복층이 도포된 피복전선이 연속 인출되면서 압출기헤드(B)와 제1냉각수조(D) 사이에서 엠보싱 양각 인쇄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압출기 헤드(B)로부터 제1 냉각수조(D) 입구까지 최소한 500m/m의 거리가 유지되어야하고, 이거리는 압출된 P.V.C가 피복전선재의 외층에 완전히 달라 붙어 자국이 나타나는 거리이고, 또한 압출기헤드의 바로 뒤에 엠보싱 인쇄롤러가 설치되어, 피복전선의 외층에 양각 인쇄를 하게되었다.
그러므로 엠보싱 인쇄롤러가 고온상태의 피복층과 항시 접하게되어 엠보싱 인쇄롤러가 가열되면서, 피복층이 엠보싱 인쇄롤러 표면에 들어붙는 문제가 발생하여, 피복전선에 정확히 양각 인쇄를 할수 없었을 뿐 아니라, 엠보상 인쇄롤러의 압출기헤드와 가까워 연속 작업을 위한 선재 연결 부분(피복전 선재 외층)에 도포되어 있는 피복층이 내부가 일부 비어 있어 엠보싱 양각 인쇄시 엠보싱 인쇄 롤러에 의해서 피복층이 찢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제조완성된 전선이 불량이 되는 예가 많아 매우 비경제적이고,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피복전선의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제품명과 규격 등을 연속적으로 양각 인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보완하고져 선재에 피복층을 도포하여주는 압출기헤드의 다음으로 제1 냉각수조를 설치한 후 제1 냉각수조와 제2 냉각수조 사이로,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양각 인쇄장치 내부로 선단에는 가스 버너를 설치하고, 이 타측에 인쇄롤러를 스프링과 함께 탄력 설치하여 미세조정할수 있게 하고, 인쇄 장치의 앞. 뒤로는 입구와 출구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여, 압출기헤드에서 피복층이 연속 도포되어 이송되는 전선을 1차로 냉각시킨 다음, 다시 버너로서 부분 가열시켜, 양각 인쇄롤러로 전선의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제품명과 규격등을 엠보싱 양각 인쇄할 수 있게 한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선재(2)가 권취되어 있는 보빈(3) 다음으로 압출다이(5)를 갖는 압출기헤드(4)와 제1냉각수조(6) 그리고, 에어와이퍼(AIR WIPER)(7)와 제2냉각수조(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선재(2)에 피복층을 도포하여 주는 장치에 있어서, 제1 냉각수조(6) 다음으로 3개의 입구가이드롤러(9)를 설치하고, 그 다음에 내부로 3개의 팁(11), (11'), (11")을 갖는 가열버너(10)와 엠보싱 인쇄롤러(12) 및 잉크인쇄롤러(13)가 상.하측에 설치되는 양각 인쇄장치(1)를 설치하고 양각인쇄장치(1)의 뒷편에는 2개의 출구 가이드롤러(15)가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각 인쇄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엠보싱 인쇄롤러(12)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엠보싱 인쇄롤러(12)와 브라켓트(16)에 의해서 연결되는 고정축(17) 사이로 스프링(18)을 설치하여 엠보싱 인쇄롤러(12)가 상.하 미세 조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방식으로 보빈(3)에 감겨 있는 선재(2)를 자동 이송시키면 선재(2)가 압출기헤드(4)를 통해 압출다이(5)를 빠져 나오면서 피복층이 도포된다.
이후 피복층이 도포된 전선(19)는 제1 냉각수조(6)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굳어지게 되면 에어와이퍼(7)에서 전선(19) 외부를 깨끗히 닦아 주게 된다.
이후 전선(19)은 양각 인쇄장치(1)의 입구 가이드롤러(9)를 지나 인쇄장치(1) 내부로 이송된다.
이때, 인쇄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버너(10)가 전선(19)의 양각 인쇄할 부분을 가열하여 인쇄하기 좋은 상태로 약간 녹여준다.
이 상태로 전선(19)은 엠보싱 인쇄롤러(12)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엠보싱 인쇄롤러(12)가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선(19)의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전선의 품명과 규격등을 압력으로 양각 인쇄하여 주게 된다.
