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908Y1 - 관계수(管係手) - Google Patents

관계수(管係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908Y1
KR920002908Y1 KR2019890007250U KR890007250U KR920002908Y1 KR 920002908 Y1 KR920002908 Y1 KR 920002908Y1 KR 2019890007250 U KR2019890007250 U KR 2019890007250U KR 890007250 U KR890007250 U KR 890007250U KR 920002908 Y1 KR920002908 Y1 KR 920002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ocket
operator
plug
flui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207U (ko
Inventor
레이찌 마끼시마
도시오 미끼야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도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23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계수(管係手)
제1도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밸브가 닫혀져있는 상태를 나타낸 1부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의 밸브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1부종단측면도.
제3도는 이 고안의 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밸브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1부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실시예에서 밸브가 열려져있는 상태를 나타낸 1부종단측면도이다.
이 고안은 소켓과 프러그를 접속 이탈하므로서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소켓에 설치한 조작자에 의해 독자로 개폐시키는 밸브 조작기구를 구비한 관계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계수는, 소켓 내부에 설치된 벨브가 프러그의 비접속시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으로서 닫혀 져서 상시 유체통로를 폐쇄하여, 프러그의 접속이탈에 의해서 밸브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에 대항해서 후퇴시켜,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시키는 구조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관계수에서는, 소켓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와 밸브좌로서 되는 밸브는, 프러그와 비점속상태에서는, 폐쇄하고, 프러그와의 접속시에는 열려서 유체를 흐르게하는 것이었는데, 예를들면 분진이 많은 곳에의 접속에서는, 관계수의 접속부 또는 공구와의 접속부의 오염을 세정하는 세정공구나 번거로운 세정작업을 필요로했고, 또 탱크내의 공기배기나 액체 배기등의 필요성이 생겼을경우, 프러그와의 비접속상태에서는 소켓 내부에 설치한 상기 밸브를 쉽게얻을 수 없어서 소켓에서 공기 레기를 행할수가 없어서 불편했다.
이 고안은 상기 종래의 관계수의 결점에 감안해서. 소켓과 프러그의 접속시 외에도 프로그와 비접속시에서도 소켓에 설치한 조작자에 의해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액체 통로를 개로하므로서 예를들면, 공기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소켓에서 분출시켜서 소켓의 내부나 공구등의 접속부의 에어브로우를 하므로서 당해부위를 위해 세정기구나 세정을 위한 번거로움을 없게하고, 다시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공작계의 가공물에 부착한 절분의 제거를 행할 수가 있게 했으며, 나아가서는, 소켓에서 공기때기등을 행할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고안은 상기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으로서, 소켓과 프러그의 비접속시에는 소켓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가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좌에 착좌하여 유체통로를 폐쇄함, 소켓과 프러그의 접속시에는 프러그의 압압력으로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에 대향해서 후퇴시켜 상기 유체통로를 개로시키는 헝식의 관계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밸브체배설부위에 밸브조작자를 소켓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시켜, 소켓의 반경방향으로 습동 가능하게, 또한 내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고, 이 밸브조작자의 소켓 내부에 돌출하는 부위에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두부를 밸브좌에서 이반시키는 밸브압부를 설치한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이 관계수는, 소켓과 프러그의 비접속시에는 소켓 내부의 밸브체를 가지는 밸브는,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닫혀서 소켓의 유체통로의 닫힌상태로 유지한다. 이점은 전형적인 이와같은 종류의 관계수 유체통로 폐쇄기능과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소켓에 설치한 밸브조작자를 내려누르면 밸브 조작자의 소켓내부에 돌출한 밸브압부가 상기 밸브체에 강력하게 계합하여 동 밸브체를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시키므로 밸브두부는 밸브좌에서 떨어져서 소켓의 유체통로를 개발시킬 수가 있다.
이 결과, 공기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소켓에서 분출하여 소켓의 내부나 접속부의 에어브로우나 에어래기등을 행할 수가 있다.
아래에, 이 고안을 도면에서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소켓, (2)는 소켓(1)을 구성하는 주통체, (3)은 소켓(1)내 즉 주통체(2) 내의 유체통로(4)의 일부를 형성하는 밸브체수납실, (5)는 상기 유체통로(4)내에 설치된 밸브좌이며, 이 밸브좌(5)의 중심에는 밸브구(6)가 설치되어 있다. (7)은 상기 소켓(1)에 내장된 밸브를 구성하는 가동의 밸브체이며. 밸브체 수납실(3)에 측방향으로 이동자제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7)의 전부는 밸브좌(5)의 후면에 착좌하고 밸브구(6)를 닫게하여 유체통로를 폐쇄하는 밸브두부(8)를 가지고있으며, 이러한 밸브체(7)는 밸브체 수납실(3)내에 설치한 압축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으로서 전방으로 부세되며, 상기 밸브두부(8)를 밸브좌(5)에 착좌시키므로서 유체통로(4)를 폐쇄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했으므로, 이 고안의 관계수는 전형적인 이런 종류의 관과같이 소켓(1)와 프러그(10)와의 비접속시에는 소켓(1)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체(7)의 밸브두부(8)가 압축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으로서 밸브좌(5)에 착좌하여 밸브구(6)를 닫히게 하여 유체 통로(4)를 폐쇄하며, 소켓(1)의 프러그(10)와의 접속시에는, 프러그(10)와 선단부에 의한 압압 작용으로서 밸브체(7)가 압축코일 스프링(9)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며, 밸브두부(8)가 밸브좌(5)에서 이반해서 유체통로(4)를 개로한다.
