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355B1 -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355B1
KR0142355B1 KR1019950003220A KR19950003220A KR0142355B1 KR 0142355 B1 KR0142355 B1 KR 0142355B1 KR 1019950003220 A KR1019950003220 A KR 1019950003220A KR 19950003220 A KR19950003220 A KR 19950003220A KR 0142355 B1 KR0142355 B1 KR 014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tter
gettering
recording
temperature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0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355B1/ko

Link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터플레싱시 페터링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기 전에 게터링의 바이메탈부의 동작에 의해 게터와 고주파 가열기 사이에 거리가 멀어짐에 의해 게터녹음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고주파 가열에 의한 게터의 녹음을 방지하도록 바이메탈로 형성된 게터링과, 상기 게터링의 중심부분을 써포터와 용접이 용이하도록 주변부보다 함몰시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제 1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구성도
제 2도는 종래 게터로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제 3도는 본 발명 게터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
제 4도는 본 발명 게터의 동작 상태도.
제 5도는 (a)(b)(c)는 게터의 온도 상태 표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 : 펀넬111 : 게터링
112 : 크로스바113 : 서포터
114 : 스프링120 : 고주파가열기
130 : 알로이(Alloy)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게터링의 재질을 바이메탈로 구성시켜 게터플래싱(GETTER-FLASHING)시 발생할 수 있는 게터링녹음(MELTING)을 미연에 방지하여 게터링 녹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도밍(DOMONG) 현상이나 마스크 변형 등의 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음극선관은 제 1 도 내지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음극선관본체(1)의 전면부에 판넬(2)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넥크부(3)를 갖는 판넬(4)이 형성되어 일정한 내부공간을 이루며, 상기 넥크부(3)에는 전자빔을 판넬(2)쪽으로 주사시키는 전자총(5)이 봉입되고, 상기 넥크부(3)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판넬(2)의 내측에는 작은 통공이 무수하게 많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6)가 판넬(2)의 내측 모서리에 탄력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2)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광체(7)가 도포되었으며, 상기 펀넬(4)의 내면에는 게터(10)를 장착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게터(10)는 제 2 도와 같이 알로이(Alloy)(30)가 내장되어 있는 게터링(11)이 서포터(13)로 지지되고, 다시 스프링(14)과 용접되었으며, 상기 스프링(14)의 저면에는 게터링(11)을 펀넬(4)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크로스바(12)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8 은 알루미늄박이고 20 은 고주파가열기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은 넥크부(3)에 봉입된 전자빔을 주사시키면 새도우마스크(6)의 통공을 통하여 판넬(2)의 내측면에 도포된 형광체(7)가 발광되어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내장흑연과 새도우 마스크(6) 및 스크린등을 덮고있는 알루미늄박(8)을 통하여 전자총(5)으로부터 고압이 인가됨에 따라 전자총(5)에서 주사된 전자빔이 효과적으로 형광체(7)에 랜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극선관의 내부공간은 약 10-6내지 10-7Torr의 고진공도를 유지시켜야 하는데,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펀넬(4)의 넥크부(3) 내측에 전자총(5)을 삽입하여 봉입한 후에 배기공정에서 음극선관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줄때 요구되는 진공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대략 10-4내지 10-5Torr의 진공도 밖에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공간이 설정된 진공도의 값보다 낮게 되므로, 전자총(5)에서 주사된 전자빔이 형광체(7)에 효과적으로 랜딩되지 못하게 되는데 낮은 진공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음극선관의 펀넬(4) 내면에 게터(10)를 장착하여 봉입 완료한 다음에 펀넬(4)의 외부측에서 유도코일(20)을 이용하여 게터플레싱을 실시함으로서, 상기 게터(10)에 내장된 Ni:Al:Ba 의 비율이 53:22:25로 형성된 알로이(30)가 내부공간의 구석구석으로 비산되면서 전자빔 진행시 방해되는 이 물질을 흡수,제거시킴과 동시에 내부공간의 진공도를 10-6내지 10-7Torr까지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음극선관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게터(10)의 수량이나 알로이(30)의 비산량 및 비산조건에 차이가 나게 된다. 즉 음극선관의 용량이 클수록 게터의 비산량도 많아지거나 복수개의 게터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게터(10)에 내장된 알로이(30)를 비산시킬때 고주파가열기(20)에 의해 가열되어 비산이 개시되기 시작할 때까지를 비산개시시간(start time)이라고 하며, 비산이 완료되는 시간을 총인가시간(total time) 이라고 하는데 게터(10)의 용량이 크면 클수록 총인가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요구되는 비산량을 얻기위해서는 비산개시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해햐 하는 것이다. 만약, 비산개시시간이 빠르게 되면 비산온도(1100-1200℃)보다 고주파가열기(20)에 의한 가열온도가 높게 올라가게 되므로 게터링(11)에 의한 녹음현상이 발생되거나 크로스바(12)에 의한 펀넬(4)의 찍힘현상 및 과다한 비산량이 얻어지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비산개시시간이 늦어지게 되면 요구되는 비산량보다 적어지게 되어 내부공간의 진공도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방사능력이 저하되게 된다.
이때 게터(10)는 판넬(2)과 펀넬(4)의 내부에 봉지한 후에 펀넬(4)의 외부측에서 고주파가열기(20)를 이용하여 게터플레싱을 실시하게 되면, 게터(10)가 가열되어 1100-1200℃ 온도에서 알로이(30)가 비산됨으로써 내부공간의 진공도가 유지되도록 하는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게터(10)의 경우 플레싱 실시시 비산개시시간의 편차에 의해 비산개시 시간이 빨라질 경우 게터링의 녹음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녹음현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대부분 게터링의 밑변 외곽부위나 측면부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 현상은 고주파 가열시 동일에너지가 가해지더라도 게터링 주변부위가 에너지 집중이 쉬워서 쉽게 발생이 된다.
제 5 도의 (a)는 게터의 온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게터플레싱 장치에 의해 열흡수를 시작해서 800℃까지는 원만하게 상승하고 1250℃근체에서 게터 내장물이 비산됨에 따라 온도가 하락하고 총인가시간까지 비산후 게터플래싱장치가 꺼지게 된다.
여기에서 녹음이 발행하는 원인을 제 5 도의 (b)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게터가 a구간동안 온도가 상승하고 b 기간이 길어서 게터 내장물이 c 부 도달전까지 대부분 비산되어버려 c 부에 도달되어서는 열을 충분하게 발산시키지 못하는 경우와, 고주파가열장치 조건이 너무 높을경우 게터 내장물이 비산하면서 뺏어가는 열량보다 가해지는 온도가 높은경우에 각각 게터링(11)의 온도가 상승되어져 게터링 녹음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게터녹음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녹으면서 비산된 게터링이 마스크 내면의 특정부위에 부착이 되어 그 부착된 부위는 빔스캔(scan)시 비산이 되지않은 주변부와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 온도차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의 열팽창 정도가 차이나 결론적으로 도밍에 불리하고 심하면 새도우 마스크의 변형을 가져와 스크린상에 재현하고자 하는 색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주파 가열에 의한 게터의 녹음을 방지하도록 바이메탈로 형성된 게터링과, 상기 게터링의 중심부분을 써포터와 용접이 용이하도록 주변부보다 함몰시켜 구성 함으로서, 게터 플레싱시 스프링이 고주파 가열장치와 적정간격 이격되게 되어 게터링 녹음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알로이(130)가 내장되어 있는 게터링(111)이용접되는 스프링(114)과, 상기 스프링(114)의 저면에는 게터링(111)을 펀넬(104)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크로스바(112)가 고정되어 있는 게터에 있어서, 고주파 가열장치(120)에의한 게터의 녹음을 방지하도록 외부재질(m2)이 내부재질(m1)보다 열팽창율이 큰 바이메탈로 형성된 게터링(111)과, 상기 게터링(111)의중심부분을 써포터(113)와 용접이 용이하도록 주변부보다 함몰시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게터는 판넬과 펀넬(104)의 내부에 장착이 되게되고 봉지한후에 펀넬(104)의 외부측에서 고주파가열기(120)를 이용하여 게터플레싱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게터링(111)은 제 5 도의 (c)에서 d 구간을 따라 온도가 분포되면 종래와 같은 게터녹음이 발생하게 되나 열을 받으면서 바이메탈이 동작을 하게되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게터링에 의해 최초는 A 만큼 간격이 멀어지고 f 구간으로 가게되는 경우는 추가로 B 만큼 간격을 이격시켜 게터링녹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게터링(111)의 온도는 e 구간을 따라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게터플레싱시 페터링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기 전에 게터링의 바이메탈부의 동작에 의해 게터와 고주파가열기 사이에 거리가 멀어짐에 의해 게터녹음현상을 방지할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3)

