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62B1 -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 Google Patents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62B1
KR920003862B1 KR1019860001379A KR860001379A KR920003862B1 KR 920003862 B1 KR920003862 B1 KR 920003862B1 KR 1019860001379 A KR1019860001379 A KR 1019860001379A KR 860001379 A KR860001379 A KR 860001379A KR 920003862 B1 KR920003862 B1 KR 92000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ollar
spout
wall
outwar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026A (ko
Inventor
비. 돕스 더글라스
Original Assignee
칼마르 인코포레이티드
도날드 이.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마르 인코포레이티드, 도날드 이.녹스 filed Critical 칼마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6000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산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거품 발생 노즐캡(절개단면으로 도시)을 결합시킨 수동분사기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거품발생 노즐캡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거품발생 노즐캡의 또다른 실시예들의 일부 절취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사기 11 : 노즐캡
12 : 펌프본체 13 : 칼라
14 : 튜브 15 : 볼첵크
17 : 펌퍼실 21 : 방출통로
22 : 분출구 25 : 횡단벽
26 : 슬리브 28 : 밀폐링
30 : 소용돌이실 37 : 칼라
38 : 칼라의 안쪽면 39 : 플랜지
본 발명은 발포성(發泡性) 물질을 거품으로 하여 분사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수동펌프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교란(turbulence) 운동을 통하여 거품을 일으키는 노즐캡을 갖춘 펌프에 관한 것이다.
거품 일으키는 장치를 노즐단부에 갖춘 거품 분사기들은 미국특허 제 4,219,159호 및 4,350,298호에 전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전자에 있어서는 발포(發泡)장치는 발포스크린과 흡기실을 갖추고 있는바, 이 흡기실은 흡기실안에서 발포성물질과 혼합될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통로를 갖추고 있어 스크린을 통하여 방출함에 따라 거품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공기 인입구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또한 분사될 물질이 분사물의 통로에 놓여있는 아암과 충돌하여 거품을 일으키도록 추가의 장치가 마련된다. 이들 아암은 분출구로 부터 나오는 비말(飛沫) 액체가 충돌하는 방해벽을 구성하여 인접한 아암들에 의하여 복수개의 출구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들 분사기들은 구조가 꽤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에 필요한 시간과 경비를 상당히 가중시키는 복잡한 부품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거품 분사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흡입통로나 거품발생 스크린이나 균질화요소(미국특허 제3,709,437호에서와 같은), 기타 거품을 일으키기 위하여 발포성 물질이 반드시 통과하여야 하는 수단을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연료를 뿌리기 위한 분무기가 미국특허 제 1192901호에 개시되어 있는바,기부에 분출구를 가진 다른 형상의 팁 챔버(tip chamber)를 갖춘 팁 부재(tip member)의 형태를 취한다. 분사를 할 동안, 고압하에서 분사구로 부터 방출되는 기름은 첨단 챔버안에 불완전 진공을 야기시키며 이로 인하여 분사될 물질이 챔버안에서 대기압 보다 낮은 공기와 섞이면서 분사될 물질의 분사가 일어난다. 또한 팁 챔버안에서의 불완전한 진공의 생성은 팁의 단부를 지나서 공기가 인입되도록 하여 인입된 공기는 속이 빈 기름 원추체를 관통하여 분사된 기름으로 빈 원추체안을 채운다. 팁 챔버의 측벽은 분출구를 포함하는 횡단면을 지나서 일정거리까지 연장되어 있어 챔버의 개구단 즉 입구의 크기는 연장된 기름 원추체의 외면이 측벽에 부딪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게된다. 그래서 이 팁 부재가 분사를 위한 공기 흡입통로를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팁 챔버의 벽의 외측단부는 분사된 기름의 원추체 벽이 위와같은 외측단부를 깨끗이 하여 팁 챔버의 벽과 분사된 기름 원추체 사이에 공기용 환상(環狀) 포켓을 형성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분사펌프 및 거품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공기흡입통로, 스크린, 기타 방해물을 갖추지 않은 단순한 구조의 거품발생 요소를 사용하여 거품을 분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거품 반사기를 제공하는 것인바, 이 거품 분사기는 분출구를 포함하며, 벽체를 가진 발포 노즐 캡을 갖추며 상기 캡은 상기 벽체로 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발포 