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883B1 -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883B1
KR920002883B1 KR1019890004359A KR890004359A KR920002883B1 KR 920002883 B1 KR920002883 B1 KR 920002883B1 KR 1019890004359 A KR1019890004359 A KR 1019890004359A KR 890004359 A KR890004359 A KR 890004359A KR 920002883 B1 KR920002883 B1 KR 92000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channel
call
mobi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526A (ko
Inventor
쓰구오 이시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3Cordless telephones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채널 선택제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퀸스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무선기의 빈 통화채널 검색동작의 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6도는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 통화채널의 결정동작의 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7도는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무선의 사용 통화채널 정보의 작성동작의 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신호포맷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회선제어장치 41, 42, 43 : 고정무선기
300, 417 : 수신부 301, 416 : 송신부
302, 418 : 발진부 303 : 마이크
304 : 리시버 305 : 다이얼패드
306 : 사운더 307, 419 : 제어부
308, 420 : 전원회로 421 : 기억부
702 : 통화로 스위치 708 : 주기억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채널의 간섭이나 혹은 혼선 및 제어채널에의 방해를 확실히 방지한 통화채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영역(또는 서비스영역)의 일부가 중복되도록 복수의 고정무선기를 배치하고, 각 무선영역내에서 이동하는 이동무선기와 유선전화회로사이의 통신을 실행하도록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한되어 있다. 제1도는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무선기(3a)-3(e), 고정무선기(41)-(43), 회선제어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영역(51)-(53)은 고정무선기(41)-(43)가 각각 카바하는 무선영역이다. 또한, 무선제어장치(7)에는 유선전화회선(6a)-(6e)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동무선기(3a)는 유선전화회선(6b)과, 이동무선기(3c)는 유선전화회선(6c)과, 이동무선기(3d)는 유효무선회선(6d)과, 이동무선기(3e)는 유선전화회선(6e)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회전 접속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금, 유선전화회선(6a)에 신호가 도착되면, 회전제어장치(7)는 유선전화회선(6a)과 대응하는 이동무선기(3a)가 존재하는 무선영역(51)의 고정무선기(41)를 기동시켜 착호(着呼)신호를 송출시킨다. 이동무선기(3a)는 착호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더를 울려서 이용자에게 알린다. 이용자가 오프훅에 따라 응답하면, 이동무선기(3a)는 고정무선기(41)를 통하여 회선제어장치(7)로 응답신호를 되돌린다. 회선제어장치(7)는 이것을 검출하여 유선회선(6a)을 고정무선기(41)에 접속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용자가 이동무선기(3a)에서 고정무선기(41)를 끼워서 회선제어장치(7)에 발호신호를 송출하면 회선제어장치(7)는 유선전화회선(6a)과 고정무선기(41)를 접속하고 유선전화망으로의 발호를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착호동작에서 고정무선기(41)와 이동무선기(3a)사이에 통화를 위해 형성되는 통화채널은 고정무선기(41)가 대기상태일때 복수의 통화채널 가운데에서 검색된 빈통화채널로서, 이 빈 통화채널의 정보를 이동무선기(3a)를 호출할때 전송하므로써 고정무선기(41)와 이동무선기(3a)의 쌍방이 당해 채널로 전환되어 통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고정무선기(41)-(43) 및 (3a)-(3e)에서의 빈 채널의 검색시간은, 발착호에 대한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100ms 이하의 짧은 시간으로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빈 채널의 검색 타이밍에서 이미 사용중인 다른 통화채널의 전계 강도가 페이징등에 의해 저하되면, 이 통화채널을 빈 채널로서 오인되어 버려 통화채널의 혼신(混信)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화중이었던 이동무선기의 이동에 의해 전파를 전파하는 상태가 변화되어 동일한 통화채널에서의 간섭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동일 통화채널에서의 간섭은, 고정무선기 및 이동무선기의 각각에 간섭검출회로를 설치하고,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주파수관계의 통화채널로 전환하는 방법도 있는데, 양자의 주파수차가 작은 경우에는 그 검출이 곤란해져서 간섭을 확실히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두개의 고정무선기(A), (B)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화채널의 주파수가,
fc=2.(fc+△fs)-(fc+2△fs)
