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26B1 -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26B1
KR920003726B1 KR1019890006847A KR890006847A KR920003726B1 KR 920003726 B1 KR920003726 B1 KR 920003726B1 KR 1019890006847 A KR1019890006847 A KR 1019890006847A KR 890006847 A KR890006847 A KR 890006847A KR 920003726 B1 KR920003726 B1 KR 92000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magnetic field
deflection
scree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513A (ko
Inventor
이청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726B1/ko
Publication of KR90001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제 1 도는 일반적인 칼라모니터의 화면 코너부에 발생되는 크로스 미스콘버젼스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
제 2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콘버어젼스 보정장치에 의한 자계분포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
제 3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콘버어젼스 조정장치의 회로도.
제 4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콘버어젼스 조정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 및 제 6도는 이 발명에 따른 콘버어젼스 조정장치의 1상한 및 4상한의 편향시 수평편향코일의 자계분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1, V2 :수직편향코일 L1, L2 : 보정코일
11 : 코일세퍼레이터 12 : 네크부
13a, 13b : 자성편 14 : 전자총
I1, I2 : 전류 P1 : 수평자계의 중심
이 발명의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로 구성되어 있는 편향요크는 음극선관(CRT)의 후면에 장착되어 적, 녹, 청(R, G , B) 3개의 전자빔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향시켜줌으로써, 원하는 화소가 음극선관에 나타나도록 위치를 결정하여 준다. 이와같은 편향요크는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그래픽용 모니터의 경우에, 음극선관 자체의 곡율오차 및 편향요크의 기구적인 오차등에 의하여 미스콘버어젼스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미스콘버어젼스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회로가 구성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포화리액터(Saturable Reactor)를 사용하여 병렬연결로 한쌍의 수평편향코일을 수직자계로 동조시키고, 화면의 상측 및 하측에서 수평편향코일의 전류차에 의한 상하의 불균형은 수평자계로 동조시켜 보정하였으나, 이는 편향요크에 설치하는 경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고 모니터의 크기 및 회로변경등에 의한 요인에 대하여 대저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력을 요구하는 칼라모니터에서 3개의 전자빔을 편향요크의 자계방향을 받기전에 수평자계의 중심보다 미리 화면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동시켜 편향되도록 한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은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동조된 전류를 보정코일에 흐르게하고 이 보정코일에 흐르는 자계에 의해 전자빔의 편향위치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가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화면의 코너부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시킴에 있어서, 상호 병렬연결되는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및 보정코일을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보정코일을 각각의 자성편에 권선되도록 구성하며, 이 자성편을 전자총에 인접되도록 코일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상, 하측에 상호 대향하여 장착되도록 한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일반적으로 칼라모니터의 화면코너부에 발생되는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Cross Misconvergence)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로서, 점선은 적색(R) 주사위치를 나타내고 실선은 청색(B) 주사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PQV, CV)의 크기는 화면의 상측 및 하측코너에서 크게 발생된다. 이와같은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수평편향코일에 의한 자계가 각 전자빔의 코너 편향시에 각 상한에는 화살표와 같은 자계가 분포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점선은 적색(R), 실선은 청색(B), 이점 쇄선은 녹색(G)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2 도에서 화면의 상측을 편향할 때에는 상, 하 균일한 수평자계층에서 3개의 전자빔(R, G, B)이 수평자계의 중심보다 하측의 지점을 지나가면 제 1 상한에서 "ㄱ"과 같이 분포된 자계의 영향을 받게되고, 또한 화면의 하측을 편향할 때에는 3개의 전자빔(R, G, B)이 수평자계의 중심보다 상측지점을 지나가면 제 4 상한에서 "ㄴ"과 같이 분포된 자계의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제 2 상한과 제 3 상한도 상기와 같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 적(R), 녹(G), 청(B)의 전자빔이 모니터의 상측으로 주사될 때에는 수평자계의 중심보다 하측을 지나게 하고, 모니터의 하측으로 주사될 때에는 수평자계의 중심보다 상측을 지나가게 하여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3개의 전자빔을 수평자계의 중심보다 상, 하로 이동시키는 자계를 얻기 위하여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상호 병렬연결되는 수직편향코일(V1), (V2)에 상호 병렬연결되는 보정코일(L1), (L2)이 직렬로 연결된다.
