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98Y1 -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98Y1
KR0133698Y1 KR2019950050857U KR19950050857U KR0133698Y1 KR 0133698 Y1 KR0133698 Y1 KR 0133698Y1 KR 2019950050857 U KR2019950050857 U KR 2019950050857U KR 19950050857 U KR19950050857 U KR 19950050857U KR 0133698 Y1 KR0133698 Y1 KR 0133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heating
furnac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510U (ko
Inventor
이한덕
송익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50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698Y1/ko
Publication of KR970046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7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부품의 세정시 묻은 세정수를 건조하기 위한 음극선관의 가열장치를 개시한다. 이 가열장치는 세정된 음극선관의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내부에 설치된 로와, 상기 로의 내주면의 각 부위에 고온의 공기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갖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접속되어 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부품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로(爐) 23 : 가열원
30 : 이송부
본 고안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정이 완료된 펀넬, 패널 또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등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이 패널의 내부에 장착되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패널과 봉착되며 그 네크부에 전자총이 장착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장착되는 편향요오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극선관은 이를 이루는 부품들이 각각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후 상호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을 이루는 부품들은 그들의 특성에 따라 제조공정상의 차이가 있으나 제조 공정중 각각의 부품에 이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먼지의 관리가 공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음극선관이 이루는 부품중 패널, 펀넬,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등은 제조공정중 부품들을 세정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부품들의 세정은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거나 세정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경우 다음공정으로의 투입 전에 세정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품의 표면에 부착된 세정수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조구간을 설정하고 이 건조구간에 복수개의 세라믹 복사히이터를 설치하여 이동되는 음극선관의 부품 예컨데, 패널, 펀넬 등의 표면에 부착된 세정수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의 표면에 부착된 세정수를 제거하는 단순히 복사히이터 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건조효과가 미비하고 건조후 잔류 습기가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 다음공정 진행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동되는 부품을 감싸는 로의 내주면에 원적외선 히이터를 설치하고 이 히이터에 송풍하여 열풍을 부품에 분사함으로써 건조시켜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 히이터로부터 열풍을 가하여 부품을 건조시키는 것은 히이터를 발열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이 매우 높을 뿐 충분한 건조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극선관을 패널, 펀넬 등의 부품 표면에 부착된 세정수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의 가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건조에 따른 비용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음극선관의 가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정된 음극선관의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내부에 설치된 로와,
상기 로의 내주면의 각 부위에 고온의 공기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갖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접속되어 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스팀히이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 음극선관의 가열장치는 음극선관의 부품 예컨데 패널, 펀넬등과 같은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30)가 마련된 로(21)의 내부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22)이 설치되고 각 노즐(22)은 가열원(23)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가열원(23)과 덕트(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원(23)은 상기 덕트(24)와 연결된 케이스(23a)와 이 케이스(23a)의 내부에 연결된 스팀히이터(2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가열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음극선관의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된 내벽에 방열통로를 형성하고 이 방열통로는 가열원인 가열버너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버너는 가스버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가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극선관의 부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가열원(23)의 스팀히이터를 작동시켜 이 스팀히이터(23b)를 통과한 고온의 에어가 상기 분사노즐(22)을 통하여 로(2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극선관의 부품(100)을 소정의 이송부 즉, 로(21)의 내부를 통과하는 이송부(30)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펀넬 또는 패널을 이송시킨다. 이때에 상기 컨베이어에 대한 패널 또는 펀넬의 지지는 별도의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각 부분이 상기 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에어에 노출되도록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에 의해 음극선관의 부품이 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에어에 의해 건조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로의 내부에 가열원인 가열버너와 연결된 덕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버너로부터의 열기가 로의 내부로 공급되어 컨베이에 의해 이동되는 음극선관의 부품(100)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정이 완료되어 그 표면에 부착된 세정수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가열장치는 가열원으로 스팀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구동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음극선관 부품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열풍에 의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에 습기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공정간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음극선관의 가열장치는 음극선관 부품의 세정시 부품의 표면에 묻은 세정수를 건조하기 위하여 스팀히이터를 사용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본원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세정된 음극선관의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내부에 설치된 로와, 상기 로의 내주면의 각 부위에 고온의 공기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갖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접속되어 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이 스팀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가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이 가스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가열장치.
KR2019950050857U 1995-12-28 1995-12-28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KR0133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857U KR0133698Y1 (ko) 1995-12-28 1995-12-28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857U KR0133698Y1 (ko) 1995-12-28 1995-12-28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510U KR970046510U (ko) 1997-07-31
KR0133698Y1 true KR0133698Y1 (ko) 1999-01-15

Family

ID=1944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857U KR0133698Y1 (ko) 1995-12-28 1995-12-28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6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62B1 (ko) * 2006-10-13 2007-12-14 (주)리드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기판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62B1 (ko) * 2006-10-13 2007-12-14 (주)리드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기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510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698Y1 (ko) 음극선관의 펀넬 건조장치
US4579280A (en) Process for heating the surface of a substrate using a hot gas jet, particularly employing simultaneous feed of a coating substance for use in the flame spraying process, and burner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2811131A (en)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for incandescent lamp envelopes
KR100467195B1 (ko) 원적외선 조사 가열기와 원적외선 염착장치 및 원적외선을이용한 염착방법
IT9020783A1 (it) Trattamento termico integrato per cinescopi
KR970007286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세정 및 건조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8180Y1 (ko) 새도우 마스크의 건조장치
JPH047529B2 (ko)
KR20100058254A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JP3599100B2 (ja) 溶剤乾燥装置
JPH0279324A (ja) 陰極線管用バルブの乾燥装置
KR0140182B1 (ko) 음극선관의 외부 도전막 건조방법 및 그 장치
CN218455334U (zh) 一种制衣用烘干设备
KR920003082Y1 (ko) 음극선관의 패널건조용 히이터 조립체
KR100312698B1 (ko) 음극선관용노광장치
JPH01165120A (ja) エツチング装置
JP2636073B2 (ja) 塗装用乾燥装置の運転方法
KR910004953Y1 (ko) 브라운관 펀넬의 내장흑연 건조장치
KR0139142Y1 (ko) 브라운관의 안티도밍공정장치
KR19980015386U (ko) 음극선관용 패널 건조장치
KR920007423B1 (ko) 새도우마스크의 이물질 제거방법
KR960005676B1 (ko) 브라운관 제조방법 및 장치
KR910007373Y1 (ko) 벌브 건조장치
EP0602721B1 (en) Method of curing a film
SU568817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сушки капилл рно-пор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