(단, fc=제어채널 주파수, △fs는 통화채널 주파수의 간격, fc+△fs는 고정무선기 A의 송신파, fc+2△fs는 고정무선기 B의 송신파)의 관계가 되면, 양고정무선기(A), (B)의 송신파의 상호조절에 따라 제어채널과 동일 주파수인 전파가 발생하여 제어채널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여 통화채널의 간섭이나 혼신 및 제어채널로의 방해를 확실히 방지하며 안정된 통화를 실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고정무선기와 이동무선기사이에 통화채널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술한 고정무선기에서의 회로제어장치로 형성된 통화채널을 통지하는 동시에 유선전화회선에서의 착호시 또는 이동무선기로부터의 발호시에는 회선제어장치가 통지된 통화채널에 의거하여 사용중 또는 사용불가의 통화채널의 정보를 착호 또는 발호에 관계된 고정무선기에 통화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전술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고정무선기는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였다면, 이 통화채널을 회선제어장치에 통지하고 회선제어장치에 대하여, 모든 고정무선기가 사용되고 있는 통화채널을 관리시킨다. 그래서, 유선전화회선에서 착호 또는 이동무선기에서 발호가 있는 경우에는, 착호시켜야할 또는 발호된 이동무선기에 대응된 고정무선기에 대하여 회선제어장치가 파악하고 있는 사용중인 통화채널의 정보 또는 사용이 불가능한 통화채널 의 정보를 통지한다. 이에 따라 고정무선기에서는 간섭이나 혼신, 또는 제어채널에의 방해가 발생되지 않는 통화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무선기가 사용되고 있는 통화채널을 회선제어장치로 관리시키고, 고정무선기의 채널 선택동작에 앞서 그 관리하고 있는 통화채널의 내용을 통지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고정무선기는 동일한 통화채널 사용에 따른 혼신이나 간섭 또는 상호간섭에 의해 제어채널에의 방해가 발생되지 않는 통화채널의 선택은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페이징등이 있어도 안정된 통화를 확보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 제2도에 나타낸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응되어 있어서 제1도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도에서, 유선전화회로(6a)-(6e)에 접속되는 회선제어장치(7)는 각 유선전화회선(6a)-(6e)에 각각 대응된 트렁크회로(700a)-(700e), 각 고정무선기(41)-(43)에 각각 대응한 라인회로(701a)-(701c), 트렁크회로(700a)-(700e)와 라인회로(701a)-(701c)사이에 설치되고, 트렁크회로(700a)-(700e)와 라인회로(701a)-(701c)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스위치회로(702), 통화로 스위치회로(702)의 통화로 형성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707), 각종 제어정보를 기억하는 주기억장치(708) 및 회선제어장치(7) 전체를 구성하기 위한 전원회로(709)를 가지고 있다. 회선제어장치(7)의 라인회로(701a)는 고정무선기(41)에 접속된다. 또한, 제2도에서는 라인회로(701b),(701c)에 접속되는 고정무선기(42),(43)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고정무선기(41)는, 회선제어장치(7)의 라인회로(701a)에 접속되는 라인회로(410), 이 라인회로(410)에 접속되는 베이스밴드회로(415), 제어부(419), 이동무선기(3a)에 대하여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416), 이동무선기(3a)에서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17), 제어부(419)에 따라 제어되고, 송신부(416)의 송신주파수 및 수신부(417)의 수신주파수를 결정하는 발진부(418) 각종 제어정보를 기억한 기억부(421) 및 이 고정무선기(41)를 구동하는 전원회로(420)를 가지고 있다.
이동무선기(3a)는, 유선전화회선(6a)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고정무선기(41)에서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0), 예를들어 고정무선기(41)에 대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01), 제어부(307)에 의해 제어되고, 수신부(300)의 수신주파수 및 송신부(301)의 송신주파수를 결정하는 발진부(302), 마이크(303)에서의 신호 및 리시버(304)로의 신호를 처리하는 베이스밴드회로(309), 제어부(307)에 접속되어 다이얼키 및 훅스위치를 가진 다이얼패드(305), 호줄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운더(306) 및 이 이동무선기(3a)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308)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도에서 유선전화회선(6b)-(6e)에 대응하는 이동무선기(3b)-(3e)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3도, 제4도의 시퀸스도 및 제5도에서 제7도의 플로우챠트, 제8도의 신호포맷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유선전화회선(6a)에 착호가 있으며, 이어서 유선전화회선(6c)에 착호가 있었던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서, PH A에서 유선전화회로(6a)에 16HZ의 착호신호가 도착하고, 이것이 회선제어장치(7)의 트렁크회로(700a)에서 검출하면, 회선제어장치(7)는 유선전화회선(6a)에 대응하는 이동무선기(3a) 근방의 고정무선기, 이 경우에는 고정무선기(41)에 대하여 라인회로(701a)를 통하여 착호신호(s10)를 송신한다. 이 착호신호(s10)는 이동무선기(3a)의 식별신호외에 다른 고정무선기(42), (43)가 사용되고 있는 통신채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착호신호(s10)는, 예를들어 제8도에 나타낸 신호포맷에 따라서 송출된다.