(11)은 소켓(1)의 주통부(2)를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유체통로(4)에 헝성한 밸브체 배설 부위에 설치된 밸브 조작자이다.
이 밸브조작자(11)는 밸브조작자(11)의 저부를 밸브체 배설부위에서의 밸브수납실(3)내에 크게 돌출시켜서 소켓(1)의 반경방향으로 습동가능하고 또한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있다.
(12)는 밸브조작자(11)와 주통체(2)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팩킹이다.
(13)은 상기 밸브조작자(11)에 대향시켜서 주통체(2)의 축심을 끼운 동 밸브조작자(11)와 대칭위치에 설치된 보조 조작자이며, 이 보조조작자(13)는 소켓(1)의 반경방향으로 습동자재하게 또한 배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연결간(14)에 의해 밸브조작자(11)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하므로서, 소켓(1) 내부에 압력이 없을때는 밸브조작자(11)를 안쪽으로 향하여 압압하면, 보조조작자(13)의 일부가 소켓(1)의 외부로 돌출한다.
즉, 밸브조작자(11)를 소켓(1)의 안쪽을 향해서 이동시킨다든가, 또, 보조조작자(13)를 소켓(1)의 안쪽을 향해서 압압하는 등, 소켓(1)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조작에 의해 밸브조작자(11)를 소켓(1)의 축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소켓(1)내에 있는 압축공기등이 밸브체(7)에 작용하고있을때는 밸브 조작자(11)를 소켓(1)의 안쪽을 향해서 압압한 밸브 조작자(11)에서 놓아주면 보조조작자(13)를 압압하지않더라도 밸브체(7)에 작용하는 압력과 압축 코일스프링(9)에 의해서 밸브조작자(11)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밸브체(7)의 밸브두부(8)는 밸브좌(5)와 당접해서 유체통로(4)를 폐쇄한다.
(16)은 밸브조작자(11)와 보조조작자(13)의 소켓 외측에있는 부위에 설치된 프랜지, (17)은 상기 밸브체(7)의 동부(18)에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며, 이 장공(17)에 상기 연결간(14)이 느슨하게 삽입되어있으며, 이 장공(17)의 길이치수의 범위에서 밸브체(7)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19)는 상기 밸브 조작자(11)의 저부에 설치된 원추 밸브형의 밸브압부이며 이 밸브압부(19)는 상기 밸브조작자(11)를 제1도 하방으로 압압하므로서, 밸브(7)에 계합해서 이것을 압압하여, 이 밸브(7)를 압축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후퇴시켜서 밸브체(7)의 밸브두부(8)를 밸브좌(5)에서 이반시켜 밸브구(6)를 열어서 유체통로(4)를 개로할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도, 제2도에서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조작자의 밸브압부(19)의 저부를 원추대형으로 하고, 그 외주부에 경사면(20)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7)의 후부에는 상기 경사면(20)과 계합하는 경사면(21)을 가지는 대경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인해, 밸브조작자(11)가 소켓주통체(2)의 바깥쪽으로 돌출상태에 있을때, 밸브체(7)는 압축코일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하여 밸브두부(8)가 밸브좌(5)에 착좌해서 유체통로(4)를 폐쇄하며(제1도), 다음에 밸브조작자(11)를 압압하면 제2도에서와 같이 밸브체(7)의 경사면(21)이 밸브조작자(11)의 경사면(20)에 눌려서 밸브체(7)는 압축 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여 밸브 두부(8)가 밸브좌(5)에서 이반하여 유체통로(4)가 개로한다. (23)은 대경부(22)에 형성시킨 복수의 유체통과공이다. 제3도는, 밸브조작자(11)에 설치된 밸브압부(19)의 구조를 바꾼 밸브조작자(11)의 타의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밸브압부(19)는 밸브조작자(11)의 저부에 1단이 추착된 레버(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레버(24)는 자유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밸브수납실(3)에 수용되고 밸브체(7)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25)의 후벽면(16)에 계합하고 있다.
이홈부(25)의 후벽면(26)은 밸브체(7)의 후부에 형성한 대경부(27)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밸브조작자(11)가 소켓주통체(2)의 외주면에서 돌출상태에 레버(24)는 소켓주통체(2)의 축심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가 되어 밸브체(7)은 압축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하여 밸브두부(8)가 밸브좌(5)에 착좌해서 유체통로를 폐쇄한다.
다음에, 밸브조작자(11)를 압압하면, 제4도에서와 같이 자유단부가 밸브체(7)의 외주부의 홈부(25)에 계합하고.있는 레버(24)는 회동하여 소켓주통체(2)의 축심과 평행하게되며, 이 레버(24)의 회동에 의해 밸브체(7)는 압축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고 밸브 두부(8)가 밸브좌(5)에서 이반해서 유체통로(4)가 개로한다.
(28)은, 대경부(27)에 형성된 복수의 유체통과공이다.
그리고, 도면에서(29)은 소겟(1)의 전부외주위에 설치된 록 볼(30)은 소켓(1)의 외주부에 측방향으로 습동자제하게 취부된 록 볼조작용 슬리브(31)은 슬리브(30)를 록 볼 압압 방향으로 부세하는 압축 코일스프링, (32)는 스톱링, (33)은 상기록볼(29)의 서포트링, (34)는 서포트링(32)를 전방으로 부세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이다.
그리고, 소켓(1)와 프러그(10)를 접속할때, 프러그(10)의 외주돌조부(35)가 압축코일 스프링(34)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서포트링(33)을 압압했을때에 서포트링(33)이 후퇴해서 록 볼(29)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36)은 프러그(10)의 외주면에 헝성한 록 볼 계지용 원주구이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소켓과 프러그의 비접속시에는 소켓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가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밸브좌에 착좌해서 유체통로를 폐쇄하고, 소켓과 프러그의 접속시에는 프러그의 압압력으로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시키고 상기 유체통로를 개로하는 형식의 관계수에 있어서, 소켓의 상기 밸브체 배설부위에 밸브조작자를 소켓의 반경방향으로 습동 가능하게 또한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고, 이 밸브조작자의 소켓 내부에 돌출하는 부위에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 두부를 밸브좌에서 이반시키기 위한 밸브압부를 설치하고있으므로 소켓과 프러그의 비접속시에는 소켓에 내장된 밸브에 의해서 유체통로를 폐쇄할뿐만 아니라, 비접속시에 소켓에 설치된 밸브조작자를 조작하므로서 자유로히 밸브를 열수 가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소켓내의 유체압을 이용해서 소켓에서 공기를 분출시키므로서, 분진이 많은 곳에서의 관계수의 세정이나 공작기계에 의해서 나오는 절삭분의 에어브로우, 나아가서는 탱크내의 잔존압력 래기등의 작업을 세정제나 전용기구등을 사용하지않고 간단히 행할수 가 있다.