이때 엠보싱 인쇄롤러(12)는 스프링(18)의 탄발력을 축적한 상태로 있게 되어, 전선(19)의 외층이 울퉁불퉁하여도 엠보싱 인쇄롤러(12)가 상.하 미세조정되면서 정확히 전선(19)의 외층에 양각 인쇄하여 주게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잉크인쇄를 하고져 할때는 인쇄장치(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인쇄롤러(13)에 잉크를 뭍혀 주게하여 잉크인쇄를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전선(19)은 엠보싱 인쇄롤러(12)을 통과하여 출구 가이드롤러(15)를 거쳐 제2 냉각수조(8)로 들어가 가열버너(10)에 의해서 가열된 부분을 냉각시켜, 외층에 제조업체와 제조년 및 품명과 규격등이 엠보싱 양각 인쇄된 완제품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선의 외층에 엠보싱 양각 인쇄하여 주는 인쇄장치가 제1 냉각수조 다음에 설치되며 엠보싱인쇄롤러가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되어, 전선의 외층에 엠보싱 양각인쇄를 정확히하여 주면서, 피복층이 엠보싱 인쇄롤러에 들러 붙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자동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능률과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지의 전선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상적으로 선재(2)가 권취되어 있는 보빈(3) 다음으로 압출다이(5)를 갖는 압출기헤드(4)와 제1냉각수조(6) 그리고, 에어 와이퍼(AIR WIPER)(7)와 제2 냉각수조(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선재(2)에 피복층을 도포하여 주는 장치에 있어서, 제1 냉각수조(6)다음으로 3개의 입구 가이드롤러(9)를 설치하고 그 다음에 내부로 3개의 팁(11), (11'), (11")을 갖는 가열버너(10)와 엠보싱 인쇄롤러(12) 및 잉크인쇄롤러(13)가 상.하측에 설치되는 양각 인쇄장치(1)를 설치하고 양각인쇄장치(1)의 뒷편에는 2개의 출구 가이드롤러(15)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인쇄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엠보싱 인쇄롤러(12)는 브라켓트(16)와 고정축(17)과 연결되어 스프링(18)으로 탄력 설치되어 미세조정 가능하게 된것을 특징으로 한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KR2019890021485U 1989-12-31 1989-12-31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KR920004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485U KR920004023Y1 (ko) 1989-12-31 1989-12-31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485U KR920004023Y1 (ko) 1989-12-31 1989-12-31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82U KR910011182U (ko) 1991-07-29
KR920004023Y1 true KR920004023Y1 (ko) 1992-06-20

Family

ID=1929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1485U KR920004023Y1 (ko) 1989-12-31 1989-12-31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0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369B1 (ko) * 1999-06-30 2001-11-07 김영섭 선재 코팅기
KR20020032644A (ko) * 2000-10-20 2002-05-04 권문구 나선형 돌기를 가진 전선의 제조 장치
KR100407150B1 (ko) * 2001-11-01 2003-11-28 엘지전선 주식회사 케이블용 인쇄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82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33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ossing and perforating a running ribbon of thermoplastic film on a metallic pattern roll
DE69321618D1 (de) Schweis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iralformig gewickelten rohren und schweisskopf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KR920004023Y1 (ko) 피복전선(Cable)상의 엠보싱 양각 인쇄장치
US4245585A (en) Apparatus for recoating surfaces of a thermoplastic material
KR100297004B1 (ko) 비닐대지의 엠보싱 성형장치 및 엠보싱 성형방법
CN117012434A (zh) 铜铝排外包连接结构、成型设备及成型工艺
US5749300A (en) Transfer rolling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banners
AU596634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ibre-reinforced plastic hollow sections and plastic hollow sections
JP2618344B2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成形機
JPH0141483B2 (ko)
CN111716781B (zh) 一种生产设备、工艺及通过该生产设备生产的电梯曳引带
CN212603559U (zh) 一种生产设备及通过该生产设备生产的电梯曳引带
JPS6016915B2 (ja) 感熱転写記録装置
JP3430987B2 (ja)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
JPS61123523A (ja) プラスチツ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20032644A (ko) 나선형 돌기를 가진 전선의 제조 장치
JPH0611776Y2 (ja) 縦型印刷装置
JPS6315920B2 (ko)
JPH01258934A (ja) 模様付き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法
JP2554836Y2 (ja) 電線予熱装置
KR200244211Y1 (ko) 비닐대지의 성형장치
CN116922901A (zh) 一种印刷纹同步压花pvc膜及其制备方法
JPH0543505B2 (ko)
JPH10180845A (ja) エンボスシートの成形方法
JPH09254234A (ja) 押出被覆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