이 제8도에 나타낸 신호포맷은, 이 시스템에서의 고정무선기(41)-(43)와 이동무선기(3a)-(3e)사이의 신호에 사용도는 신호포맷을 나타낸 것으로서, 동기코드(10), 제어코드(20), 이동무선기 및 고정무선기의 ID코드(30) 및 부가정보코드(40)로 구성되며, 이 경우 제어코드(20)에 착호를 표시하는 착호신호가 포함되고, 부가정보코드(40)에 다른 고정무선기(42), (43)가 사용되고 있는 통화채널의 정보, 즉 회선제어장치의 통화채널의 관리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착호신호(S10)에 포함되는 통화채널의 관리내용은 제3도의 좌측 블럭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착호신호(S10)는, 고정무선기(41)의 라인회로(410), 베이스밴드회로(415)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회로(419)에 가해진다. 제어회로(419)는, 착호신호(S10)의 가정보코드의 내용, 즉 통화채널의 관리내용에서 다른 고정무선기(42), (43)가 사용되고 있는 통화채널이 없음을 판별한다. 여기에서, 고정무선기(41)는 수신대기시에는 빈 통화채널을 사전에 검색하고, 이 검색된 빈 통화채널을 기억부(421)에 기억하고 있다. 고정무선기에서의 빈 통화채널의 검색동작의 한예가 제5도의 플로우챠트로 나타나 있다.
제5도에서, 고정무선기는 제어채널을 감시하고(스탭 431), 발호 또는 착호가 없는 경우, 즉 수신대기시일때, 통화채널을 순차선택하고(스탭 423), 선택된 통화채널이 비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탭 433). 그리고, 선택된 통화채널이 비었을 경우에는 이 선택된 통화채널을 빈 통화채널로서 기억부(421)에 기억하는 스탭(435), 또는 선택한 통화채널이 폐쇄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선택된 통화채널을 기억부(421)의 기억에서 클리어 시킨다(스탭 434).
고정무선기(41)의 제어부(419)는, 이와 같이하여 수신대기에 검색해 놓았던 빈 통화채널 가운데에서 예를들어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을 선택하고, 이 주파수(f1) 통화채널의 지정정보와 이동무선기(3a)의 식별신호를 포함한 착호신호(S11)를 송신부(416)를 끼워서 제어채널로 이동무선기(3a)로 송신한다. 이동무선기(3a)의 제어부(307)는, 자기에 대한 식별신호를 포함한 착호신호(S11)를 수신부(300)에서 수신하면, 응답신호(S12)를 제어채널로 송신부(301)를 통하여 고정무선기(41)로 반신한 뒤, 발진부(302)를 제어하여 수신부(300) 및 수신부(301)의 채널을 주파수(f1)의 통화채널로 전환하고, 이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이 비어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한편, 고정무선기(41)도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의 지정정보를 포함한 착호신호(S11)를 송신한뒤, 발진부(418)를 제어하여 송신부(416) 및 수신부(417)의 채널을 주파수(f1)의 통화채널로 전환한다. 이동무선기(3a)는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을 조사한 결과, 비어있는 것을 확인하면 주파수(f1)의 통화채널로의 전환완료를 나타내는 전환완료신호(S13)를 송신부(301)를 통하여 고정무선기(41)에 송신한다. 고정무선기(41)의 제어부(419)는, 이동무선기(3a)에서 채널전환완료신호(S13)를 수신부(417)를 통하여 수신하면 베이스밴드회로(415), 라인회로(410)를 통하여 회선제어장치(7)에 대하여 이동무선기(3a)와의 사이에 형성한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의 정보를 포함한 채널전환완료신호(S14)를 송신하는 동시에, 이동무선기(3a)의 사용자를 호출해야할 명동신호(S15)를 송신부(416)를 통하여 이동무선기(3a)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채널전환완료신호(S14)는, 제8도에 나타낸 신호포맷에서, 제어코드에 채널전환완료를 보고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부가코드에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의 정보, 즉 고정무선기의 통화채널의 관리내용이 포함된다. 이 채널전환완료신호에 포함되는 고정무선기의 통화채널의 관리내용은 제3도의 좌측에 나타낸다.
회선제어장치(7)의 중앙제어장치(707)는 라인회로(701a)를 통하여 채널전환완료신호(S14)를 수신하면, 이 채널전환완료신호(S14)에 포함되는 고정무선기의 통화채널의 관리내용, 즉 이 경우에는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의 정보를 고정무선기(41), (42), (43)의 통화채널의 관리를 위해 주기억장치(708)에 기억한다. 고정무선기(41)에서 송출된 벨명동신호(S15)가 이동무선기(3a)의 수신부(300)를 통하여 제어부(307)에서 검출되면, 제어부(307)는 사운더(306)를 제어하여 사운더(306)에서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이동무선기(3a)의 사운더(306)에서 발생된 호출음에 대응하여 이동무선기(3a)의 사용자가 다이얼패드(305)의 훅스위치를 오프훅 조작하면 이동무선기(3a)의 제어부(307)은 송신부(301)를 제어하고는 오프훅신호(S16)를 고정무선기(41)에 송신한다. 고정무선기(41)의 제어부(419)는 수신부(417)를 통하여 이 오프훅신호(S16)를 수신하면, 베이스밴드회로(415), 라인회로(410)를 제어하여 오프훅신호(S17)를 회전제어장치(7)에 송신한다. 고정무선기(41)의 제어부(419)는 송신부(416)를 통하여 이동무선기(3a)로와 통화신호(S18)(통화상태에 들어가 지시를 하는 신호) 회선제어장치(7)의 중앙제어장치(707)는 오프훅신호(S17)를 라인회로(701a)를 통하여 수신하면, 유선전화회선(6a)과의 사이에 직류 루우프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유선전화회선(6a)과 이동무선기(3a)와의 통화로가 회선제어장치(7) 및 고정무선기(41)를 끼워서 형성되고, 이동무선기(3a)는 통화상태가 된다. 이때, 회선제어장치(7)에서는 제3도에 좌측의 블럭으로 나타낸 것처럼 주기억장치(708)에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이 사용중이라는 것이 기억된다.
