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64B1 -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64B1
KR920003964B1 KR1019890019196A KR890019196A KR920003964B1 KR 920003964 B1 KR920003964 B1 KR 920003964B1 KR 1019890019196 A KR1019890019196 A KR 1019890019196A KR 890019196 A KR890019196 A KR 890019196A KR 920003964 B1 KR920003964 B1 KR 92000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drying
cr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363A (ko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64B1/ko
Publication of KR91001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제 1a, 제 1b 도는 종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열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방지액 건조방법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열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11 : 패널(panel)
12 : 펀넬(funnel) 13 : 밴드
14 : 넥크부 20 : 건조로
21 : 개구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패널 표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도포하는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예는 20KV∼30KV 정도의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화면 전면인 패널면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 정전기는 인체에 해로울뿐만 아니라 정전기에 의해 먼지등의 이물이 부착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방지액을 패널 표면에 도포하고 있다.
이러한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제 1a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1)의 패널(2) 표면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히이터(8)로서 패널(2) 표면에 도포된 정전방지액을 건조시켜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은 히이터(8)의 열(약 200∼250℃)에 의해 음극선관(1)의 패널(2) 표면이 먼저 가열되게 됨에 따라 패널(2)과 펀넬(3)의 온도차로 인하여 밴드(4)부분에 크랙(crack)이 발생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 1b 도에는 종래의 다른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열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건조로(5) 내부에 음극선관(1)을 투입하여 음극선관(1)의 전면을 고르게 고온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은 패널(2)과 펀넬(3)의 온도차이로 인한 밴드(4) 부분의 크랙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으나 넥크부(6)에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7)가 건조로(5)내의 열에 의해 열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베이스(7)는 일반적으로 폴리 카보나이트(poly carbonate)등의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용융점이 140∼150℃ 정도인 반면에 건조로(5)내의 열이 200℃ 정도되므로 상기 베이스(7)가 건조로(5)의 열에 의해 열변형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정전방지액 도포 및 건조공정은 음극선관 제조공정의 최종공정이므로 이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면 거의 완성된 음극선관을 폐기 또는 재생하여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건조시 음극선관의 밴드부분의 크랙이나 펀넬 후단부의 넥크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의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선과의 패널 표면에 도포되는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전면을 고르게 고온 가열하되, 상기 음극선관의 펀넬 후단부에 위치하는 넥크부는 저온을 유지하도록 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 본 발명에 의한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열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하단부에 개구부(21)가 형성된 건조로(20) 내부에 음극선관(10)이 그 넥크부(14)가 상기 개구부(21)를 통하여 건조로(2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넥크부(14)에는 베이스(15)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음극서관(10)은 넥크부(14)를 제외한 부분 즉 건조로(20)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저면이 균일하게 고열가열됨으로써 밴드(13) 부분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극선관(10)의 넥크부(14)는 건조로(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건조작업시 건조로(20)에 의한 열이 넥크부(14)로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면을 균일하게 가열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패널과 펀넬의 온도차로 인한 밴드부분의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음극선관의 넥크부가 건조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정전방지액의 건조시 넥크부에 전달되는 건조로의 열이 극소화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넥크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의 열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은 음극선관의 마지막 공정에서의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그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Claims (1)

  1. 음극선관의 패널 표면에 도포되는 정전방지액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건조로내에, 음극선관을 투입하되, 그 후단부에 위치되는 넥크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건조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음극선관의 전면은 고온가열 되도록 하고, 상기 넥크부는 가열되지 않게 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KR1019890019196A 1989-12-22 1989-12-22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KR92000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196A KR920003964B1 (ko) 1989-12-22 1989-12-22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196A KR920003964B1 (ko) 1989-12-22 1989-12-22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63A KR910013363A (ko) 1991-08-08
KR920003964B1 true KR920003964B1 (ko) 1992-05-18

Family

ID=1929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196A KR920003964B1 (ko) 1989-12-22 1989-12-22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63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753B1 (ko) 표시관 및 그 제조 방법
KR920003964B1 (ko) 음극선관의 정전방지액 건조방법
KR910008017B1 (ko) 칼라음극선관용 패널 세정방법
IT9020783A1 (it) Trattamento termico integrato per cinescopi
US3404303A (en) Color tube with mask interior peripheral shield of treated steel foil for improved heat radiation
KR910007967Y1 (ko) 음극선관
KR960004561Y1 (ko) 음극선관용 게터
EP0602721B1 (en) Method of curing a film
KR0133698Y1 (ko)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KR950008437Y1 (ko) 칼라브라운관의 판넬 열처리장치
KR100244715B1 (ko) 음극선관의 이물제거방법
KR0130575Y1 (ko) 전자총용 벌브 스페이서
KR100207336B1 (ko) 음극선관의 제조 방법
KR90000034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 구조체
KR20014525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봉착홀더
KR0140182B1 (ko) 음극선관의 외부 도전막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950000350B1 (ko) 개선된 마운트 봉입구조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0142355B1 (ko)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KR100195299B1 (ko) 칼라브라운관의 배기방법
KR0177002B1 (ko) 전자총의 손상방지 방법
KR0134873Y1 (ko) 배기관 기밀용 밀봉재 냉각장치
JPH07147130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930006433Y1 (ko) 음극선관 내부의 가스 제거장치
KR910007698B1 (ko) 음극선관 제조방법
KR100403393B1 (ko) 음극선관의내장도전막도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