  1. 고주파 가열에 의한 게터의 녹음을 방지하도록 바이메탈로 형성된 게터링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메탈은 외부재질이 재부재질보다 열팽창율이 크도록 구비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게터링은 중심부분을 써포터와 용접이 용이하도록 주변부 보다 함몰시켜서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KR1019950003220A 1995-02-20 1995-02-20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KR014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20A KR0142355B1 (ko) 1995-02-20 1995-02-20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20A KR0142355B1 (ko) 1995-02-20 1995-02-20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2355B1 true KR0142355B1 (ko) 1998-06-01

Family

ID=1940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220A KR0142355B1 (ko) 1995-02-20 1995-02-20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35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458229A (en) Shadow-mask colour cathode ray tubes
KR0142355B1 (ko) 브라운관의 게터링 장치
US3346753A (en) Peripheral shield for color television tube shadow masks
CA2017033A1 (en) Integrated thermal processing for kinescopes
US3404303A (en) Color tube with mask interior peripheral shield of treated steel foil for improved heat radiation
US4407657A (en) Gettering device and method
KR960004561Y1 (ko) 음극선관용 게터
KR930007123B1 (ko) 음극선관의 내장흑연 도포방법
JPH027139B2 (ko)
JPH07111881B2 (ja) カラー表示管
KR015649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KR100209612B1 (ko) 음극선관용 게터 커버
KR100238160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920005857Y1 (ko) 칼라 브라운관용 새도우 마스크의 고정 프레임
KR100213784B1 (ko) 코너지지형 칼라 수상관의 프레임구조
JP2947883B2 (ja) 電子管のゲッターフラッシュ方法
JPH04229934A (ja) シャドーマスクの熱変形を最小化するためのカラーブラウン管製造方法
KR20019343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의 장착구조
KR100187005B1 (ko) 이중 코팅된 섀도우 마스크
KR930000780Y1 (ko) 칼라음극선관
KR930006737Y1 (ko) 브라운관의 게터구조체
KR0140070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조
JPS6079645A (ja) カラ−受像管
KR0123600Y1 (ko) 브라운관의 게터서포트 설치구조
JPH0917348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