이와 같이하여 유선전화회로(6a)와 이동무선기(3a)가 통화상태가 되고, 그뒤 다른 유선전화회선(6c)에 착신호가 pH B에 도달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전술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회선(6c)에 대응하는 이동무선기(3c)의 근방의 고정무선기, 예를들어 고정무선기(42)에 대하여 회전제어장치(7)에서 착호신호(S20)가 송신된다. 이 착호신호(S20)속에는 다른 고정무선기가 사용하고 잇는 통화채널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제3도의 예에서는, 이 상태에서 전술한 것처럼 고정무선기(41)가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3도의 좌측의 블럭에 나타낸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이 고정무선기(4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착호신호(S20)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고정무선기(42)는, 이 정보와 수신대기시에 검색해둔 빈 채널의 정보를 기초로하여 이동무선기(3c)와의 사이에서의 통화채널을 선택한다. 예를들어, 수신대기시에 검색해둔 빈 채널의 주파수(f2)와 (f3)에 있었다고 하면, 고정무선기는 주파수(f2), (f3)의 빈 채널중 상호변조에 의한 제어채널로의 방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f2)의 채널을 피하여 주파수(f3)의 채널을 선택한다. 전술한 통화채널의 선택동작을 제6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재차설명한다.
제6도에서 우선 기억부(421)에 기억된 빈 통화채널의 하나를 선택한다(스탭 441). 계속하여, 이 선택된 빈 통화채널이 사용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442). 여기에서 선택된 통화채널이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음에 이 통화채널의 사용에 따라 다른 사용중에 있는 통화채널과의 관계에서 간섭파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스탭 443). 여기에서 간섭파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 통화채널을 사용통화채널로서 결정한다(스탭 444). 또한, 스탭(442)에서 사용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또는 스탭(443)에서 간섭파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탭(441)으로 되돌아가며, 기억부(421)에 기억된 다른 빈 통화채널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하여 고정무선기는 빈 통화채널중에서 간섭파의 발생 가능성이 적은 통화채널을 선택하여 이것을 사용통화채널로서 결정한다. 고정무선기(42)는 이와 같이하여 선택결정된 주파수(f3)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와 이동무선기(3c)의 식별번호를 포함한 착호신호(S21)를 이동무선기(3c)에 대하여 제어채널로 송신한다. 이후, PH(Phase) A와 동일하게 하여 응답신호(S22), 채널전환완료신호(S23)가 이동무선기(3c)에서 송신된 뒤, 채널전환완료신호(S24)가 고정무선기(42)에서 회선제어장치(7)로 송신한다. 그리고, 고정무선기(42)에서 송신된 벨명동신호(S25)에 의해 이동무선기(3c)의 사용자가 오프훅 조작으로 응답하여, 그 오프훅신호(S26), (S27)가 회선제어장치(7)에 송신된다. 고정무선기(42)는 이동무선기(3c)로 통화신호(S28)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유선전화회선(6c)과 이동무선기(3c)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상태가 된다. 이동무선기(3c)가 주파수(f3)의 통화채널에서 통화상태가 되므로써, 회전제어장치(7)의 주기억부(708)에는, 고정무선장치(41)가 주파수(f1), 고정무선장치(42)가 주파수(f3)의 통화채널을 사용중인 것을 기억하게 된다.
이 상태가 제3도가 좌측의 블럭으로 나타난다.
그뒤, PH C에서 이동무선기(3a)에서 온훅크 조작되어지면, 온훅크신호(S29)가 고정무선기(41)에, 또한 온훅크신호(S30)가 회전제어장치(7)에 입력되고, 유선전화회선(6a)사이의 직선 루우프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통화가 끝나게 되어 주기억장치(708)의 고정무선기(41)가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을 사용하고 있다는 기억이 클리어 된다.
제4도는 유선 전화회선(6a)에 착호가 있으며, 이어서 이동무선기(3c)에서 발호가 있었던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PH A에서의 동작은 제3도에 나타낸것과 동일하다.
