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69Y1 -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69Y1
KR920003969Y1 KR2019890019473U KR890019473U KR920003969Y1 KR 920003969 Y1 KR920003969 Y1 KR 920003969Y1 KR 2019890019473 U KR2019890019473 U KR 2019890019473U KR 890019473 U KR890019473 U KR 890019473U KR 920003969 Y1 KR920003969 Y1 KR 920003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e
gear
torque limiter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477U (ko
Inventor
장현택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홍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홍종선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69Y1/ko
Publication of KR910010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4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제1도는 종래 콤바인 탈곡기의 횡단면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동력전달장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콤바인 탈곡기의 횡단면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 단면도.
제5도는 동력전달상태 개략도.
제6도는 제3도의 "A"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팔각샤프트
3 : 토오크리미터 7 : 샤프트
71 : 연동기어
본 고안은 콤바인 탈곡기의 동력전달장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과부하 작용시 동력을 자동차단케 하는 안전장치인 토오크리미터를 밋션케이스 외부출력 샤프트에 설치하여 고장발생시의 정비 및 사용중 설정 토오크 값의 변화에 따른 잦은 조정등을 하기가 수월하고 별도의 경보장치등을 삭제하며, 장치의 소형화로 탈곡실에 넘은 공간을 확보케 하며 피드체인 구동축을 팔각 샤프트로 하여 탈곡볏짚 사이에 잔류된 낱알까지 최대한 탈곡되게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종래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장치를 살펴보면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밋션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일단에 탈곡할 볏짚을 이동시키기 위한 피드체인 구동스프로켓트(201)를 가지는 피드체인 구동축(200)이 관통설치되고 그 하부의 케이스내에는 안전장치인 토오크리미터(300)가 축설되며, 케이스의 최저부에 변속축(400)과 그 상부에 변속기어를 가지며, 일단에 베벨기어(501)가 불설된 탈곡통 구동축(500)이 설치됨과 동시 상부로는 상기 변속기어에 의해 연통되는 기어를 가지며, 일단에 요동체 나선 구동 폴리(601)를 가지는 입력축(601)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토오크리미터(300)와 입력축(600)사이에 연동기어(701)로써 동력전달되는 연동축(700)으로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돌발 과부하를 대비한 안전장치인 토오크리미터가 밋션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고장발생시 정비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안전장치 작동시 작업자가 알수 있도록 별도의 경오장치까지 부착하게 됨에 따라서 원가부담이 크게 된다.
특히 이 안전장치는 작동빈도가 많고 사용중 설정 토오크 값의 변화되는데 따라서 토오크 값의 조정이 필요 하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케이스(100)전체를 분해해야만 하는 등으로 아주 불편했던 것이었다.
또한 볏짚에 잔유된 낱알의 재 이탈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어 낱알의 손실이 많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전장치인 토오크리미터를 밋션케이스 외부에 설치하여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별도의 경보장치가 필요없이 작동상태를 알수 있으며, 이상 과부하 작용시 안전하게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 사용시 오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재조정할 수 있게 하여 정비성을 대폭 개선케 하며, 특히 피드체인 샤프트를 케이스 상측 외부에 위치되게 하여 팔각샤프트로 하므로써 재탈곡의 기능을 추가할수 있도록 하는 콤바인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의 최저부에 변속축(4)과 그 상부에 변속기어를 가지며 일단에 베벨기어(51)가 부설된 탈곡통 구도축(5)이 설치됨과 동시 그 상부로는 상기 변속기어에 의해 연동되는 기어를 가지며, 일단에 요동체 나선 구동폴리(61)를 가지는 입력축(6)이 관통설치되고, 입력축과 연동되는 연동기어(71)를 가지는 샤프트(7)가 상기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설치되어 그 말단에 토오크리미터(3)를 부설함과 동시 케이스 외부의 상부에 횡설되는 팔각 샤프트(2)의 일단에 피드체인 구동스프로켓트(21)를 가지며 다른 일단이 상기 샤프트(7)로 부터 연동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모터동력으로 회전되는 입력축(6)으로 부터의 동력이 탈곡통 구동축(5)을 연동시켜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은 탈곡통을 회전시키게 하고, 그 저부의 변속축(4)으로 하여금 변속기어의 위치를 설정해서 회전변속을 이루며, 입력축(6)의 동력을 연동기어(71)로 전달받은 샤프트(7)는 케이스 상방에 설치되는 피드체인 구동용 팔각샤프트(2)를 연통케 하는 것으로(도면 제4도 및 제5도 참조) 토오크리미터(3)가 밋션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그 정비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경보장치가 필요없이 작동상태를 알수 있으며, 특히 팔각샤프트(2)는 피드체인으로의 구동력 전달뿐만 아니라 이 팔각샤프트(2)의 상부로 배출되는 볏짚에 진동을 주게 되므로써 최대한의 잔여 낱알을 추가로 털어주어 보다 완벽하게 낱알을 추가수집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팔각샤프트가 회전되면서 면부와 모서리의 반경차에 의해 볏짚에 진동을 주기 때문이다.