한편, 제 4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콘버어젼스 조정장치가 편향요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호(11)은 내부에 수평편향코일이 권선되고 외부에는 수직편향코일이 권선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이다.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1)를 구성하고 있는 네크부(12)의 후면에는 그 상, 하측 방향으로 상기 보정코일(L1), (L2)이 권선되는 자성편(13a), (13b)이 각각 장착되어 전자총(1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자성편(13a), (13b)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네크부(12)에 고정하거나 혹은 네크부(12)에 고정홀더(도시하지 않음)등을 형성하여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 발명에서 제 3 도와 같이 수직편향코일(V1), (V2)에 톱니파 편향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수직편향코일(V1), (V2)에 연결된 보정코일(L1), (L2)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시키게 된다. 즉, 전자총에서 방사된 각 전자빔이 편향요크에 의한 자계의 영향을 받기전에 수직편향코일(V1), (V2)에 흐르는 전류와 자성편(13a), (13b)에 감겨 동조된 자계를 갖는 보정코일(L1), (L2)에 의하여 각 전자빔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균일하게 이동되며, 이로 인하여 수평편향코일에 의한 자계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전자빔이 주사되어 화면의 코너부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작용을 제 5 도 및 제 6 도에 의하여 살펴보면, 전자총(14)의 적(R), 녹(G), 청(B) 3빔의 상, 하측방향에는 자성편(13a), (13b)에 각각 보정코일(L1), (L2)이 권선되어 위치된다. 이때, 보정코일(L1)에 흐르는 전류(11)는 수직편향코일(V1)에 흐르는 전류와 비례하여 증감되므로 R, G, B의 조정량과 비례하여 각 전자빔을 수평자계의 중심(P1)보다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 2 도에 나타낸 1상한 및 2상한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보정코일(L2)에 전류(I2)가 흐르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각 전자빔이 수평자계의 중심(P1)보다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제 2 도에 나타낸 3 상한 및 4 상한의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전자빔이 수평자계중심(P1)보다 하측 및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플레임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힘이 상, 하측 방향으로 작용되고 전류(I1), (I2)의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어 각각 힘을 받는 방향이 상이하게 된다. 이를 제 6 도에 의한 수평코일에 자계분포로서 살펴보면 1상한 및 4상한에 의한 자계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각 전자빔이 이동되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3개의 전자빔이 편향요크에 의한 편향자계의 영향을 받기 전에,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동조된 전류로서 미리 화면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편향되어 주사됨으로써,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이며,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비례적으로 자속의 세기를 변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의 장치는 편향요크의 네크부 후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단순하고 고해상력을 가지는 칼라모니터에서 저가의 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화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미스콘버어젼스를 보정시킴에 있어서, 상호 병렬연결되는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V1), (V2) 및 보정코일(L1), (L2)을 서로 직렬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보정코일(L1), (L2)을 각각의 자성편(13a), (13b)에 권선되도록 구성하며, 이 자성편(13a), (13b)을 전자총(14)에 인접되도록 코일세퍼레이터(11)의 네크부(12) 상, 하측에 상호 대향하여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콘버젼스 조정장치.
KR1019890006847A 1989-05-20 1989-05-20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KR92000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847A KR920003726B1 (ko) 1989-05-20 1989-05-20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847A KR920003726B1 (ko) 1989-05-20 1989-05-20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13A KR900019513A (ko) 1990-12-24
KR920003726B1 true KR920003726B1 (ko) 1992-05-09

Family

ID=1928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847A KR920003726B1 (ko) 1989-05-20 1989-05-20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7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13A (ko) 199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0176A (en)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US4257023A (en) Deflecting device for cathode-ray tube
US3930185A (en) Display system with simplified convergence
GB2029090A (en) Selfconverging t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assembly
GB1523304A (en) Display system utilizing beam shape correction
JPH04370629A (ja) 偏向ヨーク装置
US4396862A (en) Color picture tube with means for affecting magnetic deflection fields in electron gun area
KR920003726B1 (ko) 편향요크의 콘버어젼스 조정장치
US4845401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deflection means
Barbin et al. New color picture tube system for portable TV receivers
EP0311806B1 (en) Deflection unit for a colour cathode ray apparatus
US4933596A (en) Deflection yoke with compensation for misconvergence by the horizontal center raster
US3789258A (en) Electron beam and deflection yoke alignment for producing convergence of plural in-line beams
US4656390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US3763452A (en)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apparatus
US3892996A (en) Self-converging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KR100338033B1 (ko)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USRE31552E (en) Electron beam and deflection yoke alignment for producing convergence of plural in-line beams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910007803B1 (ko) 편향요크와 그 편향코일의 권선방법
KR200155650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보정장치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KR910007739B1 (ko)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