PH B에서 이동 무선기(3c)의 이용자가 발호하면, 이동무선기(3c)에서 이 이동 무선기(3c) 근방의 고정무선기(42)에 발호신호(S221)가 송출된다. 고정무선기(42)는 이 발호신호(S221)에 응답하여 발호신호(S222)를 회선제어장치(7)로 송출한다.
회선제어장치(7)는 이 발호신호(S222)를 수신하면, 발호응답신호(S223)을 고정무선기(42)에 송출한다.
이 발호응답신호(S223)에는 회선제어장치(7)의 통화채널의 관리내용, 즉 회선제어장치(7)의 주기억장치(708)에 기억되어있는 사용중인 통화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있다.
이때,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이 고정무선기(41)에 사용되고 있으며, 발호응답신호(S223)에 포함되는 사용중인 통화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4도의 좌측의 대응하는 블럭에 나타낸 것처럼 되어있다.
고정무선기(42)는 이 정보와 수신대기시에 검색해둔 빈 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동 무선기(3c)와의 사이에서의 통화채널을 선택한다.
예를들어 수신대기시간에 검색해둔 빈 채널이 주파수(f2)와 (f3)에 있었다고 하면, 고정무선기는 주파수(f2), (f3)의 빈채널중 상호 변조에 의한 제어채널로의 방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f2)의 채널을 피하여 주파수(f3)의 채널을 선택한다.
전술한 통화채널의 선택동작의 상세한 것은 제6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다.
고정무선기(42)는 이와 같이하여 선택결정된 주파수(f3)의 채널을 나타낸 정보와 이동무선기(3c)의 식별신호를 포함한 발호응답신호(S224)를 이동무선기(3c)에 대하여 제어 채널로 송신한다.
그 뒤, 주파수(f3)의 채널로 전환한다.
이동무선기(3c)는 발호응답신호(S224)를 수신하여, 이 신호(S224)에 포함되는 주파수(f3)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주파수(f3)를 통화채널로 바꾸어, 이 통화채널이 비어있으면 채널전환 완료신호(S225)를 고정무선기(42)로 보낸다. 고정무선기(42)는 이 채널에서 전환완료 신호(S225)를 수신하면, 채널 전환완료신호(S226)를 회선제어장치(7)로 보내고 동시에 통화신호(S227)를 이동무선기(3c)로 보낸다.
이어서 회선제어장치(7)는 회선(6c)의 직류 루우프를 닫는다.
이로써 유선전화 회선(6c)으로부터의 다이얼톤이 이동무선기(3c)에 전달된다.
이동무선기(3c)의 이용자는 이런 다이얼톤을 확인하고 다이얼조작하면, 다이얼신호(S228)가 이동무선기(3c)로부터 고정무선기(42)에 송출된다.
고정무선기(42)는 이동무선기(3c)에서 받은 다이얼신호를 다이얼신호(229)로서 회선제어장치(7)에 송출하여, 그 다이얼신호(S229)는 회선제어장치(7)로부터 유선회선에 다이얼 송출된다.
이 다이얼송출에 따른 호출음에 의해서 상대쪽 장치가 응답하면, 이동무선기(3c)와 상대쪽 장치는 통화상태가 된다.
이동무선기(3c)가 주파수(f3)의 통화채널에서 통화상태가 됨으로써, 회선제어장치(7)의 주기억부(708)는, 고정무선장치(41)는 주파수(f1), 고정무선장치(42)는 주파수(f3)의 통화채널을 사용하고 있는것을 기억한다.
이러한 상태가 제4도 왼쪽 블럭에 도시한다.
그후 PH(C)에 있어서 이도 무선기 (3a)에서 온훅크 조작하면 온훅크 신호(S18)가 고정무선기(41)에, 도 온훅크 신호(S19)가 회선제어장치(8)에 입력되어 유선전화회선(6a)과의 사이의 직선 루우프가 개방된다.
이로써 통화가 종료되고 주기억장치(708)의, 고정 무선기(41)가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을 사용하고 있다는 기억이 클리어된다.
이와같이 각 고정무선기(41)-(43)가 사용하고 있는 통화채널을 회전제어장치(7)에 관리시켜 유선전화 회선(6a)-(6c)으로부터의 착호시는, 회선제어장치(7)에서 사용중이 되어 있는 통화채널의 정보를 해당하는 고정무선 전화기(41)-(43)에 통지하여, 고정무선기 측에서 그 통지내용을 참조하여 채널을 선택하기 때문에, 통화채널의 혼신, 간섭이 없고 제어채널을 방해하지 않는 채널을 확실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도 또는 제4도의 일예에 있어서 고정무선기(42) 및 이동무선기(3c)가 패딩(fading)등에 의해서 주파수(f1)채널이 비어있다고 오인하더라도 회선제어 장치(7)로 부터 주파수(f1) 채널이 벌써 사용중이라고 통지된다.