Claims (1)

  1. 소켓과 프러그의 비접속시에는 소켓내부에 설치된 밸브체가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벨브좌에 착좌해서 유체통로를 폐쇄하고, 소켓과 프러그의 접속시에는 프로그의 압압력으로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시켜 상기 유체 통로를 개로하는 형식의 관계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밸브체 배설부위에 밸브조작자를 소켓의 반경방향으로 관통시켜서, 소켓의 반경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또한 배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고, 이 밸브 조작자의 소켓내부에 돌출하는 부위에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두부를 밸브좌에서 이반시키는 밸브압부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수.
KR2019890007250U 1988-05-31 1989-05-30 관계수(管係手) KR9200029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72352U JPH0322629Y2 (ko) 1988-05-31 1988-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207U KR890023207U (ko) 1989-12-02
KR920002908Y1 true KR920002908Y1 (ko) 1992-05-08

Family

ID=3129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250U KR920002908Y1 (ko) 1988-05-31 1989-05-30 관계수(管係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2629Y2 (ko)
KR (1) KR9200029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6809B2 (ja) * 2012-09-28 2016-05-25 日東工器株式会社 安全機能を有する雌型継手
JP6795958B2 (ja) * 2016-11-29 2020-12-02 日東工器株式会社 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2629Y2 (ko) 1991-05-16
JPH01174692U (ko) 1989-12-12
KR890023207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488A (en) Hands-off low-air-loss quick-connect quick-disconnect fast-fill dunnage bag filling valve-nozzle assembly & system
US4793053A (en) Quick disconnect device
US4552333A (en) Bayonet catch for a line of pressurized medium
MY111415A (en) Socket of pipe joint
US6827329B2 (en) Pipe coupling
US2369356A (en) Blowgun
US6296228B1 (en) Service device
KR920002908Y1 (ko) 관계수(管係手)
JP2004084934A (ja) 管継手
JPH05215299A (ja) ボンベバルブ
GB2038970A (en) Fluid flow couplings
US4844513A (en) Remotely operable quick connector for a coupling device
KR200290326Y1 (ko) 차단 장치 내장형 가스용 퓨즈콕
JP4579832B2 (ja) 急速継手
JP7458019B2 (ja) 開閉弁装置
US5314002A (en) Vacuum valve apparatus for die casting
JPS5912472Y2 (ja) 管継手
JP2000055272A (ja) 高圧用迅速継手
JPH0914554A (ja) 放射性流体配管の接続構造
JPH0738791Y2 (ja) 管継手
JP2803988B2 (ja) 流体流通用継手
JP7369460B2 (ja) 保持弁付き空気圧シリンダ装置
JPS629787B2 (ko)
JPS6210540Y2 (ko)
JPH0538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