칼라를 가지며 상기 칼라는 주어진 반경방향 거리만큼 떨어져서 분출구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벽체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끝나는 안쪽면을 가지는 바, 따라서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분사될 물질은 상기와 같은 칼라의 안쪽면에 충돌하면서 교란을 일으키게 되고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안쪽면으로부터 거품으로서 방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의 내면이 밖으로 점점 벌어지면서 경사가 완만한 원뿔형이거나 원통형인 그와같은 거품 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그리고 신규한 면모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전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부위를 가리키는 바, 제 1 도에서 전체적으로 부호 10으로 표시되는 방아쇠로 작동되는 분사기는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분사시키기 위해서 분사기의 밖에서 결합되는 발포 노즐 캡(11)을 구비한다. 발포 노즐 캡(11)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미국특허 제 4,174,069호에 있어서 처럼 다른 유형의 방아쇠를 구비할 수도 있고 거품을 일으키기 위하여 어느 공지유형의 손가락으로 수직 작동되는 펌프와 함께 채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1 도의 분사기(10)는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분사기(10)는 분사될 발포성 물질의 용기(미도시)의 목에 분사기를 설치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칼라(13)를 구비하는 펌프본체(12)를 갖는다. 튜브(14)는 펌프본체로 부터 용기속으로 연장되어 있어 볼 첵크(15)와 같은 입구 첵크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분사될 물질의 인입 통로를 형성한다. 펌프의 흡입작동이 있을 동안, 귀환 스프링(16)의 도움을 받아 분사될 물질은 펌프실(17)로 들어가고 그리고 압축작동이 있을 동안 방아쇠(18)를 작동시킴에 따라 피스톤(19)은 펌프실(17)내에서 분사될 물질을 압축시키는 바, 분사될 물질은 가압하에서 밸브로 제어되는 방출통로(21)와 분출구(22)를 통하여 방출된다.
어느 수동작동 펌프에서와 마찬가지로 분출구는 미국특허 제4,174,069호에서 처럼 펌프실에서든 또는 분출구 그 자체에 인접하여서든 임의의 형태의 밸브로 제어되는 배출통로의 종단부를 형성한다.
노즐 캡(11)은 내측의 환상홈(24)을 가진 스커트부(23)를 구비하는바 상기 환상홈은 캡이 제자리에 가볍게 끼워지면서 펌프본체 위에 있는 환상의 플랜지(도시안됨)를 받아들일때 펌프본체 위에 노즐 캡을 제자리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 캡의 횡단벽(25)은 그 중심부에 위치하는 분출구(22)를 가지며 노즐 캡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슬리브(16)는 횡단벽(25)을 둘러싸고 있다. 이 슬리브는 도시된 것처럼 원뿔형이어도 좋은 노즐 캡의 외벽(27)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노즐 캡으로 부터 분사될 물질이 새는 것을 피하도록 펌프본체의 협동 슬리브(도시안됨)와의 밀폐를 위하여 외벽(27)에서 안쪽으로 향하고 있는 환상의 밀폐링(28)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리브(26)는 횡단벽(25)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한쌍의 아치형의 플랜지(32, 33)를 가지는 펌프본체상의 한부분(31)을 에워싸고 있어 인접한 횡단벽(25)과의 사이에 소용돌이실(3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칼라(29)를 구비한다. 접선방향의 슬럿트(34, 35)가 이들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가 이들 슬러트를 통해서 소용돌이실로 밀릴때 칼라(29)안의 축방향 홈(36)을 통해서 분사될 물질이 분출구(22)에 인접하여 급속하게 돌진하도록 되어 분출구로 부터 밖으로 향하여 거의 원뿔형으로 분사됨에 따라 액체 선회운동의 소용돌이를 생성시킨다.
슬리브(26)는 횡단벽(25)으로 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발포칼라(37)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칼라(37)의 안쪽면(38)은 분출구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횡단벽(25)으로부터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밖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밖으로 연장된 거리는 배출구로 부터의 선회하는 원뿔형의 분사가 상기 안쪽면(38)에 충격을 주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식으로 물질의 발포를 초래하는 교란효과를 일으킬 정도이다. 따라서 발포성 물질이 분출구로 부터 분출되면서, 액체흐름을 일으키는 발포 칼라의 안쪽면(38)을 정면으로 향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 흐름의 속도는 그 크기나 속도가 불규칙적으로 변하여 이 난류(turbulent flow)에 의하여 발포성 물질은 발포 칼라로 부터 거품으로서 분출된다. 발포성 물질이 통과해야만 하는 공기 흡입통로라든가 스크린, 균질화 효소, 또는 기타 장애물 같은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캡에 있어서는 필요하지 않다.