그래서 주파수(f1)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채널을 사용함에 따른 혼신이나 간섭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런 경우더라도 고정무선기(42) 및 이동무선기 자체(3c)가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이 사용중인 것을 똑바로 확인할 기회는 있다.
이런 기회는 대기중의 빈 채널 검출 동작시이다.
그러나 그 빈 채널 검출동작은 제어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늘 연속적으로 행해지지 않고, 일정주기에 간헐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정무선기(42)가 채널을 선택하고 있는 사이에 우연히 주파수(f1)의 통화채널이 사용중인것을 검출하여 있으면 이 주파수(f1)의 채널과 상호간섭을 할 가능성이 높은 주파수(f2)의 채널을 피해 주파수(f3)의 채널을 선택한다.
그러나 예를들어 최신의 빈 채널 검출동작을 종료하고 제어채널의 감시를 거치고 나서 발호신호(S221)를 수신하여 발호응답신호(S224)를 송출하는 동작도중에 주파수(f1)의 채널이 사용되면, 주파수(f1)의 채널을 빈 채널이라고 보아 이를 선택해 버리는 수가 있다.
이는 빈 채널의 검출 동작과 병행하여 사용중인 채널의 검출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면 해결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고정무선기가 제어 채널을 감시할 시간이 적어져서 이동무선기로부터 발호신호를 제어채널을 통해 보내오더라도 즉시 이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제어 채널의 점유시간이 증가하여 응답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와 같이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회선 제어장치(7)로 관리하여, 이 관리하는 내용을 고정 무선기에 통지하는 방법을 채택하면, 제어 채널의 점유 시간을 증대시키지 않고 혼신이나 간섭이 생기지 않는 채널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는 현재 사용중인 통화채널의 정보를 고정무선기에 송신하는데,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는 통화채널이라도 상호간섭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통화채널 예를들면 제3도의 한 예의(f2)의 통화채널에 대해서는 사용중인 것처럼 가장하여, 사용불가의 통화채널이라고 고정무선기에 통지하도록 해도 괜찮다.
더우기 고정무선기의 배치 위치 정보를 회선제어장치에 미리 기억해 놓고, 고정무선기(A)가 (f1)의 통화 채널을 사용하고 있고 동시에 다른 고정무선기(B)의 새로운 통화채널을 형성하려고 할 때, 양 고정무선기(A)(B)의 배치관계를 판단하여, 양자의 전파가 서로 도착되지 않는 위치관계라면, 고정무선기(B)에게는 (f1)의 통화채널은 미사용 통화채널로서 통지하는 구성으로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의 회선제어장치(7)의 주기억장치(708)에 기억되는 사용통화채널 정보의 작성동작을 제7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다.
제7도에 있어서, 먼저 사용 통화채널과 이에 대응하는 공정무선기 전 번호를 주기억장치(708)의 기억내용으로 부터 추출한다.(스텝 451).
이어서 이 추출한 고정무선기 번호에 대응하는 고정무선기와 발호 또는 착호에 따른 이동무선기의 가까운 고정무선기가 상호 간섭하는 배치관계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452).
여기서 상호 간섭하는 배치관계에 있으면 추출된 고정무선기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통화채널을 사용통화채널정보로 한다(스텝 453).
다만 스텝 452에서 상호간섭하는 배치관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 고정 무선기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통화채널을 사용통화채널 정보로 하지 않는다.
그 동작은 모든 사용통화채널을 다 체크할때까지 (스텝 454) 반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무선기측에는 상호간섭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고정 무선기의 제어동작 및 회로구성이 간단해진다.