한편, 팔각샤프트는 그 단면 형상이 꼭 팔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육각이던 어떤각이거나 또는 샤프트의 외부에 날개를 달아 재 탈곡시키는 수단등은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케이스가 소형화 되어 탈곡실에 넓은 공간확보가 가능하여 검불처리등이 용이하게 하며, 특히 피드체인 구동을 위한 샤프트가 팔각으로 구성되어 완전탈곡의 기능을 추가하여 탈곡화 수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저부로 부터 변속축과 입력축이 기어변속되게 치합되고 그 상부로는 연동기어로 치합되는 연동샤프트와 토오크리미터 및 피드체인 구동용 샤프트가 각각 기어결합되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것에 있어서, 케이스(1)의 일측 외부로는 입력축(6)의 전달을 받는 연동기어(71)의 샤프트(7)와 이 샤프트로 연동되는 상부로는 피드체인 구동용 샤프트를 재 탈곡의 기능을 가지게 팔각샤프트(2)로 형성함과 동시에 샤프트(7)외측단의 운전석 부근에 연결설치된 토오크리미터(3)로 설치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장치 설치 구조.
KR2019890019473U 1989-12-21 1989-12-21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KR920003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473U KR920003969Y1 (ko) 1989-12-21 1989-12-21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473U KR920003969Y1 (ko) 1989-12-21 1989-12-21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477U KR910010477U (ko) 1991-07-29
KR920003969Y1 true KR920003969Y1 (ko) 1992-06-15

Family

ID=1929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473U KR920003969Y1 (ko) 1989-12-21 1989-12-21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797B1 (ko) * 2000-06-23 2004-01-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797B1 (ko) * 2000-06-23 2004-01-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477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05231B2 (en) Driving system for chain sprockets of chain drives
US6948329B2 (en) Auger type ice machine
US2965217A (en) Drive for double-chain scraper conveyor
CA2260409A1 (en) Windrower specialty crop platform having right-and left-hand cantilevered augers located beneath a full-length center-feed auger
BRPI0602448B1 (pt) conjunto sensor de torque para uma máquina agrícola, e, máquina agrícola
KR920003969Y1 (ko) 콤바인 탈곡밋션의 동력전달 장치 설치구조
US5947818A (en) Drive system for a combine with a rotary threshing system
US4879868A (en) Reverser for harvesting apparatus
US9986684B2 (en) Easy push lawnmower with large blade and gear reduction
KR102145216B1 (ko) 콤바인의 예취부 구동장치
RU203854U1 (ru) Привод системы выгрузки бункера
CN209710745U (zh) 一种玉米收割机茎秆前切碎装置
GB2099334A (en) Drive for screw centrifuge
US20070015616A1 (en) Power transmission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machine
SU1717210A1 (ru) Конусна инерционна дробилка
RU2810746C1 (ru) Привод барабана измельчающего
KR830001652Y1 (ko) 이동 농기의 부하 제어장치
JP2603751B2 (ja) 排ワラカッター
KR200209615Y1 (ko) 건물셔터의 감속장치
JPS5841805B2 (ja) 警報装置付きコンバイン
SU1493144A1 (ru) Корм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SU1628914A1 (ru) Кукурузоуборочна приставка
KR960000723Y1 (ko) 고기 분쇄기의 기어박스
GB1421585A (en) Combine harvester reaping unit
US2639624A (en) Yieldable power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