발포성 칼라의 안쪽면(38)은 제 1,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밖으로 점점 벌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4 도에 38a로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제 5 도에 38b로 도시된 것처럼 기울기가 완만한 원뿔형일 수도 있는바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제 3 도의 노즐 캡(11A)는 횡단벽(25)의 상류(上流)측의 소용돌이실이 미국특허 제 4,174,169호에 개시된 것처럼 횡단벽(25)의 내면상에 장착된 한쌍의 아치형 플랜지(도면에는 플랜지(39) 하나만이 나타나 있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는 점 이외에는 상기한 노즐 캡과 유사하다. 따라서 접선방향의 슬럿트들은 펌프본체상의 바늘밸브(미도시)와 협동할 수 있는 이들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어 발포성 물질이 이들 슬럿트를 통하여 소용돌이실로 들어 보내어질때 분출구(22)에 인접하여 급속하게 선회하도록 된다. 더우기, 칼라(29)는 부호 41로 표시된 것과 같은 그 자유단에서 약간 불룩하며 보다 딱딱한 캡의 다른 부분의 그것에 비해서 비교적 신축성이 있다. 이 불룩한 단부(41)1는 핌프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니플(미도시)의 내벽을 압압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발포성 물질은 발포 칼라의 안쪽면(38)에 충돌되어, 제 1 도를 따라 기술된것과 마찬가지로 발포성 물질의 발포를 초래하는 교란효과를 일으키게 되므로 발포성 물질은 소용돌이형으로 분사되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뒤에 거품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로는 종래 기술에서 처럼 거품을 일으키기 위하여 발포성 물질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공기 흡입통로, 스크린, 균일화 효소 혹은 다른 장애물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분사하기 위한 거품 발생 노즐 캡이 창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발포 칼라의 벽에 충돌되는 원뿔형의 분사입자 위에 난류 효과가 일어나면서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발포 칼라가 본 발명에 의거한 거품분출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많은 변형과 대안이 상기의 기술로 부터 만들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특정적으로 기재되지 않았더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달리 발명의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밸브로 제어되는 입구와 공급용기로 부터 분출구를 통하여 발포성 물질을 방출하기 위해 형성된 방출통로를 갖춘 펌프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분출구를 통하여 발포성 물질을 밖으로 확산되게 분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펌프 하우징 위에 밖에서 결합되고 상기 분출구를 포함하면서 횡으로 납작하게 연장되어 있는 벽을 갖춘 발포 노즐 캡을 구비하며, 상기 캡은 여하한 공기 흡입통로 수단도 갖추고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캡은 상기 벽으로 부터 종방향으로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 발포 칼라를 갖추며, 상기 칼라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방향만큼 떨어져 있는 안쪽면을 가지며, 상기 안쪽면은 상기 벽으로 부터 종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끝이나며 또한 분사될 물질이 상기 칼라의 내면에 충돌이 되어 전적으로 교란효과에 의하여 상기 면으로 부터 거품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상기 분출구를 통해서 분출되는 분사물질이 난류가 되도록 상기 안쪽면은 밖으로 확산되어 분무되는 통로상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분사하기 위한 수동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안쪽면이 밖으로 확산되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분사하기 위한 수동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안쪽면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분사하기 위한 수동 펌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안쪽면이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분사하기 위한 수동 펌프.
  5. 노즐 캡의 납작하고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구를 통하여 발포성 물질을 밖으로 확산되게 분무시키는 단계와 또한 분출구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분출구의 하류쪽을 둘러싸고 있는 노즐 캡의 칼라의 안쪽면에 상기의 분무되는 발포성 물질을 충돌시켜 순전히 난류효과에 의하여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분무되는 물질을 상기 분출구를 떠날때 난류로 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분사기로부터 노즐 캡을 통하여 발포성 물질을 거품으로 방출시키는 방법 .