Claims (14)

  1. 복수의 이동무선기(3a,3b,3c,3d)와, 이들 이동무선기에 무선회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무선기(41,42,43)와, 복수의 유선전화회선이 입력되어있고 유선전화 회선과 전술한 고정무선기를 접속하는 회선제어장치(7)와, 회선제어장치에 설치되고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기억하는 기억장치(708)와, 유선 전화회선으로 부터의 착호시 또는 이동무선기로 부터의 발호시에, 기억장치에 기억된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에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통지하는 제1의 통지장치(S10, S20; S223)와, 전술한 제1의 통지장치에 의해 통지된 사용중 통화채널에 따라,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에 가까운 고정무선기와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의 사이에 통화채널을 설정하는 통화채널 설정장치(441,442,443,4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무선기는(41,42,43)는 통화채널 설정장치에 의해 이 고정무선기와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이 설정되면, 그 설정된 통화채널을 회선제어장치에 통지하는 제2의 통지장치(S14,S24,S26)을 지니며, 기억장치(708)는 제2의 통지장치의 통지내용에 따라 그 기억내용이 전환(434)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2의 통지장치(S14,S24,S26)는 설정된 통화채널을, 통화채널전환 완료에 따라 고정무선기에서 회선 제어장치에 송출되는 채널 전환완료 신호와 함께 회선 제어장치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통지장치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유선전화 회선으로부터의 착호에 따라 회선제어장치에서 착호할 이동무선기와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송출되는 착호신호(S10,S20)와 함께 그 고정무선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통지장치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이동무선기로부터의 발호에 따라 회선제어장치에서 발호한 이동무선기와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송출되는 발호 응답신호(S223)와 함께 그 고정 무선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무선기는 빈통화채널을 찾는 검색장치(431,432,433,434,435)를 지니고, 통화채널 설정장치는, 제1의 통지장치에 의해서 통지된 사용중의 통화채널과의 관계에 의해서 간섭파가 생길 우려가 없는 통화채널을, 전술한 검색장치로 찾은 빈 채널중에서 선택하는 장치(441,442,443,44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무선기(41)는 검색장치로 찾은 빈 통화채널을 기억하는 기억장치(421)를 지니고, 통화채널 설정장치는, 제1의 통지장치에 의해 통지된 사용중의 통화채널과 기억장치에 기억된 빈 통화채널에 따라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 무선기에 가까운 고정무선기와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S14,S22,S224)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복수의 이동무선기(3a,3b,3c,3d,3e)와, 이들 이동무선기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무선기(41,42,43)와, 복수의 유선전화회선이 입력되어있고 유선전화회선과 고정무선기를 접속하는 회선제어장치(7)와, 회선제어장치에 설치되고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기억하는 기억장치(708)와, 유선전환 회선으로 부터 착호시 또는 이동무선기로 부터의 발호시에, 기억장치에 기억된 사용중의 통화채널에 따라 사용불가의 통화채널을 판별하고, 이 판별한 사용불가의 통화채널을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와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통지하는 제1의 통지장치(S10,S20,S2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고정무선기는 통화채널 설정장치에 의해 이 고정무선기와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이 설정된 경우에는 그 설정된 통화채널을 회선제어장치에 통지하는 제2의 통지장치(S14,S24,S226)를 지니며, 기억장치는 제2의 통지장치의 통지내용에 따라 그 기억내용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제2의 통지장치는 설정된 통화채널을 전환완료에 따라 고정무선기에서 회선제어장치에 송출되는 채널전환완료 신호와 함께 회선 제어장치(7)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제1의 통지장치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유선전화회선으로 부터의 착호에 따라 회전제어장치에서 착호할 이동무선기(3a)와 가까운 고정무선기(41)에 송출되는 착호신호(S10)와 함께 이고정무선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1의 통지장치는 사용불가의 통화채널을, 이동무선기로부터의 발호에 따라 회전제어장치에서 발호한 그 이동무선기와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송출되는 발호응답신호(S223)와 함께 그 고정무선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3. 복수의 이동무선기(3a,3b,3c,3d,3e)와, 이들 이동무선기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무선기(41,42,43)와, 복수의 유선전화 회선이 입력되어 있고 유선전화회전과 고정무선기를 접속하는 회선제어장치(7)와, 회선제어장치에 설치되고 사용중의 통호채널을 알려주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장치(708)와, 고정무선기에 설치되어 빈 통화채널을 찾는 검색장치(431,432,433,434,435)와, 유선전화회선으로 부터의 착호시 또는 전술한 이동무선기로 부터의 발호시에, 기억장치에 기억된 통화채널에 따라 사용중 또는 사용불가의 통화채널 정보를, 착호할 또는 발호할 이동무선기와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통지하는 제1의 통지장치(S10,S20,S223)와, 고정무선기와 전술한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서 통화채널이 형성되면, 고정무선기에서 회선제어장치에 이 형성된 통화채널을 통지하는 제2의 통지장치(S14,S24,S226)와, 제1의 통지장치에 의해 통지된 사용중의 통화채널 및 검색장치에 의해 검색된 빈 통화채널에 따라,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에 가까운 고정무선기와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을 설정하는 통화채널 설정장치(S18,S2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4. 복수의 이동무선기(3a,3b,3c,3d,3e)와, 이들 이동무선기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고정무선기(41,42,43)와, 복수의 유선전화회선이 입력되어있고 유선전화회선과 고정 무선기를 접속한 회선제어장치(7)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정무선기와 이동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이 형성되면 고정무선기에서 회선제어장치에 형성된 통화채널을 통지하는 제1의 통지스텝(S14,S24,S226)과, 제1의 통지스텝에서 통지된 사용중의 통화채널을 알려주는 정보를 회선제어장치(7)로 관리하는 스텝과, 고정무선기에 있어서, 빈통화채널을 찾는 검색스텝(431,432,433,434,435)과, 유선전화회선으로부터의 착호시 또는 이동무선기로 부터의 발호시에, 회선제어장치로 관리된 사용중의 통화채널 또는 사용불가의 통화채널 정보를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에 가까운 고정무선기에 통지하는 제2의 통지스텝(S10,S20,S223)과, 제2의 통지스텝에 의해서 통지된 사용중 또는 사용불가의 통화채널에 따라 전술한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무선기에 가까운 고정무선기와 착호할 또는 발호한 이동 무선기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을 설정하는 통화채널 설정스텝(S11, S21, S22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890004359A 1988-03-31 1989-03-31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20002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9698A JPH01252032A (ja) 1988-03-31 1988-03-31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通話チャンネル選択制御方式