KR1019860001379A 1985-03-01 1986-02-27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KR920003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697785A 1985-03-01 1985-03-01
US706,977 1985-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026A KR860007026A (ko) 1986-10-06
KR920003862B1 true KR920003862B1 (ko) 1992-05-16

Family

ID=2483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379A KR920003862B1 (ko) 1985-03-01 1986-02-27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JP (1) JPS61209067A (ko)
KR (1) KR920003862B1 (ko)
AU (1) AU5384986A (ko)
BE (1) BE904288A (ko)
DE (1) DE3606000A1 (ko)
DK (1) DK91186A (ko)
FR (1) FR2578174A1 (ko)
GB (1) GB2171615A (ko)
GR (1) GR860554B (ko)
IT (1) IT1191867B (ko)
LU (1) LU86331A1 (ko)
NL (1) NL86004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58Y2 (ja) * 1987-12-25 1994-09-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の泡状噴射器のノズル
US5704521A (en) * 1995-06-06 1998-01-06 Calmar Inc. Trigger actuated sprayer
FR2752740B1 (fr) * 1996-08-30 1998-10-23 Snc S2E Services Tete de generation et de projection de mousse, notamment pour un appareil extincteur d'incendie
USD418755S (en) 1998-09-23 2000-01-11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er nozzle
CN113441307B (zh) * 2021-07-13 2022-06-24 深圳市战车工场汽车美容有限公司 一种汽车保养配件定位添油喷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901A (en) * 1913-12-17 1916-08-01 Babcock & Wilcox Co Liquid-atomizer.
GB820944A (en) * 1956-01-16 1959-09-30 Wald In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aint spraying apparatus
FR1466210A (fr) * 1960-11-28 1967-01-20 Perfectionnement aux générateurs de mousse mécanique pour l'extinction des feux
US3570770A (en) * 1968-05-08 1971-03-16 Seaquist Valve Co Valve button
GB1352145A (en) * 1970-03-14 1974-05-08 Mather & Platt Ltd Foam spraying equipment
US3635406A (en) * 1970-05-27 1972-01-18 Clayton Corp One-piece spray head and core pin construction therefor
US3711031A (en) * 1970-09-23 1973-01-16 R Ewald Valve button
FR2173380A5 (ko) * 1972-02-22 1973-10-05 Rotvand Georges
US4013228A (en) * 1974-11-14 1977-03-22 Chemtrust Industries Corporation Foam generating sprayer apparatus
US4219159A (en) * 1979-01-05 1980-08-26 The Afa Corporation Foam device
JPS5665651A (en) * 1979-11-02 1981-06-03 Yoshino Kogyosho Co Ltd Nozzle of foamed bubble dischar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600472A (nl) 1986-10-01
IT8647699A0 (it) 1986-02-28
IT1191867B (it) 1988-03-23
KR860007026A (ko) 1986-10-06
BE904288A (fr) 1986-06-16
AU5384986A (en) 1986-09-04
LU86331A1 (fr) 1986-06-10
GR860554B (en) 1986-06-18
DE3606000A1 (de) 1986-09-11
GB2171615A (en) 1986-09-03
FR2578174A1 (fr) 1986-09-05
GB8603727D0 (en) 1986-03-19
DK91186D0 (da) 1986-02-27
DK91186A (da) 1986-09-02
JPS61209067A (ja) 198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46211A (en) Method of and means for mixing and atomizing liquids
EP0705644B1 (en) Internal mix air atomizing spray nozzle
US5147087A (en) Hand-operated applicator for media
US20030098368A1 (en) Manually operable trigger sprayer with rearwardly located sprayer valve
US5611490A (en) Foamer assembly for fluid dispenser
JP2597410B2 (ja) 引き金式噴霧器用のバレルスクリーンインサートを有するフォームオフ・ノズル構造
EP0342741B1 (en) Spray head for an aerosol container
KR930007512A (ko) 분무노즐
JPH0580250B2 (ko)
HU214727B (hu) Keverő szerkezet gáz/folyadék elegy képzésére
KR101082771B1 (ko) 개선된 거품 형성 유닛
US4669665A (en) Nozzle
KR920003862B1 (ko)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US6659369B1 (en) High viscosity liquid sprayer nozzle assembly
TW530019B (en)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US5295628A (en) Discharge nozzle for media
JP2548635Y2 (ja) 浴室用シャワーヘッド
KR950031246A (ko) 흐름 분산기 고리형 리브를 가진 포말식 노즐
US4738398A (en) Sprayer having induced air assist
JP2006296491A (ja) 液体噴射用発泡ノズル
KR100295501B1 (ko) 2성분노즐
JPH04154575A (ja) 蓄圧式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液体の流出方法
KR100258317B1 (ko) 샤워기 분사구조
KR102409264B1 (ko) 고사 분사 노즐
CN220716266U (zh) 雾化机构及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