JP63-79698 1988-03-31
JP?63-79698 198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526A KR890015526A (ko) 1989-10-30
KR920002883B1 true KR920002883B1 (ko) 1992-04-06

Family

ID=1369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359A KR920002883B1 (ko) 1988-03-31 1989-03-31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9231A (ko)
EP (1) EP0335742B1 (ko)
JP (1) JPH01252032A (ko)
KR (1) KR920002883B1 (ko)
AU (1) AU611272B2 (ko)
DE (1) DE689212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849A (en) * 1988-09-29 1990-10-23 Sony Corporation Cordless telephone
GB8910085D0 (en) * 1989-05-03 1989-06-21 British Telecomm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0441372B1 (en) * 1990-02-08 1995-08-02 Nec Corporation Method of assigning optimal channel in multi-statio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O1994022258A1 (en) * 1991-04-12 1994-09-29 Phonemate, Inc. Environmental adaptive mechanism for channel utilization in cordless telephones
US5418839A (en) * 1990-04-13 1995-05-23 Phonemate, Inc. Environmental adaptive mechanism for channel utilization in cordless telephones
US5197093A (en) * 1990-04-13 1993-03-23 Phonemate, Inc. Enviromental adaptive mechanism for channel utilization in cordless telephones
JPH048046A (ja) * 1990-04-26 1992-01-13 Fujitsu Ltd 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空きチャンネル検索方法および装置
EP0458604B1 (en) * 1990-05-22 1997-08-2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in cells using multiple interference
EP0488173A3 (en) * 1990-11-27 1993-04-28 Canon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ng method
KR940005973B1 (ko) * 1991-06-19 1994-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콘 송신기의 출력신호 제어 방법
ES2042376B1 (es) * 1991-07-30 1996-08-16 Arapiles Jesus Sanz Sistema radiotelegrafico con equipos moviles de bolsillo.
US5375123A (en) * 1993-02-05 1994-12-20 Telefonakitebolaget L. M. Ericsson Allocation of channels using interference estimation
JP2576369B2 (ja) * 1993-08-02 1997-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方式
AU2595595A (en) * 1994-05-19 1995-12-18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for dynamically allocating channels among bas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27477B1 (en) * 1995-03-31 2001-12-04 Canon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4915A (en) * 1971-06-25 1973-10-09 Bell Telephone Labor Inc Dynamic program control for channel assign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4012597A (en) * 1975-11-24 1977-03-15 Motorola, Inc. Transmission trunk multichannel dispatch system with priority queuing
JPS61274531A (ja) * 1985-05-30 1986-12-04 Nec Corp チヤネル選択方式
JPH02312492A (ja) * 1989-05-29 1990-12-27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割り当て方式および基地局配置情報の学習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52032A (ja) 1989-10-06
DE68921228D1 (de) 1995-03-30
DE68921228T2 (de) 1995-08-31
KR890015526A (ko) 1989-10-30
EP0335742A2 (en) 1989-10-04
US4989231A (en) 1991-01-29
EP0335742B1 (en) 1995-02-22
AU611272B2 (en) 1991-06-06
EP0335742A3 (en) 1991-07-24
AU3178689A (en)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8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363246B1 (en) Call routing method for a radiotelephone in multiple radiotelephone systems
US5901357A (en) Frequency allocation for subscribers of multiple telephone systems having frequency sharing
US52609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native radiotelephone system selection
KR950013162B1 (ko) 구역 교환 기능을 갖는 무선 키 전화 시스템
WO199501566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ubscriber station in a radio system
KR950013161B1 (ko) 호출 설정 단계중에 신속 접속가능한 무선전화 장치
US74930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ommunications device
JPH03186025A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路切換方法
JPH06112889A (ja) コードレスシステム電話装置
JP2966750B2 (ja) 電話装置
JP41343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2241235A (ja) 無線電話装置
GB2360176A (en) Emergency call network for mobile telephone
JP3076320B1 (ja) 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KR950012580B1 (ko) 무선전화시스템 및 그의 채널변경방법
JPS6248132A (ja) 無線電話方式
JP27779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421393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チャネル状態表示装置
JPH04275730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移動局用通信装置
JPH05218957A (ja) デュアルモード形無線通信装置
JP2696449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970002950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불법가입자 배제를 위한 통화 제어 방법
JPH0427223A (ja) 移動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